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이 현저히 높은 학교의 학력을 끌어올리려고 시행하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지원 사업이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과부에 따르면 2008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5개 교과의 전체 기초학력 미달률이 전국 평균의 배를 넘는 1440개교를 선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한 결과 87.2%인 1255개교가 지난해 평가에서 미달 기준을 넘어섰다. 이들 학교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도 초 6학년이 6.4→2.4%, 중3은 23.1→11.4%, 고1은 28.9→15.4%로 최고 13.5%포인트나 떨어졌다. 이 같은 감소폭은 전체 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감소폭인 초6 0.7%포인트(2.3→1.6%), 중3 3%포인트(10.2→7.2%), 고3 3%포인트(8.9→5.9%)보다 엄청나게 큰 것이다. 교과부는 그 이유로 정부의 행·재정 지원, 학교장의 리더십, 교사의 책임지도 등을 꼽았다. 지난 해 이들 학교에 평균 5800만원씩 총 840억원을 투입해 학습부진 예방-진단-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게 하고 학습 보조강사 4793명을 지원하는 등 물적·인적 자원을 쏟아부었다는 것이다. 교과부는 이번 평가에서 또 미
작년에 학업성취도 성적조작 파동을 겪었던 전북 임실군 초등학교의 올해 평가 결과는 중상위권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이 열악한 농촌지역인 임실은 작년 성취도에서 '최상위'로 평가받아 세간의 관심을 끌었으나 사흘 만에 일부 과목의 성적 조작이 드러나는 바람에 전국적인 망신을 샀다. 그러나 해당 교육청은 당시에도 임실지역 초등교의 성적은 최상위는 아니었지만 도내에서 상위권에 속했고 올해 성적도 작년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3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09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임실지역 초등교는 과학 과목에서 기초 미달자가 한 명도 없었다. 이는 도내 14개 시·군 중에서 유일하며, 전국적으로도 180개 지역 교육청 중 총 8개 지역에 불과하다. 수학과 사회 과목의 기초 미달률도 각각 0.9%에 불과해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낮았고 나머지 국어(3.0%)와 영어(2.2%) 과목의 미달자도 도내 평균치인 3.3%와 3.45%에 비해서도 낮은 편이다. '보통 이상'의 평가 역시 도내 평균와 엇비슷햇다. 전북도 교육청은 "임실지역의 성적이 전주나 군산 등 도시와 비슷한 상위권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하면서 "작년에도 최상위 그룹은 아니었지만 상위권에 속했다"고 말했다.
2009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대전 동-서 지역의 교육 수준 격차가 확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3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밝힌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대전의 경우 서부교육청 산하 학교의 학업성취도가 예외없이 전 과목에서 동부교육청 산하 학교를 앞질렀다. 초등학교 6학년생의 학업성취도를 보면 서부교육청의 경우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국어 0.8% ▲사회 0.5% ▲수학 0.6% ▲과학 0.5% ▲영어 0.8%로 모두 1%를 밑돌았다. 반면 동부교육청의 경우 ▲국어 1.6% ▲사회 1.0% ▲수학 1.3% ▲과학 0.8% ▲영어 1.9% 등 과학을 제외한 나머지 전 과목에서 1%를 넘기며 서부교육청의 평가결과를 크게 웃돌았다. 중학교 3학년생의 결과도 다르지않아, 과목별 서부-동부교육청의 '기초학력 미달비율'을 보면 ▲국어 2.4%-4.1% ▲사회 4.4%-6.6% ▲수학 6.8%-11.4% ▲과학 5.1%-7.0% ▲영어 2.9%-5.4% 등 전 과목에서 동부교육청 산하 학교의 기초학력 미달자 비율이 높았다. 이는 시 규모가 엇비슷한 광주교육청, 울산교육청 등과 비교했을 때도 매우 이례적인 일로 광주, 울산교육청 산하의 2개
