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주로 여름에 바다를 즐겨찾지만, 진정한 바다의 매력은 겨울에 만날 수 있다. 한적하게 거닐며 마음의 여유를 찾고, 일출과 일몰을 보며 새희망을 담아보자. 밤이 길어서 야경의 운치를 느끼기에도 더없이 좋다. 사천을 대표하는 명소인 창선·삼천포대교를 비롯해 항공우주박물관, 실안 선상카페, 비토섬, 녹색농촌체험마을인 비봉내마을 등 다양한 볼거리가 기다린다. 영화 [웰컴투 동막골]의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유명해진 사천항공우주박물관(055-851-6565. aerospacemuseum.co.kr)은 비행기와 우주선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매표소를 지나면 양쪽으로 비행기와 헬기, 탱크 등이 편대를 이루며 늘어서 있다. 탱크와 연결된 철계단 정상에 올라서니 비행기와 탱크, 헬기 등이 2열종대로 늘어선 모습이 위풍당당하다. 6.25전쟁에 사용된 M-24 경전차, 센추리온 전차, T-34탱크 등이 전쟁의 아픈 역사를 보여준다. 남.북한 모두 남의 나라 탱크를 들여와 같은 동족을 향해 포를 쏘았다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C-123K 수송기는 영화 [웰컴투 동막골]이 촬영된 비행기로 그 앞에 영화포스터가 세워져 있다. 실내전시관은 자유수호관과 항공
◇부서장 △정책기획실장 정성무(鄭城武) △초․중등교육정보화센터소장 송재신(宋在信) △학술연구정보센터소장 조순영(曺順英) △교육행정정보센터소장 이성태(李聖台) △교육정보국제협력센터 소장 서영석(徐永錫) △교육정보보호부장 장익(張益) △경영지원부장 윤주한(尹柱漢) ◇팀장 정책기획실 △전략기획팀장 김진숙(金眞淑) △정책연구팀장 김영애(金令愛) △정책평가PL(Project Leader) 박근수(朴根秀) 초중등교육정보화센터 △이러닝서비스팀장 류진선(柳眞善) △사이버학습팀장 양재명(梁在明) △디지털교과서팀장 정광훈(鄭光薰) △이러닝품질관리특임팀장 변태준(邊泰俊) 학술연구정보센터 △국내학술정보팀장 김동우(金東佑) △해외학술정보팀장 박홍석(朴洪錫) △고등교육정보화팀장 유재택(兪載澤) 교육행정정보센터 △정보기술지원팀장 이두영(李斗榮) △교무행정팀장 신명호(愼明昊) △일반행정팀장 이승훈(李承訓) △교육재정팀장 조석연(趙奭衍) 교육정보국제협력센터 △국제협력팀장 배영헌(裵泳憲) △해외정보분석․표준화팀장 조용상(趙容祥) 교육정보보호부 △사이버안전팀장 권성호(權聖浩) △전자서명인증팀장 김세훈(金世勳) △시스템운영팀장 한세기(韓世基) 경영지원부 △총무팀장 임태권(
△기획처장 김홍원(金洪遠) △초·중등교육연구본부장 강영혜(姜榮惠) △고등·인재교육연구본부장 홍영란(洪瑛蘭) △교육통계·정보연구본부장 김창환(金昌煥) △학교컨설팅연구본부장겸 학교컨설팅연구실장 박효정(朴孝貞) △사무국장 서종문(徐鐘文) △기획처 연구기획·홍보실장 류방란(柳芳蘭) △초·중등교육연구본부 교육복지연구센터 소장 김정원(金貞苑) △초·중등교육연구본부 영재교육센터 소장 김미숙(金美淑) △교육통계·정보연구본부 교육통계연구센터 소장 강성국(姜聲國) △교육통계·정보연구본부 교육정보공시센터 소장 임후남(林後男) △교육통계·정보연구본부 교육기관평가연구센터 소장 구자억(具滋億) △학교컨설팅연구본부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소장 박영숙(朴永菽) △학교컨설팅연구본부 방송통신고운영센터 소장 전인식(全仁植) △기획처 예산기획실장 김우종(金宇鐘) △기획처 정보자료지원실장 정영식(鄭映植) △초·중등교육연구본부 교육제도연구실장 박재윤(朴在允) △초·중등교육연구본부 교육행정연구실장 김흥주(金興柱) △초·중등교육연구본부 교원정책연구실장 김갑성(金鉀成) △초·중등교육연구본부 학생·학부모연구실장 최상근(崔尙根) △고등·인재교육연구본부 고등교육연구실장 유현숙(劉賢淑) △고등·인재교육연구본부
학생들이 남자 교사 수업시간에 더 많이 말대꾸를 하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29일 영국 최대 교사노조를 인용해 보도했다. 또 소수의 교사들은 매주 학부모들로부터 협박을 받고 있었다. 영국 전국교사노조(NUT)가 전국 13개 지역 1천500명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평소 수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느냐는 질문에 남자 교사 77%는 그렇다고 대답해 지난 2001년의 72%에 비해 늘어났다. 