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4.8℃
  • 박무서울 12.3℃
  • 대전 14.4℃
  • 맑음대구 18.5℃
  • 맑음울산 18.1℃
  • 맑음광주 16.9℃
  • 맑음부산 18.5℃
  • 구름조금고창 15.4℃
  • 맑음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9.4℃
  • 구름많음보은 14.3℃
  • 구름많음금산 15.1℃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6℃
  • 맑음거제 1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지구촌 사람들] 고대 로마에서 현대 문명까지,  문명의 멜팅팟을 만나다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까지 그 영향력을 뻗었던 나라 오스만 튀르크. 대제국의 수도였던 이스탄불에는 기독교와 이슬람이 오랜 시간 뒤엉킨 흔적이 남아있다. 고대 로마의 유적도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동서양의 문명이 만나는 곳 튀르키예. 특히 실크로드 상인들이 반드시 거쳐야 했던 도시였던 이스탄불은 동서양 문물 교류의 중심점이었다. 고대 히타이트부터 시작해 프리지아·우라티아·리디아와 로마문명·기독교·이슬람문명이 녹아든 곳이 바로 튀르키예이다. 그래서일까, 영국의 역사학자 토인비는 튀르키예를 두고 ‘인류 문명의 살아 있는 옥외박물관’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동서양 문명의 교차로, 이스탄불
이스탄불의 시작은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 통치자 비자스는 오랜 기도 끝에 ‘눈먼 땅에 새 도시를 건설하라’는 델피 신전의 신탁을 받는다. 이 의미를 깨닫기 위해 고심하던 비자스는 보스포루스 해안 맞은편 언덕과 마주친 순간 무릎을 치게 된다. 그곳에는 보스포루스·마르마라해·에게해, 이 세 바다가 만나는 천혜의 요새에다 세상의 절경이 숨어 있었던 것이다. 그 누구도 눈이 멀어 미처 보지 못했던 언덕에 비자스의 도시 비잔티움이 태어났다. 이것이 바로 이스탄불의 시작이다.

 

 

하지만 도시의 운명은 순탄치 않았다. 서기 330년에 로마의 콘스탄틴 대제가 수도를 로마에서 이곳으로 옮기면서 콘스탄티노플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200년에는 십자군의 침략을 받고 다시는 회복하기 힘들 정도로 초토화된다. 그러다가 1453년 비잔틴 제국이 무너진 후, 술탄 메흐메트 2세에 의해 오스만 제국의 수도인 이스탄불로 자리를 잡게 된다. 이스탄불은 6세기에 이미 인구가 50만 명, 9세기에는 1백만 명이 넘었던 거대도시였다. 지금도 인구가 1,200만 명에 달하며, 해마다 평균 2,000만 명의 관광객이 찾아든다.


이런 이스탄불을 대표하는 건축물이 바로 아야 소피아(Aya Sofia) 성당이다. 세계 4대 교회 건축물 중 하나다. 이 성당이 처음 지어진 것은 4세기인데, 이스탄불이 콘스탄티노플이란 이름으로 동로마(비잔틴 제국)의 수도로 번영을 구가하던 시기였다. 1만 명의 인부가 5년에 걸쳐 지었다는 아야 소피아 성당은 1453년 콘스탄티노플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기 전까지 약 900년 동안 동방정교회의 총본산이었으며, 1593년 성 베드로 대성당이 들어서기 전까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성당이 건립되었을 당시 이름은 하기아 소피아(Hagia Sofia)인데, 튀르키예 사람들은 아야 소피아라고 부른다. ‘성스러운 지혜’라는 뜻. 현재 이스탄불에 있는 아야 소피아 성당은 532년 반란으로 파괴된 것을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다시 지은 것이다.


아야 소피아 성당은 고난이 많은 건축물로도 유명하다. 십자군 전쟁 때는 십자군들의 약탈 대상이 됐고,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는 이 성당에서 밀려오는 투르크 군을 바라보며 화염 속에 몸을 던져 자결하기도 했다. 메흐메트 2세는 이스탄불을 점령하고도 성당을 파괴하지 않았다. 다만 1453년부터 이슬람 사원으로 사용되면서 종·제단 등을 제거했고, 기독교풍의 모자이크는 회반죽으로 덮었다.

 

이후 튀르키예의 아버지로 추앙받는 케말 파샤(아타튀르크)가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이곳을 박물관으로 바꾸면서 아야 소피아 성당은 고난의 시대를 마감했다. 성당 내부에는 코란의 경전을 새긴 금문자와 최근에 복원한 성화가 있는데, 그것들이 파란만장했던 이스탄불의 역사를 웅변해 줄 뿐이다.


까다로운 보안검색을 거쳐 성당 안으로 들어서면 장엄한 분위기와 웅장한 규모에 압도당한다. 드높은 천장의 화려한 모자이크는 보는 이의 감탄을 불러일으킨다. 중앙 돔의 높이가 자그마치 55m에 지름이 31m다. 돔에는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마리아 성화가 그려져 있고, 양옆에는 커다란 원반에 이슬람을 상징하는 금색 문자가 나란히 걸려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혼재하는 것이다.

