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북구도서관(주유돈 관장) 에서는 6.11일부터 8월 말까지 [바른아이가 만들어가는 따뜻한 세상] 이라는 주제로‘예절바른 아이가 세상을 바꾼다’, ‘알리키 인성교육 시리즈’ 등 총 30여권의 인성교육에 관련한 도서를 전시한다. 이번 전시는 생활속에서 지켜야 할 예절이나 친구관계에서의 배려심, 부모에 대한 효도, 웃어른에 대한 공경 등 인성교육에 관한 도서를 전시하여 어린이들이 올바른 가치관 및 인성을 함양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데 각박한 요즘 사회에서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을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책을 통해 배우고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본다. 또한 도서전시와 더불어 6.24일부터 7. 9일까지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총 6회에 걸쳐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관련도서의 스토리텔링과 예절배우기 등의 수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스토리텔링 접수는 인천북구도서관 어린이자료실에서 선착순으로 받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어린이자료실(363-5021~3)로 문의하면 된다.
거주지와 상관없이 학생이 학교를 골라 지원할 수 있는 '고교선택제' 실시가 내년으로 다가오면서 서울 서초, 송파, 강동구 등 속칭 '강남 옆동네'에 비상이 걸렸다. 1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들 3개구 관내 학교와 구청은 성적이 우수한 중학생들이 인근 강남구 소재 고교로 빠져나가는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계획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서초구는 2009년 15억원에 그친 지역 학교에 대한 투자액을 2010년에는 106억원으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100억원 규모의 서울고 학습관(지하 2층, 지상 7층, 연면적 1만332㎡)과 62억원이 필요한 서문여고 정보도서관을 건립하는 데 구 예산이 지원된다. "고교선택제 및 대학입학사정관제 시행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발맞춰 지역인재 유출을 막고 우수한 인재를 지역에 유치하는 것"이 서초구가 공식적으로 밝힌 투자 목적이다. 강동구는 고교선택제 시행에 대비해 강동고, 동북고, 배재고 등 지역내 11개 고교와 손잡고 지역 학교 육성을 위한 매칭펀드를 도입했다. 강동구는 2011년까지 3년간 지역 학교 육성을 위해 50억원을 들여 외국어 활성화 프로그램, 논술.수능특강 프로그램, 진로적성 검사진단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운영을
"우리 학교는 재수강 제한이 너무 엄격해요. 취업하려면 학점 조절이 중요한데…" 14일 새벽 서울 모 대학 도서관. 대학생 박모(26)씨가 기말고사를 앞두고 도서관에서 '열공'(열심히 공부) 중이었다. 박씨의 요즘 고민은 중간고사를 망친 한 과목을 포기할까 말까다. 언뜻 생각하면 열심히 공부해서 만회하는 것이 정답이겠지만 문제는 그리 간단치 않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어중간한 성적을 받으면 오히려 손해이기 때문이다. 최씨는 "우리 학교는 평점 C+ 이상을 받은 과목은 아예 재수강을 하지 못하게 제한한다"며 "어설프게 C+를 받느니 차라리 기말고사를 포기해 D를 받고 재수강하는 게 낫지 않느냐"고 속내를 털어놓았다. 그는 "그렇다고 무작정 나쁜 학점만 받다 보면 졸업이 늦어질까 또 걱정"이라고 말했다. 대학생 취업난과 청년실업 문제가 10년 넘게 계속되면서 상당수 대학이 '재수강 관련조항 규제완화'에 나섰다. 취업을 위해 '스펙관리', '학점관리'가 절실한 학생들의 불만을 고려해서다. 연세대는 현재 C- 이상 성적을 받은 과목의 재수강 횟수를 0∼4회로 제한하고 있으나 2010년부터는 C+ 이하 성적을 받으면 횟수 제한 없이 재수강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 학부모들에게 현직 교사, 입학사정관 등 전문가들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입 상담 콜센터'가 이르면 다음달 말부터 운영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복잡해진 입시제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학생, 학부모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대입 상담 전용 콜센터를 설치, 운영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콜센터에는 각 시ㆍ도 교육청이 대교협에 추천한 교사 10명, 입학사정관 전문 양성 프로그램을 이수한 입학사정관 5명 등 15명 내외의 인원이 상주하게 된다. 대교협 대입상담 교사단으로 활동했던 교사나 고교 진학부장, 고3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상주 교사로 우선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들은 전국의 학생, 학부모들을 상대로 전화 입시 상담 및 온라인, 오프라인 상담을 병행하게 된다. 특히 올해 입시에서부터 대폭 확대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학생, 학부모들의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해 입학사정관 전형에 대한 상담도 중점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대교협은 이르면 다음달 말, 늦어도 9월까지는 콜센터 설치를 끝내고 상담 서비스에 나설 계획이다. 콜센터는 1년 365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상담 비용은
자녀가 중·고생일수록 교육 때문에 오히려 이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녀 교육이 초·중.고생(학령인구)의 인구 이동을 촉진한다는 기존 견해와는 다른 것이다. 14일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우리나라 인구이동통계의 이동요인 분석' 논문에 따르면 학령인구를 5세 단위로 나눠 최근 10년간 평균 이동률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 이동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입학부터 저학년 연령인 5~9세의 평균 이동률은 20.1%로, 총 이동 평균 18.8%보다 높았다. 반면 10~14세의 평균 이동률은 15.9%, 15~19세는 14.6%로 나타나 총 이동 평균보다 낮았다. 이동이란 읍·면ㆍ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기는 경우를 말하며, 학령인구는 교육과 관련 있는 5~19세로 정의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통계청의 김인식 주무관은 "자녀 교육을 위한 인구 이동이 초등학교 입학 전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때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자녀가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교 재학 중일 때는 현재의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줘야 하기 때문에 인구 이동이 억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07년 기준으로 지역
