신용섭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이27일 방통위 전체회의를 통해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사장에 선임됐다. 신 신임 EBS 사장은 연세대를 졸업하고 정보통신부 전파방송정책국장, 산업자원부 생활산업국장, 방통위 통신정책국장, 방통위 방송통신융합정책실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3월부터 방통위 상임위원으로 재직하다 11월 초 EBS 사장직 공모 지원을 위해 상임위원직을 사임했다. 임기는 임명장을 받은 날부터 3년간.
김정기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은 29일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주최한 ‘2012 웹어워드코리아’에서 웹사이트 ‘The-K 소셜허브’로 공공 블로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 사이트는 독창적 디자인, 적절한 정보, 사용자 편의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웹어워드코리아는 한 해 동안 새로 구축․개편한 웹사이트 중 혁신적이고 우수한 사이트를 선정하는 상이다.
최운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은22일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일과 학습의 아름다운 동행’을 주제로 ‘제4회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학술대회에서는 진 로스 미국 노던 일리노이대 교수가 ‘자기발전을 위한 평생여행’ 기조강연을 했으며 유럽, 중남미,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평생교육 동향에 대해 공유했다.
선종근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이사장은3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시스템’ 보고회를 연다. 이날 보고회에는 2013년 교과용 도서 발행사 대표 및 시․도교육청 인정도서 담당자 7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시스템은 교과부가 교과서 제도 선진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23일부터 12월4일까지 12일간 대만 학계(대만 국가교육연구원, 신죽(新竹)교육대, 자제(慈濟)대, 교육정책평가학회, 교육행정학회, 사범교육학회 등) 연합 학술 세미나에 초청돼 우리나라 교원양성제도, 교대 교육과정 등에 대해 기조강연을 한다. 박 교수는 “한국교육에 대해 대학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이를 통해 세계 교육 발전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영민 한국직업교육전문가포럼 회장은 12월8일 서울대 농생명과학대에서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지속 성장을 위한 과제 탐색’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박상재 한국글짓기지도회 회장(서울 화일초 교감)은 5일 화일초에서 ‘제49회 전국어린이글짓기대회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번 대회에는 전국 95개교에서 900여 편의 작품이 응모됐으며 이 중 96편의 입선작을 가려 상장과 메달을 수여한다. 시상식에서는 ‘제9회 학부모수기 공모’, ‘제43회 한인현 글짓기 지도상 및 장학상’ 시상도 함께 열릴 예정이다.
홍민표 경남 사천중 수석교사(경남교총 부회장)가24일부터 12월1일까지 경남과학기술대 100주년 기념관에서 ‘치유와 휴식의 미술’을 주제로 세 번째 한국화 개인전을 개최한다. 홍 교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풍경산수화 70점, 문인화 30점, 부채 20점, 도자기 35점 등 총 150여 점을 전시한다.
최백란 경기 안현초 교장이21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조형갤러리에서 ‘길의 끝에서 또 다른 길을 시작하며…’를 주제로 네 번째 먹그림 개인전을 열었다. 최 교장은 “힘들 때마다 먹그림을 그리며 행복을 찾았다”며 “교직생활의 마지막이 될 안현초를 떠나면서 그동안 곳곳에 정성을 쏟은 학교 풍경을 담았다”고 밝혔다.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가 일제히 배부된 지난달 28일 고3 교실에서는 학생들의 환호와 탄식이 엇갈렸다. 성적표를 받아든 학생들 중에는 책상에 얼굴을 파묻고 어깨를 들썩이는 학생도 있었다. 올 수능은 영역별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학생들의 희비가 갈렸다. 특히 EBS 교재를 그대로 베끼듯 출제한 언어영역의 경우 고득점을 하고도 등급이 떨어지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마침 수능 정시원서접수가 시작되기 이틀 전에 제18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유력 후보들이 공히 대입전형 간소화, 수능중심 탈피를 공언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현방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4학년도 입시는 수능문제를 A, B형으로 나눠 치르기로 하는 등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현재 대입제도의 난맥은 정부가 ‘사교육 줄이기’라는 목표를 정해놓고 모든 교육정책을 막무가내로 밀어붙인 탓이 크다. 하지만 공교육을 바로 세우지 않고 사교육을 잡겠다는 정책은 오히려 풍선효과로 부작용만 낳았을 뿐이다. 고3 담임교사들도 현 대입제도를 두고 알면 알수록 미궁에 빠진다고 한다. 그만큼 복잡하다는 얘기다. 정시모집만 해도 대학에 따라 영역별 반영 비율이 제각각이다. 그러다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