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국제

부시행정부, 'NCLB정책'에 대한 합의 모색

2007년 1월 3일 워싱턴 AP는 민주당 의회보좌진의 발표를 인용 보도했다. 그 내용은 부시대통령이 의회의 상하의원들을 만나 학습부진아방지(No Child Left Behind : NCLB) 정책에 대하여 새로운 합의 모색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것이었다. 상원과 하원, 민주당과 공화당의 수뇌부들이 월요일에 예정된 백악관 주재 회의에서 교육에 대한 문제를 다루기로 한 것이다. 회기가 아직 확정되지 않아 정확한 참석자들도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교육부장관 Margaret Spellings는 같은 날 AP통신과 인터뷰에서 “향후 5년을 위한 법률을 개정하기 때문에 올해는 교육발전에 도약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하였다. 1월 8일(월)은 Bush 행정부가 지난 수십년 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방정부의 교육 50번째 기념식을 거행하는 날이기도 하기 때문에 교육에 대한 정부의 움직임이 주시되고 있다.

개정 법률안은 2014년까지 모든 아동은 각 학년 수준에 맞도록 읽기와 수학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개정법률은 학교에 대해 전례없이 강력한 요구를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시험실시 횟수는 증가하고, 교사의 질을 높이고, 소수민족 아동에 대하여 좀 더 강력한 정책을 펴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나 발전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난한 학교들에게 튜터링을 제공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공립학교를 선택할 기회를 주게 되며, 직원들 체계를 정비하는 것과 같은 개혁안을 담고 있다.

Spellings은 부시와 민주당 의원들이 동의하고 지난해 11월 의회 승인을 얻어내었던 법률안을 정비하는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것은 법률안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Spellings는 행정부가 법률안을 정비하는데 있어서 몇가지 ‘강조하는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것은 법률 가운데 2014년까지 모든 아동들이 읽기능력과 수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말하고 있는 것과 같이 모든 학생들을 정부가 원하는 수준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Spelligs는 향상된 아동 읽기능력과 수학능력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등의 방안에 대하여 관심있는 사람들이 모여 토론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교원단체를 비롯한 교육비평가들은 현재의 법률이 학생들의 실력향상을 위해서 중요한 도약의 계기가 되었지만 연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로부터 충분히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민주당은 공화당이 예산을 충분히 지원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법률에 대한 위원회를 주재했었던 상원의원 Edward Kennedy와 공화당원인 George Miller는 행정부가 의회에 요구했던 예산보다 약 50억달러를 삭감했다고 비난하였다. 그러나 공화당에 따르면 의회가 제안하는 예산을 행정부에서 삭감하는 것은 흔한 일이라고 반박하기도 하였다.

Spellings는 부시가 1월 발표할 예산에 대한 정확한 수치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교사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를 위해 교사급여 지원을 언급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지난해 부시는 의회에 5억 달러를 요구했으나 단지 1억 달러를 얻는데 그쳤었다. 우리의 최고의 교사들 또는 가장 경험이 많은 교사들이 훌륭한 학생들과 함께 하게 될 것이라고 Spellings는 말하고 있다. 역시 그녀는 행정부의 법률에 대한 관점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점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을 고등학교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