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025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 선정 결과 총 68개교, 91개 학과가 선정됐다고 10일 발표했다. 이중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 신산업·신기술 분야는 39개, 모빌리티·스마트 물류 등 지역 전략·특화 분야는 13개, 스마트 조경·디지털 영상 등 학교 자체 발전 분야는 39개 과정이다.
이번 지원사업은 신산업·신기술 분야로의 재구조화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협약성 특성화고 및 직업교육 혁신지구 등 관련 산업과 연계해 학과 개편의 상승효과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선정된 학과(과정)는 약 1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27학년도부터 개편된 학과로 신입생을 받을 예정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학교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할 수 있도록 예산을 지원한다. 또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성을 지닌 산업계와 연계해 학과 개편을 지원하며, 교원 대상 현장 탐방 과정 운영, 신산업·신기술 분야로 개편하는 학교간 분야별 교류회 등도 마련한다. 학교는 교부된 예산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교원 역량 신장을 위한 연수실시, 관련 기자재 확충, 실습 환경 개선 등에 나선다.
최창익 평생직업교육정책관은 “직업계고 학과 개편은 지역 일자리 불균형을 해소하고, 직업계고 학생들의 신산업·신기술 분야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지속적인 직업계고의 학과 개편을 통해 고졸 인력 부족 문제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사업은 직업계고(특성화고·마이스터고) 내 경쟁력이 부족한 학과 개편, 경쟁력 있는 학과 증설, 산업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고도화 등을 지원해 직업계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이다. 2016년부터 총 1100여 학과 개편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