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홍수시대 속에서 괜찮은 작품을 골라 보기가 썩 쉬운 일은 아니다. 방송평론가라 해서 모든 드라마를 다 볼 수도 없는 일이다. 그래서 필자가 세운 원칙은 대하사극 내지 대작드라마 꼭 보기이다. 가끔 그 원칙을 깨기도 한다. 케이블 채널 tvN의 ‘막돼먹은 영애씨’ 시청도 그런 경우다. 2007년 4월 20일 첫 방송한 ‘막돼먹은 영애씨’는 현재 시즌8(11일 13회 방송)을 방송하고 있다.
2008년 9월 시즌4에서 이미 ‘한국드라마 최초의 시즌 4’가 되고도 시즌8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대단한 저력이다. 저력의 근저엔 평균 1~2%대라는, 케이블·위성방송 채널치곤 대박인 시청률이 있다.
시즌마다 16~20화를 내보내는 ‘막돼먹은 영애씨’는 다큐드라마를 표방하고 있다. 글자 그대로 우리가 아귀다툼하며 살고 있는 일상생활 속 모든 캐릭터들과 이야기가 펼쳐진다. 아니다. ‘모든’이 아니라 마이너 인생들 이야기다. 캐릭터나 드라마 내용이 너무 리얼하게 ‘확’ 와닿는 것은 그래서다.
그 중심에 당연히 이영애(김현숙)가 있다. 개그맨 출신으로 대박영화 ‘미녀는 괴로워’(2006년)에 조연으로 출연한 후 이 드라마의 타이틀 롤을 맡아 열연하고 있는 김현숙의 ‘덩어리’ 이미지가 그가 처한 직장(동료), 가족 등과 어우러져 ‘찐한’ 현실감을 자아내는 것.
예컨대 외모지상주의, 비정규직의 취업난, 백수, 학벌중심, 재수, 사기 등 치열한 사회현실이 펼쳐진다. 물론 서른네 살 노처녀인 이영애의 사랑과 상처, 기쁨과 슬픔도 있다. 지금 방송 중인 시즌8은 이영애의 결혼이야기로 막을 열었다.
과연 장동건(이해영)과 결혼하면 무슨 이야기로 시즌을 이어갈까 걱정됐는데, 아니나다를까 지금 영애는 파혼직전에 놓여 있다. 노처녀 영애의 사랑에 핀트를 맞추다 보니 생겨난 ‘부작용’이라 할만하다.
사실 장동건과의 결혼은 리얼한, 너무 리얼한 드라마와는 거리가 먼 설정이다. 현실에서 대기업 과장이 미치지 않고선 뭐가 아쉬워 영애 같은 노처녀, ‘덩어리’에 술고래이기까지 한 여자와 결혼을 한단 말인가?
드라마 속 간접광고도 아니고 지상파 드라마와 달리 중간광고까지 감수하며 보는 열혈 팬들을 배신하는 것은, 그러나 그뿐이 아니다. 생생한 현실감이 미덕임에 틀림없지만, 동시에 그것은 ‘막돼먹은 영애씨’의 악재이기도 하다.
가령 전기세 못내 당하는 단전과 대변후 휴지가 없어 샤워기로 해결하기(2월 11일 방송), 고기 많이 먹고 부대껴 화장실에 가고자 하는 모습(3월 11일 방송) 따위가 리얼함은 아닐 것이다. 설날 고모들이 영애네 집에 온 것도 모자라 노래방까지 가 ‘신나게’ 노는(2월 4일 방송) 것도 현실감과는 거리가 먼 장면이라 할 수 있다.
혹 제작진이 너무 리얼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건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영애의 장과장과의 파혼직전까지 가기도 그렇다. 아마 현실에서라면 그렇듯 장과장에게 자존심 따위를 내세워 자꾸 딴죽거는 등 결국 그 지경까지 가게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불만은 영애 아버지(송민형) 캐릭터다. 영어교사로 정년퇴직 때까지 열심히 벌어 3남매 가르치고 서울에 집까지 번듯하게 장만해 살고 있는, 할 만큼 한, 그래서 처자식에게 대접받아야 할 가장이다.
그런데 왜 영애엄마(김정하)에게 노상 구박당하고 주눅들어 사는 것인지? 설마 퇴직자 현실이 그렇다는 말인가? 영애는 그렇다치고 그 동생들의 비정상적 행태 역시 일상현실을 뻥튀기한 감이 있다.
여동생이 사고쳐 백수 사위를 맞더니 이번엔 재수생 남동생이 아이 아빠가 된다. 서둘러 결혼식을 올리긴 했지만, ‘콩가루 집안’이 면피되는 건 아니다. “삐쳤냐?” 해야 될 것을 “삐졌냐?”하는 오류도 시정돼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