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대학의 낭테르 캠퍼스. 파리 교외에 있는 이 캠퍼스의 학생은 3만2천명에 달하지만 학생회관도 없고, 서점도 없고, 학생 신문도 없다.
특히 신입생이 들어와도 오리엔테이션을 하지 않으며, 캠퍼스 식당은 점심시간 이후엔 아예 문을 닫는다.
48만권의 장서를 자랑하는 중앙도서관은 하루에 10시간만 열리고, 일요일과 휴일엔 문을 열지 않는다. 도서관내 100개 컴퓨터 가운데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30개 뿐이다.
교수들에겐 종종 근무시간이 없으며, 많은 교수들은 연구실도 없다. 일부 교실은 너무 좁아 시험때가 되면 다른 곳에서 의자를 찾아와야 한다. 이에 따라 늦은 오후가 되면 캠퍼스는 거의 텅 비게 된다.
뉴욕타임스는 12일(현지시간) 낭테르 캠퍼스를 소개하면서 이 캠퍼스가 혼잡하고, 재정 부족에 시달리고, 조직도 엉망인데다 외부 세계에서 요구하는 변화 마저 거부하는 프랑스 대학교육의 위기를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대학 개혁을 추진했다 실패한 클로드 알레그레 전 교육장관은 "미국에서는 대학시스템이 국가 번영의 한 요인이지만 이곳에서는 투자를 하지 않아 대학이 가난하다"면서 "이런 풍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우리는 새로운 세대들을 망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정부가 최근 기업들이 새로 고용한 근로자들을 좀더 쉽게 해고할 수 있는 법을 만들었다가 학생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힌 요인 중 하나도 캠퍼스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그다지 가치있는 교육을 받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졸업후 일자리를 찾기 못할 것이라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것.
이 대학의 한 학생은 "대학은 실용적이지 않은 이론만 배운 수백만명의 학생들을 쏟아내는 기계이자 공장"이라면서 "학위는 실제 세상에서 아무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학 학생들은 지난 1969년 베트남 전쟁에 항의, 프랑스 대학 사상 처음으로 대학행정 건물을 점거했다. 이들의 반발은 권위주의적이고 엘리트 위주인 프랑스의 체제를 변경하려는 대중운동으로 확산됐고, 그 결과 고교 졸업시험만 통과하면 누구나 대학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국가는 교실, 시설, 교수진 등 대학운영에 필요한 투자를 하지는 못했고 학위의 가치가 땅에 떨어지면서 프랑스 고등교육의 위기를 초래한 원인이 됐다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다.
오늘날 프랑스 정부가 대학교육에 투자하는 재정은 학생 1인당 연간 약 8천500 달러로 고교생 1인당 투자에 비해 40%가 적다.
여기에 프랑스가 평등의 개념을 증진시키면서 미래 지도자들을 위한 핵심 엘리트 교육도 강화한다는 두마리 토끼를 쫓는 것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프랑스 학생 중 '그랑제꼴'에 들어가는 학생은 4%에 불과하지만 이곳이 일부 반사립 예비학교와 함께 공공예산의 약 30%를 소모한다.
프랑스 대학의 수업료는 연간 약 250 달러로 대학 재정에 거의 도움이 안되지만 학생들은 수업료를 더 내는데 대해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공부하는 것은 특권이 아니라 권리"라고 적힌 한 포스터가 이를 말해준다.
교수들에 대한 보수도 저조하다. 초기 강사는 연간 2만 달러를 받고, 선임 교수들의 보수도 연간 7만5천달러에 그친다.
이에 따라 돈이 있는 학생들은 점점 더 외국 대학에 가거나 전문화된 특수학교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