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만 서울시학생교육원 원장은 이번 달부터 전환기 학생(초6․중3․고3), 학교생활부적응학생, 사회적 배려대상학생 등 2만 2600명을 대상으로 ‘2012 해피드림캠프’를 운영한다. 캠프는 학생들의 진로 탐색 능력과 건전한 청소년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개최되며 챌린지 활동, 역할 산행, 실내․외 암벽타기 등의 프로그램이 실시된다.
이경숙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7일 고려대에서 제3기 한국인재멘토링네트워크 발대식인 ‘KorMent Day’ 행사를 개최했다. KorMent는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대학생에게 전수하는 국가 인재육성지원 프로그램이다. 올해에는 300여명의 멘토가 2400여 명의 멘티와 1년 동안 온라인으로 대화하고 매월 정기적인 만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된다.
우기종 통계청장이 내달 7일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제14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를 개최한다. 기존의 문제풀이에서 이번 대회부터는 포스터 그리기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참가자는 3명 이내로 팀을 만들어 5월7일부터 18일까지 홈페이지(www.통계활용대회.kr)에 접수하면 된다.
남정권 경기 부천공고 교사가 지난달 30일 교직을 이수하려는 비사범계 학생이나 교육공학의 초보자들을 위한 ‘교육공학의 기초’를 발간했다. 이 책은 교육공학에 대한 개념과 주요이론, 매체와 교수․학습방법 등을 쉽게 풀어 설명했다.
신덕엽 새미시문학회 회장(전 부산 당리중 교사)이 최근 ‘함박눈을 향한 기도’(2011년 새미시문학회 제9집)을 펴냈다. 1999년 창단된 새미시문학회는 매년 회원들의 작품을 모아 작품집을 발간하고 있다.
김종훈 제주대 교수가 10일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발간했다. 스크래치란 8세 이상 어린이의 지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미국 MIT 공대에서 개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다. 이 책은 초등학생도 쉽게 배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양기락 한국야쿠르트 대표가 서울시·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희망저금통 캠페인’ 협약식을 맺고 4만6000개의 저금통을 제작, 6월부터 10월까지 모금활동에 들어간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모금된 금액은 서울시 저소득가구 아동 교육비 지원사업인 ‘꿈나래 통장’에 지원된다.
▲전략기술개발관 전담직무대리 노경원 ▲장관비서실장 김성수
1992년 한·중 수교 직후 서울에서 북경으로 가는 방법은 천진을 통해 가는 방법밖에 없었다. 북경으로 가는 직항편이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북경은 저녁 7시만 되면 대부분의 상점이 문을 닫았다. 급히 무엇을 사려고 해도 살 곳이 없을 정도였다. 20년이 지난 중국은 이제 천지개벽의 모습이다. 고층빌딩이 즐비하고, 밤늦도록 상점의 불이 꺼지지 않는다. 집값이나 물가수준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높아졌다. 이제 중국은 세계경제대국으로 성장했고, 전 세계에 물건들을 공급하는 공장이 되었다. 수치상으로 봐도 중국은 현재 막강한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53개 기업이 세계 500대 기업에 포함돼 있다. 시가총액기준으로 국영석유회사인 시노덱은 3262억 불로 세계2위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시총 1382억 불의 2배에 달한다. 구매력 기준으로 보면 중국의 경제규모는 약 10조 달러에 달한다. 미국이나 유럽연합의 12조 달러와 규모가 비슷하다. 외환보유고도 3조2000억 달러를 넘어서 군계일학을 자랑하고 있다. 국제정치에 미치는 영향력도 막강해졌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팍스 아메리카에 빗대어 팍스 시니카(Pax Sinica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라는 신조어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으로 유난히 타민족에 대한 배타심이 강한 우리는 이민자 수가 점점 많아지는 현실에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준비를 지금부터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식과 행동의 방향 전환이 우선 첫째, 가장 우선이자 중요한 것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의식과 행동을 다문화 수용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직접적으로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일반학생과 다문화가정 학생이 한 팀을 이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대회나 행사를 개최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우수사례 중심의 다문화 이해교육 자료를 개발한다. 다문화가정 및 학생이 갖는 강점을 발굴하고 확산시켜 다문화가정에 대한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인식,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스스로의 인식 등을 바꿀 필요가 있다. 다문화·인권을 강조하는 교과서 개편도 필요하다. 관련 교과에 타문화 이해·존중, 편견 극복 및 관용에 관한 내용, 그리고 결혼이민자 등 사회적 소수자를 포용하는 내용이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는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