여자 교사들은 같은 질문에 66%만 그렇다고 답해 같은 기간 67.5%에서 소폭 줄었다. NUT는 이에 대해 '매우 우려할" 문제라고 전제하고 10명 중 6명은 학생들의 나쁜 행동을 다루는 방법을 훈련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학부모로부터 협박을 받는 교사가 대체로 줄어드는 등 지난 7년간 학생 행동과 관련해 일부 개선된 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박을 받아본 교사는 남자의 경우 25%로 2001년의 30%에서 줄었고 여자는 22%에서 17%로 감소했다. 그러나 4%의 남자 교사와 3%의 여자 교사는 매주 협박을 받고 있다고 응답해 2001년의 매주 협박받는 남ㆍ여교사 비율 2%와 0.5%보다 높아졌다. 학생들의 반항적인 행동
김기찬 교장선생님께서 본교 교직원들에게 일본 구미야마고교 방문단을 소개하고 있다. 12월 29일(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에 소재한 중산고등학교(교장 김용진) 교직원 70여 명이 본교를 방문했다. 중산고등학교의 이번 방문은 본교의 뛰어난 교육과정과 선진화된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것이다. 일행 등은 2시간 여 동안 본교에 머물며 김기찬 교장선생님과 진로지원부장의 특강을 듣고 과학실험실, 기가실, 도서관, 영어전용교실 등 시설견학을 마치고 돌아갔다. 일본 구미야마고교 카누부 학생과 인솔교사들
12월 29일(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에 소재한 중산고등학교(교장 김용진) 교직원 80여 명이 본교를 방문했다. 중산고등학교의 이번 방문은 본교의 뛰어난 교육과정과 선진화된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것이다. 일행 등은 2시간 여 동안 본교에 머물며 김기찬 교장선생님과 진로지원부장의 특강을 듣고 과학실험실, 기가실, 도서관, 영어전용교실 등 시설견학을 마치고 돌아갔다. 중산고등학교 이철훈 교감선생님께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기찬 교장선생님의 특강을 경청하는 일산 중산고등학교 교직원 일동
한국학술진흥재단(학진)이 BK(두뇌한국)21사업단 신규 신청대학의 당초 심사 결과를 백지화한 결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학진은 'BK(두뇌한국)21사업 전문서비스-MBA(전문경영대학원)'사업단 심사 과정에서 신분상 무급휴직 중인 교수가 연구진 명단에 포함되는 등의 문제가 불거짐에 따라 공정성을 기하는 차원에서 신규 신청서를 냈던 서강대와 이화여대에 대한 재평가를 30일 실시한다. 이 사업단 선정은 기존 사업단 4곳 중 사업평가 1∼3위(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는 계속 지원하고, 나머지 1자리를 놓고 기존 사업단 4위와 신규 신청 사업단 1위가 경쟁을 벌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신규 신청서를 낸 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당초 심사에서는 서강대가 1위를 차지했고 이에 따라 서강대는 기존 사업단 4위였던 연세대와 최종 경쟁하고 있었다. 그러나 서강대 신청서 명단에 포함돼 있는 교수의 자격 조건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기존 평가결과가 백지화됐고, 당초 심사에서 1-2위를 했던 서강대와 이화여대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게 된 것. 지난 2006년 8월까지 서강대 전임교수였던 K교수는 2006년 9월 개인적인 이유로 한국을 떠난 뒤 미국 S대학에서 교수로 만 2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에 따라 설립되는 자율형 사립고 운영계획의 구체적인 윤곽이 29일 공개됐다.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는 말 그대로 고교의 유형을 다양화해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현행 평준화 체제의 단점을 보완하겠다는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 교육 정책이다. 