 

2층 회랑에서는 곳곳에 숨어있는 모자이크 성화를 눈여겨보자. 비록 많이 훼손됐지만, 정교함과 화려함은 사라지지 않았다. 아야 소피아 성당의 개장식 때 황제가 내부의 화려함을 보고는 “오, 솔로몬이여! 내가 당신을 이겼소!”라고 소리쳤다는 것이 이해되었다. 


 

 

블루 모스크와 그랜드 바자르
아야 소피아와 마주한 술탄 아흐메드 모스크는 오스만 제국의 14대 술탄 아흐메드 1세가 17세기에 세운 이슬람 사원이다. 직경 27.5m의 커다란 중앙 돔과 이 돔을 받치고 있는 작은 돔으로 지붕이 이뤄져 있다. 웅장한 외관에 걸맞게 첨탑 미너렛이 6개 서 있다.

 

당시 술탄이 모스크의 미너렛을 황금으로 짓도록 했는데, 자금이 부족해지자 건축가가 황금(알튼, altin)과 숫자 6(알트, alti)의 발음이 비슷해 황금 대신 미너렛을 여섯 개 세웠다고 한다. 내부 벽면을 장식하고 있는 2만 개 이상의 파란색 타일과 260개의 파란 유리창이 푸른빛을 띠어 성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 이로 인해 블루 모스크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관광객들이 빼놓지 않고 들르는 곳이 그랜드 바자르다. 바자르는 중앙아시아의 도시마다 있는 시장을 뜻하는데, 이스탄불에 있는 그랜드 바자르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바자르 가운데 가장 크고 화려하다. 역사는 무려 500년에 달한다. 현재 5,000개의 상점이 몰려있는데, 보석·장신구는 물론 화려한 튀르키예의 그릇·조명·가죽류와 입맛을 유혹하는 튀르키예식 젤리·향신료, 그리고 액세서리 가게 등이 들어서 있다.  


그랜드 바자르의 모든 입구에는 번호가 쓰여 있다. 만약 내가 왔던 길을 그대로 돌아가고 싶다면 이 번호를 꼭 기억해 두는 것이 좋다. 워낙 큰 시장이다 보니 어느 입구로 나오느냐에 따라 위치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번호를 모르면 길을 헤매기 십상이다. <지중해기행>을 쓴 동화작가 안데르센은 “콘스탄티노플에 가면 꼭 그랜드 바자르를 보고 와야 한다. 이 도시의 심장부가 거기 있다”고 까지 했다.

 

 

미식가를 만족시키는 튀르키예 음식
튀르키예 음식은 프랑스·중국과 함께 세계 3대 요리로 불린다. 중앙아시아의 유목문화와 비잔틴의 지중해성 문화,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화려한 대제국 문화가 융합되어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달했다. 술탄이 살았던 톱카프궁전 부엌은 요리사만 300여 명에 달했을 정도로 컸다고 한다. 하루 1만 명이 먹을 음식을 만들면서도 술탄의 상에는 똑같은 음식을 내지 않았다니 튀르키예 요리의 다양함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튀르키예를 대표하는 음식은 ‘케밥(Kebab)’이다. ‘구이’라는 뜻으로 물이 풍부하지 않은 유목생활에서 비롯된 음식이다. 케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긴 쇠꼬챙이에 고기를 꿰어 구워 먹는 요리를 떠올리는데, 사실 육류를 불에 구워내는 것은 모두 케밥이다. 케밥은 지역과 굽는 방식, 그리고 육류에 따라 수없이 분화되었다.

 

오늘날 튀르키예 케밥의 종류는 200~300가지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가 가장 흔히 먹는 케밥은 도너케밥으로 고기를 얇고 넓적하게 썰어 기다란 쇠꼬챙이에 겹겹이 끼워 바깥에서 열을 가해 익힌 것이다. 익은 부분을 잘게 썰어 피데라고 하는 넓적하게 구운 빵 속에 야채와 함께 넣어 먹는다. 


아이란(Ayran)은 튀르키예의 국민음료다. 요구르트에 물을 섞어 희석한 것인데 묽은 요구르트라고 보면 된다. 수시로 마시는 차와 커피문화 또한 독특하다. 튀르키예식 커피는 맛이 강하고 색도 짙다. 물에 커피가루를 넣고 그대로 끓이는데, 이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커피 제조법 중의 하나다. 잘 못하는 곳에서 커피를 마시면 가루가 많이 씹힌다. 


여행을 하며 가장 짜증이 나는 순간 중 하나가 맛없는 음식을 먹을 때다. 특히 모르는 사람과 마주하는 형식적인 자리에서 ‘형식적인’(모양만 갖춘 맛없는 요리) 코스 요리를 먹다 보면 여행의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기분이 들어 화가 날 정도다. 하지만 튀르키예에서는 그런 염려는 접어도 된다. 우리가 흔히 터키쉬 딜라이트라고 부르는 로쿰은, 하나를 집어 입에 넣는 순간 그 달콤함으로 모든 여행의 모든 피로와 근심을 잊게 해준다. 모든 일들이 행복한 쪽을 향해 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