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논단> 敎權立國과 행복교육 기수되길-신임 회장단 취임에 부쳐

새로 취임한 한국교총 제35대 회장단에 거는 교원들과 국민들의 기대는 남다르다. 신임 회장단은 다음과 같은 점에 초점을 맞춰 한국교총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첫째, 교권보호와 교권신장을 정책의 최우선에 두고 추진해야 한다. 전국적으로 교권이 크게 실추되고 훼손돼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교원들의 사기도 크게 저하돼 있다. 그런 만큼 교권 사수는 가장 화급한 과제다.

새교육 운동으로 日新又日新

우리 교육과 교단이 흔들리고 있는 것은 교권 추락에서 기인한다는 지적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 전국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여러 여론 조사를 종합하면, 교직 ‘불만족’ 비율이 60% 이상이고, 그 중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교권 침해를 호소하는 비율이 대체로 80%에 육박하고 있다. 따라서 교원들의 교권과 학생들의 학습권을 동시에 보호해 학교가 교원들이 보람으로 가르치고 학생들이 편안하게 배울 수 있는 배움터로 자리 잡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교원과 교육당국과의 소통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의 사회에서 개인과 조직이 원활하게 돌아가게 하는 열쇠는 바로 대화와 소통이다. 교원과 학교의 애환과 고뇌, 요구 등을 듣고 교섭 등을 통해 교육행정 당국을 설득하고 뜻을 전달하는 가교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대화와 소통을 적극적으로 잘 해낼 때 회원들은 감동하고 국민들은 신뢰를 보낼 것이다.

셋째, 한국교육 개혁의 기수와 향도가 돼야 한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한국 교육을 선도해 온 것은 누가 뭐래도 한국교총이다. 한국교총은 한국교육의 산 증인으로 반세기 이상을 교원들과 애환을 같이 해 왔다. 더러는 그동안의 공과에 대해서 신랄한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열악한 여건 속에서 이 땅의 교육 발전과 교원 권익 증진에 공헌해 온 한국교총의 업적은 절대 과소평가돼서는 안 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로 끊임없이 일신우일신해야 하는 만큼, 새교육 운동을 주창했던 정신으로 또 다시 제2의 새교육 운동으로 교육개혁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의 자주성과 정치적 중립성 확보에 각별히 노력해야 한다. 한국교총은 보수적 단체라는 일부의 비뚤어진 인식을 과감히 불식시켜야 한다. 사안별로 시시비비를 가리며 교육의 자주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담보하는데 앞장서야 한다. 교육의 자주성, 정치적 중립성 확보는 바른 길을 올곧게 가는 것이다. 아울러 교육의 현안 문제를 교육적 논리가 아니라, 정치적 논리, 경제적 논리 등으로 접근하려는 태도를 경계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교총의 정체성 확립에 가일층 노력해야 한다. 한국교총은 노조가 아닌 전문직교원단체다. 갈등과 대립을 통한 투쟁보다는 교육연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책을 선도하고 교권을 세워야 할 것이다. 50만 교원의 대변자이자 교직사회의 구심체로서 그 정체성을 선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 젊은 교사들이 스스로 가입하도록 유인하려면 다른 교원단체들과 비교 우위에 있는 바람직한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또 교원 권익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의 혜택을 국민 모두가 함께 누리도록 하는 포용의 기조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교육연구 전문성으로 정책 선도

다시 한 번 직선제로 첫 연임된 안양옥 회장을 비롯한 5명의 부회장들의 취임을 축하하며 임기 동안 교원들의 권익 신장과 교육 발전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 주기 바란다. 교단을 안정시키고 교원들이 긍지를 갖고 학생 지도와 교육 발전에 헌신할 수 있는 단단한 토대를 만들어주길 성원한다. 교원과 교육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든든한 울타리가 돼주길 바란다. 부디 임기 동안 사심을 버리고 초심을 잊지 말고 헌신하기를 바란다.

물론 글로벌 시대 한국교육의 발전, 교총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회장단만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전 회원들을 비롯한 국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강력한 교총이야말로 35대 회장단의 비전과 박근혜정부 ‘행복교육’ 정책의 시금석이 된다는 점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