이미 운영 계획이 발표된 마이스터고, 기숙형 고교가 각각 전문계고, 공립고의 형태를 다양화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자율형 사립고는 일반 사립고를 한층 발전시킨 모형으로서 내년 30곳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총 100곳이 지정될 예정이다. 자율형 사립고 지정을 통해 사립고교 간 경쟁을 촉진한다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또하나의 입시 명문고를 탄생시켜 사교육을 더욱 유발하고 학교 서열화를 초래할 것이란 논란도 만만치 않다. ◇ 어떻게 운영되나 = 자율형 사립고는 교육과정, 교원인사, 학사관리 등에서 학교의 자율성을 대폭 확대해 학교장이 건학 이념에 맞게 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 학교를 말한다. 일반 사립고교 가운데 일정 요건을 갖춘 학교가 자율형 사립고로 전환을 희망하면 시도 교육감이 심사해 지정하게 된다. 자율형 사립고로 전환되면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사학 나름
록 가수 윤도현, 뮤지컬 배우 남경주, 모스틀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마에스트로 박상현이 소외된 10대 청소년들의 멘토로 나선다. EBS 다큐프라임은 29~31일 오후 9시 50분~10시 40분에 예술나눔 프로젝트 3부작 ‘나의 노래는 나의 힘’을 방송한다. 세 명의 예술가들이 청소년과 함께 음악에 대한 열정을 교감하면서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90일간의 여정을 담아냈다. 1부 ‘열정, 록으로 날다’에서는 가수 윤도현이 가난한 고교 록밴드 ‘칠리파우더’의 꿈을 펼쳐나가는 과정을 돕는다. 음악에 대한 열정과 뛰어난 자질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이혼과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음악에 대한 꿈을 펼치기 어려운 ‘칠리파우더’ 멤버들. 윤도현은 이들에게 자신의 콘서트 오프닝 게스트로 설 수 있는 자격을 주기로 하고, 이들의 무대를 향한 고군분투는 시작된다. 2부 ‘클래식, 순수를 만나다’에서는 지휘자 박상현이 강원도 ‘영월 청소년 합창단’과 예술의 전당에 오르기 위한 본격적인 연습의 과정을 담았다. 합창단원 중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18살 소녀는 지휘자의 역할을 해내기 위한 훈련에 돌입한다. 3부 ‘꿈꾸는 뮤지컬’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소년들에게 뮤지컬을 가르치는 자선학교
쟁점 법안 처리를 둘러싸고 여야가 극심하게 대치하는 가운데 한나라당이 연내 처리 85개 법안을 발표했다. 이 중에는 당초 빠졌던 교육세법이 포함돼 교총이 이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29일 발표했다. 교총은 “모든 교육계가 반대하는 교육세법 폐지안을 연내 강행처리하고, 사회적 합의안인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이 누락된 것은 선후가 바뀐 것”이라며 이를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성명에서 교총은 “85개 법안 중 교육세법 폐지안, 교원평가 관련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등은 우리 교육의 근간을 담보할 중요한 법안이니만큼 기획재정위,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등 관련 상임위서 신중한 검토와 심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이 11일 교육세법 처리안을 유보키로 했다가 또 다시 지방교육재정교부율의 소폭 상향 조정으로 이를 강행처리하려는 것은 국정을 책임진 여당으로서의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고 밝혔다. 교육세 폐지 대신 지방교육재정교부율을 현행 20%에서 20.5%로 상향 조정하려는 것은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선 정부의 감세 정책으로 인한 정확한 감세규모를 추정할 수 없고 ▲교부율 0.5% 인상으로 교육세 폐지에 따른 교육재정 감소를 실질적으로 보전할 지 의문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