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는 어린이날인 5일 다양한 특집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오전 8시 30분에는 특집 애니메이션 '괴물 그루팔로'를 만날 수 있다. 줄리아 도널드슨과 악셀 셰플러가 만든 화제의 동화책이 원작으로, 지난해 크리스마스에 BBC를 통해 처음 방송된 최신작이다. 오전 9시에는 EBS 공사창립 10주년 어린이날 특집으로 진행된 'EBS 캐릭터 대잔치'가 이어진다. EBS를 대표하는 캐릭터들이 최고의 캐릭터가 되기 위해 펼치는 도전과 모험이 뮤지컬 형식으로 전개된다. 오전 10시 20분에는 2004년 아카데미 최우수 애니메이션상을 받은 '니모를 찾아서'가 방송된다. 디즈니-픽사의 5번째 작품으로, 호주의 아름다운 바다 속을 배경으로 열대어들의 모험을 그린 가족 영화다. 오후 12시 10분에는 단편 클레이 애니메이션 '월레스와 그로밋-빵이냐 죽음이냐'를, 12시 40분엔 가족영화 '꼬마돼지 베이브'를 편성한다. 오후 8시 방송되는 '리얼리티쇼 유아독존'도 '어린이날 제주도 특집 여행을 떠나요' 편으로 마련됐다.
경북도교육청은 초·중학교 20곳을 '작은 학교 가꾸기' 사업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작은 학교 가꾸기'는 도교육청이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따른 농·산·어촌의 황폐화를 막기 위해 2008년 처음 시작한 것으로 그 대상은 학생수가 50명 안팎의 학교이며 공모를 통해 발전가능성, 지역 여건 등을 종합 심사해 뽑았다. 이 가운데 포항 죽장초등, 경주 사방초등, 구미 덕촌초등, 영천 중앙초등 화남분교장, 상주 화북초등, 경산 대동초등, 의성 구천초등, 청송 안덕초등, 성주 월항초등, 칠곡 낙산초등, 봉화 봉성초등, 울릉 남양초등, 김천 감문중, 안동 북후중, 의성 봉양중, 울진 매화중 등 16곳은 올해 새로 선정됐다. 또 2008년에 선정된 안동 풍서초등, 영주 문수초등, 상주 내서중, 청도 남성현초등 등 4곳은 학생수 증가 등 실적이 우수해 사업 기간을 1년 더 연장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이 학교들을 대상으로 특색있는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추진하는데 드는 비용을 적극 지원하고 연구시범학교로 운영하는 등 '작은 학교 가꾸기'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또 20개 학교는 최대 5년동안 통·폐합을 유예하고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해 학생수가 늘어나고 복식학급
대구대학교(총장 홍덕률)는 오는 3일 경산캠퍼스에서 개교 54주년 기념식과 함께 학교 발전 새 비전인 '학생이 행복한 대학' 선포식을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대구대는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학 구조조정 본격화 등 대학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창조적 전환의 계기로 만들기 위해 학교 정책과 자원을 학생에게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홍덕률 총장은 "지금까지 교수·행정 중심이던 대학경영 패러다임을 학생 중심으로 바꿔 학생이 찾아오는 대학, 학생 중심의 대학, 학생을 위한 대학으로 변화하고 학생의 역량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구대는 3대 발전목표로 '존경 받는 따뜻한 대학', '인재를 키우는 밝은 대학', '경쟁력 있는 힘찬 대학'을 세우고 이를 실현하는 10대 중점 분야를 제시했다. 학생 분야로 최적의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신입생과 재학생의 기초교육 및 학과 맞춤형 그룹훈련 강화, 문화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기르는 대학문화 조성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교육 분야에서 특화된 'DU교육인증제' 운영과 학제간 콜로키움 활성화 등을, 교수·연구 분야에서 교수 역량의 세계적 수준 육성과 신성장 동력 확보 등을 각각 핵심전략으로 내놓았다. 또 대학의 국
미국에서 유학 중인 한국 학생이 감소해 출신국가별 유학생 순위에서 중국에 이어 2위로 밀려났다. 미 국토안보부 이민통계국(OIS)이 30일 발표한 '2009회계연도(2008.10~2009.9) 비이민자 입국통계'에 따르면 학생비자(FI) 신분의 한국 학생은 11만 3519명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학생은 전체 유학생 89만 5392명 가운데 두 번째로 많은 12.7%를 차지했다. 한국 학생은 2008년도보다 1만 3666명이 줄었고 이는 한국의 경기침체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유학생은 전체의 14%로 가장 많았고 인도(9.0%)와 멕시코(8.2%)가 3,4위로 집계됐다. 한국 학생은 출신국가별 순위에서 2008년도(전체 14.8%)까지 부동의 1위를 지켰으나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줬다. 또 미국 내 한국인 단기 체류자는 전체 343만8천명 중 19만 2970명으로 집계돼 출신국가별로 멕시코와 인도, 일본, 캐나다, 중국, 영국에 이어 일곱 번째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