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상임대표 이경자)이 겸직금지 조항을 어기고 2년간 교사와 교육위원직을 겸직한 김형태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을 서울지검에 사기 및 횡령죄로 17일 형사고발했다. 공학연은 2011년 겸직 사실을 알고도 이를 묵인하고 방조한 혐의를 물어 당시 허광태 서울시의회 의장(현 민주당 시의원), 김상현 교육위원장(현 민주당 시의원), 임승빈 서울시교육감권한대행(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도 함께 고발했다. 공학연은 “김 교육위원은 교사신분임에도 교육위원직을 유지하면서 2년간 1억2000만원 상당의 의정활동비 및 수당을 부정 수령했다”면서 “임승빈·허광태·김승현 등은 당시 교육위원 지위를 자동 상실했음을 인지했음에도 방치함으로써 직무를 유기했다”고 고발 이유를 설명했다. 김 교육위원은 해직교사 출신으로 2011년 7월 13일 서울고등법원의 해임처분취소 판결을 받아 교사 신분으로 복귀됐다. 상록학원이 두 달 뒤인 9월 3일 인사발령을 내자 김형태 교육위원은 상록학원에 21일 2014년 7월 1일자로 양천고로 복직 신청을 했다. 2014년 7월 1일을 복직일로 정한 것은 2010년 7월에 교육위원에 당선돼 4년 임기를 마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교육위원과 교사 겸
곽병선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15일부터 3개월간 ‘일반학자금 특별상환유예 특례조치’를 실시, 3개월 이상 연체한 대출자도 특별상환유예제도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특별상환유예제도는 대출금을 갚아야 하지만 상환할 능력이 없는, 졸업 후 2년 이내의 대출자에 대해 상환일정을 최대 3년간 유예해주는 제도다. 연체 6개월 이상자에게만 해당됐으나 이번 특례조치로 인해 3개월 이상인 자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문의=한국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1599-2230
김영민 특허청장과 김광림 한국발명진흥회 회장은 25일부터 이틀간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 발명교육’을 주제로 창의발명교육 연합학술대회를 연다. 한국영재교육학회, 한국기술교육학회, 한국직업교육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실과교육학회, 한국영재학회 등 6개 학회가 참여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발명교육의 학술적 인프라 구축, 발명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우수 프로그램 공유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류성걸 새누리당 의원(대구 동갑)은 1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희망의 새 시대, 경제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경제교육의 기본 방향과 교육 당사자의 역할·과제 등을 정립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제시됐다.
강현재 경기 수원 화홍고 교장과 한상석 아름다운학교운동본부 경기북부 대표는 아름다운학교운동본부 경기본부의 공동대표로 선출돼 16일 수원 매탄초 강당에서 결성식을 가졌다. 아름다운학교운동본부는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교를 변화시키고자 탄생된 비영리민간단체다.
한국교원대(총장 김주성)는 ‘2013 교수·학습방법의 선진화를 위한 스마트교육 지원 정책연구’ 지원 사업에 ‘스마트교육 정책중점연구소’로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교원대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3년간 연구비 7억 5천만원을 지원받는다.
한신대(총장 채수일)와 용주사(주지 정호스님)가 공동 설립한 사단법인 정조대왕교육문화연구원 창립총회가 지난 12일 한신대 본관에서 열렸다. 연구원은 ▲정조대왕 문화콘텐츠상 ▲정조대왕과 정조시대의 효 인문학 캠프 ▲정조대왕 리더십 학술 콘서트 ▲가족 효 문화교육 체험프로그램 운영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이연배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은 15일부터 저소득 아동·청소년을 위한 조식 지원 사업 ‘사랑 愛 올밥 나눔 캠페인’을 실시했다. 강서교육청 관내 교직원 및 학생 대상, ‘통큰 나눔’을 주제로 교직원은 정기후원(월급‘통’장의 일부로 ‘큰’나눔), 학생은 동전모금(저금‘통’을 모아 전하는 ‘큰’나눔)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최완식 충남대 기술교육과 교수는 지난달 총회 의결을 통해 제19대 대한공업교육학회 학회장으로 취임했다. 대한공업교육학회는 공업교육에 관한 조사, 교육자료·방법 개발, 교육시설 등에 대한 학술적·기술적 연구를 하는 학술단체다.
심춘보 경기 효자중 교장은 최근 시집 ‘가뭄이 길었다’를 출간했다. 지난해 간이식 수술을 하고 느낀 감정과 소회를 글로 담았다. 심 교장은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쳤으며 1996년 ‘앞선문학’ 시 부문에서 신인상에 당선된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