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논술] ‘정책의 언어로 교육을 열어가는 첫 문장’

정책논술, 시작은 서론이다
1. 교육정책 논술에서 서론이 중요한 이유
정책논술은 정책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구조화된 언어로 담아내는 글쓰기이다. 그 시작이자 방향타가 되는 부분이 바로 ‘서론’이다. 서론은 단순히 글의 첫머리가 아니다. 문제를 꺼내고, 이를 교육적으로 해석하며, 정책과 연결된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전략적 발화의 공간이다. 교육전문직 논술에서 서론이 중요한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 글 전체의 정책적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제시문이나 문제 상황을 교육적 관점으로 해석해 줄 틀을 제공한다.
셋째, 서울교육 혹은 해당 교육청의 정책 철학을 논리 흐름에 녹여낼 수 있는 핵심 구간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서론을 통해 논술의 수준과 정책 이해력을 가늠할 수 있다.

 

2. 서론, 기-승-전-결 구조로 접근하라
교육정책논술을 포함한 많은 논술형 평가에서 서론 작성은 ‘기-승-전-결’ 구조로 요구된다. 이 구조는 전통적인 글쓰기 방식이면서도, 정책적 글쓰기에 매우 효과적인 구성 방식이다.

 

● 기(起) _ 주제 현안 또는 개념 제시
- 교육현장의 이슈 제기, 정책적 개념 정의, 통계 인용, 명언 활용 등
- 출제 의도와 관련된 핵심 개념을 드러내는 문장군
- 예시
•오늘날은 한 아이도 놓치지 않는 Only-One 교육시대이다.
•기초학력은 교육의 출발선이자, 삶의 기본권이다.

● 승(承) _ 문제의식 또는 제한점 서술
- 해당 정책 또는 학교현장의 한계 진술
- 서울교육 또는 지역교육청의 기존 정책을 언급하며 문제 인식 확대
- 예시
•‌그러나 현재의 교육정책은 여전히 공급자 중심의 관점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교육청은 다양한 기초학력 지원책을 마련했으나, 복합적 요인을 반영한 맞춤형 연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 전(轉) _ 변화의 필요성 강조
- 문제 해결의 당위성 및 사회적 요구 강조
- 정책 전환 또는 실천 강화의 필요성 제시
- 예시
•‌이에 따라 정책 실행력을 높이고, 현장 맞춤형 실행 체제를 새롭게 설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총체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