정부의 대학 자율화 방침에 따라 대학원 신설 및 정원 조정 기준이 한층 완화된다. 14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대학원 등 설치 세부기준 및 정원 조정 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의 총 입학정원 범위 내에서 학과 간 자체적으로 정원을 조정하고자 할 때 교원확보율만 전년도 이상으로 유지하면 된다. 지금까지는 교원확보율 외에 교지, 교사,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도 전년도 이상이 돼야했다. 또 녹색성장, 신성장동력 분야의 인력 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전문대학원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교원확보율만 전년도 이상으로 유지하면 되도록 했다. 올 초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으로 국립대의 대학원 수를 정부가 정해 놓은 규정이 없어짐에 따라 국립대가 총 정원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대학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만 전문대학원 신설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정부 심사를 받아야 한다. 교과부는 변경된 대학원 설치 및 정원조정 기준을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2010학년도 대학 정원 조정 심사 때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맹자의 제일 앞부분인 양혜왕장구상(梁惠王章句上) 1장에 보면 맹자(孟子)와 양의 혜왕(梁惠王)과의 대화가 나온다. 맹자가 천리를 멀다 하지 않고 양의 혜왕을 찾아간 것이다. 양의 혜왕은 놀라기도 하고 기뻤을 것이다. 왜냐하면 맹자가 연세가 많으신데다(叟수) 교통편이 요즘처럼 편리하지 않았는데도 찾아왔기 때문이다. 거기에다 맹자의 명성이 널리 알려져 분명히 자기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양의 혜왕은 맹자를 만나자마자 어떻게 하는 것이 나라에 유익이 될까를 물으신 것이다.(亦將有以利吾國乎역장유리오국호) 나라를 다스리는 자리에 있는 왕으로서 당연한 물음인지도 모른다. 그 때 맹자께서는 왕에게 칭찬을 하지 않으셨고 오히려 책망하셨다. 왕은 하필 이로움을 말하는가?(何必曰利하필왈리) 단지 인의가 있을 뿐이다고 하셨다. (亦有仁義而已矣역유인의이이의) 여기에서 而已矣(이이의)는 ‘뿐이다’의 뜻이다. 맹자께서 나라에 유익이 되는 것은 오직 仁義(인의)가 제일이라는 것이다. 그 예로 인(仁)한 사람은 어버이를 버리지 않는다 하셨다.(未有仁而遺其親者也미유인이유기친자야) 그리고 의(義)한 사람은 임금을 버리지 않는다고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은 12일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생들이 병역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오후 3시 내년 3월 개교 예정인 강원 원주시 문막읍 가칭 '원주의료고등학교'를 방문해 한장수 도교육감을 비롯한 학부모, 지역 의료기기 업체대표와 가진 간담회에서 "2012년 산업기능요원제도가 폐지되는 만큼 가능하면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이 병역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청, 국방부 등과 논의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마이스터고에 잠재적인 능력이 있는 학생들이 지원하도록 교육과학기술부 차원에서 TV광고 등을 통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설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이와 함께 "마이스터고와 산업계가 발전하려면 좋은 중소기업이 협의해 공동으로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며 "또 학교는 성적이 좋은 학생보다 직업교육에 자질을 발휘할 학생들을 모집해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년에 개교하는 원주의료고등학교 학생을 선발할 때 내신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산업계에 필요한 인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적성과 능력을 고려해 선발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원주의료고등학교는 작년 10월 2일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의료기
교육과학기술부가 영어회화 전문강사 신청 접수를 12일 마감한 결과, 예상외로 신청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부가 이날 오후 6시까지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에 접수된 영어회화 전문강사 신청 현황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4천228명 모집에 4천543명이 응시해 1.0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초등은 1천963명 모집에 2천472명이 원서를 내 1.26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지만 중등의 경우 2천228명을 뽑는데 2천71명이 지원해 정원에 미달됐다.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는 청년층 실업난 해소, 초ㆍ중ㆍ고교 영어교육 강화 목적으로 교과부가 올해 처음 도입한 제도다. 교사자격증 소지자를 영어회화 전문강사로 채용해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용하거나 중ㆍ고교 수준별 이동수업 등에 활용하도록 한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교과부는 "홍보가 부족한 측면도 있었지만 교사자격증 소지자 가운데 상당수가 10월 시행될 교사 임용고시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처음 도입된 이 제도의 성격이 다소 모호한데다 계약직 강사 신분이어서 별 매력이 없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교과부는 지원자를 대상으로 1차 서류 심사, 2차 영어면접
척추가 휘는 척추측만증 증세를 보이는 초등생이 급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대의대 구로병원 척추측만증연구소 서승우 교수팀은 지난해 서울·경기지역 초등생의 척추측만증 비율이 6.2%로 지난 2000년의 1.7% 대비 3-4배 수준으로 늘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소 조사 결과 지난 2000년 조사대상 8천780명 가운데 141명(1.67%)의 척추가 휘어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난해에는 조사대상 7만4천701명 가운데 4천610명(6.17%)이 척추측만증으로 진단됐다. 성별로는 조사 기간 9년 내내 여학생의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여학생의 유병률은 8.6%로 남학생의 3.9%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초등생 때 나타나는 척추측만증의 원인은 아직 규명돼 있지 않다. 척추가 서서히 휘기 때문에 대개는 인식하지 못하다가 변형이 상당히 진행돼 등이 옆으로 구부러지거나 어깨나 골반의 높이가 달라질 때, 한쪽 가슴이나 엉덩이가 튀어나온 것을 발견하고서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때때로 등의 통증이나 피로를 호소하기도 하지만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자녀를 주의 깊게 관찰해 척추측만증이 의심된다면 조기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