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北京)의 우수 사범대 교수와 박사들이 중학교 교단에 선다. 그것도 학력이 가장 떨어지는 학교에 골라 배치된다.
중국 최고의 사범대인 베이징사범대와 서우두(首都)사범대 교수와 이들 학교 출신 박사 55명이 19일 베이징시 교육위원회로부터 중학교 교직원 위촉장을 받았다고 베이징오락신보(娛樂信報) 등 현지 언론이 20일 보도했다.
이들은 2008년 12월까지 베이징시내 32개 '문제학교'에서 교감, 고문 등으로 재직하며 교육수준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장 존경받는 위치에서 중학교로 '하강'을 흔쾌히 수락한 교육전문가는 박사과정 지도교수 10명과 교육학 박사 45명이며, 기초교육 전문연구원 32명도 이 대열에 동참했다.
시 교육위가 교육계의 '최고급인력'을 중학교로 초빙한 것은 학교간 학력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베이징시내 중학교간 학력격차가 갈수록 벌어져 어떤 형태로든 치유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교사진과 학교시설 등 전반적인 교육여건이 우수한 시범학교는 보통학교에 비해 이른바 명문 고등학교 진학률이 높아 보통학교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들의 불만이 크다. 시범학교는 한국의 특수목적고와 비슷한 성격이다.
시교위는 이번 기회에 시범학교와 함께 명문고 진학이 보장되다시피 하는 '중점학교'의 개념도 바꾸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지금까지와는 정반대로 교육여건이 우수한 학교 대신 학력이 떨어지는 학교를 중점학교로 지정해 교육전문가들로 하여금 학력향상을 이끌도록 한다는 것이다.
시교위는 5천만위안(약 59억원)의 학력평준화 예산을 편성, 이 사업을 진행하는 한편 교사 연수 등을 통해 중학교육의 균형발전을 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