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국제

日 '도제식' 대학원교육 '발본개혁' 추진

교수가 대학원생이나 젊은 학자를 '따까리'로 부려먹는 '도제식 교육제도'를 없애기 위해 일본 정부가 팔을 걷고 나섰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전공분야별로 강좌를 설치해 교수를 정점으로 조교수, 조수 등을 배치해 교육연구를 하도록 하는 '강좌제'를 대학설치규정에서 삭제했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교수의 직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조교수가 폐지된다.

문부과학성은 대신 학생교육과 연구를 주 임무로 하는 '준교수'제도를 신설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각 대학과 대학원이 재량에 따라 융통성있는 교육연구체제를 갖출 수 있게 돼 교수와 대학원생의 경직된 도제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문부과학성은 기대하고 있다.

일본의 대학원은 그동안 교육보다는 연구를 중시해 왔다. 이 바람에 연구실에서는 대학원생과 젊은 학자가 교수를 돕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지식을 익히게 하는 '도제식 수업' 잔재가 남아있었다.

'강좌제'는 대학원내의 교육연구 책임체제를 확실히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지만 교수가 연구실의 인사를 독단적으로 좌지우지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대학원생들은 "교육내용이 교수의 능력에 너무 좌우된다"거나 "교수의 심부름꾼으로 전락해 잡무가 너무 많다"는 불만을 토로했다. 산업계에서도 "융통성이 없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문부과학성은 이런 여론을 감안, 올해부터 교육의 질을 보증하기 위해 제3자에 의한 외부평가를 도입키로 했다.

젊은 학자의 연구에 대한 재정지원을 확충하고 우수한 연구를 하는 대학과 대학원에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21세기 최고경영자(CEO)프로그램'을 대신할 새 제도도입할 계획이다.

일본의 대학원생은 1988년 8만7천명에서 작년에는 25만4천명으로 크게 늘었다.

한편 니혼게이단렌(日本經團連)은 산학협동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대학원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전했다.

이 전문대학원은 게이단렌과 후지쓰(富士通), 히타치(日立) 등 정보기술(IT) 관련 14개기업이 강사를 파견하거나 커리큘럼 작성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공동운영한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시스템과 자동차, 가전용 소프트웨어 기술자를 육성하기 위해서다.

2009년까지 10개를 설립한다는 계획이며 우선 내년에 쓰쿠바(筑波)대학과 규슈(九州)대학에 정원 20명의 전문대학원을 설립키로 하고 문부과학성에 인가를 신청키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