3일 발표된 2009학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대구시교육청은 전 분야에서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가운데 중상위권을 차지했다. 대구교육청은 이날 고교 1학년생의 학업 성취도에서 국어는 기초학력 보통 이상이 89.7%로 16개 시·도 교육청 중 7위, 사회 44.7%로 9위, 수학 69.7%로 4위, 과학 64.1%로 6위, 영어 70.4%로 5위를 나타냈다. 중학교 3학년은 국어 73.3%로 5위, 사회 68.6%로 5위, 수학 62.6%로 2위, 과학 65.3%로 6위, 영어 76.3%로 1위를 각각 차지했다. 그러나 초교 6학년의 경우 기초학력 보통 이상은 국어 83%로 16개 교육청 가운데 6위, 사회 71.4%로 10위, 수학 86.6%로 13위, 과학 90.7%로 8위, 영어 83.8%로 10위를 기록해 중위권을 면치 못했다. 한편 지역 교육청별 학업성취도에서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구가 포함된 동부교육청이 대구지역 4개 지역 교육청을 통틀어 가장 높은 성취도를 기록했다. 대구 동부교육청의 중학교 3학년 중 보통 이상의 학력 비율은 국어 77.5%, 사회 73.5%, 수학 67.8%, 과학 69.7%, 영어 81.1%로 남부·달성·서부
경기도교육청은 3일 발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경기도가 초중고 모두 하위권으로 나오자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국어·사회·수학·과학·영어 등 5개 교과에 대한 학업성취도 수준에서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16개 시도 중 초6학년 2.1% 공동 최하위, 중3학년 7.8% 13위, 고1학년 7.5% 15위로 나타났다. 보통학력 이상자 비율도 초6학년 79.2% 15위, 중3학년 61.8% 14위, 1학년 59.3% 15위로 바닥권으로 나왔다. 다만 중3학년의 경우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전년에 비해 4.1% 줄어 충북에 이어 기초학력미달 기준 향상도 우수 교육청으로 선정됐다. 전년도 경기도 기초학력 미달비율은 초6학년 12위, 중3학년 15위, 고1학년 13위로 이번에도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내부에서는 도농간 격차, 과밀학급, 교사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선학교의 자율권을 주는 대신 교사가 학생의 학력을 책임지는 학력책임제가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경기교육청 정순권 중등장학담당 장학관은 "학력책임제가 성과를 거두려면 교사들의 마인드가 중요하다"며
인천 구월서초 입학식서 화분 선물해 지난해 인천 동부교육청에서 실시한 학교평가에서 '종합 최우수학교'로 선정된 인천구월서초등학교(교장 조규석)는 2일 입학식에서 새 출발하는 어린이들이 생명의 소중함을 깨달으며 자기의 비전을 키워나가는 어린이가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230여명의 신입생들에게 다년초인 제라늄, 로즈마리, 바이올렛 등 화초를 심은 화분을 입학 선물로 나눠줘 입학식에 참석한 학부모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6학년 언니, 오빠들로부터 화분을 고사리같은 손으로 전달받은 새내기들은 두 손으로 꼭 잡고 “내가 매일 매일 물을 주고 잘 키울 거예요. 6학년 때까지요”라고 말하며 즐거워했다. 그것을 본 학부모들도 자녀와 함께 행복해하는 모습이었다. 선물로 받은 화분은 각자 집으로 가져갔다가 다시 학교로 가지고 와 교실에서 1년 동안 키울 예정이다.
인천시민들의 지대한 관심속에 인천의 첫 기숙형 공립 외고인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교장 오혜성)가 3일 교육계 내빈을 비롯한 많은 학부모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입학식 및 초대 오혜성 교장 취임식을 가졌다. 새내기 모두가 기숙사 생활을 하는 인천 첫 공립 외고인 만큼 입학식도 남다르게 진행됐는데 모든 식순은 우리말과 영어로 동시에 진행했고, 새내기 대표 이건희 학생이 “성실한 학생, 학업에 열중하는 학생, 창의적인 학생이 되겠다.(First, we pledge to be truthful and sincere students. Second, we pledge to study hard for ourselves and for others. Third, we pledge to do our best to be wise and creative students.)”는 내용의 선서를 우렁차게 외치자, 참석한 내빈들은 뜨거운 박수로 화답했다. 오혜성 교장은 취임사를 통해 “Cherish the vision, Challenge the future”란 교훈으로 “21세기 세계화를 주도할 따뜻한 품성을 지닌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위하여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해 나갈 것”
금년부터 교과부가 토론식 수업방법을 새로운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주입식 교육으로는 클로벌 인재 육성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이젠 더 이상 간과해서는 교육의 국제경쟁력이 없다는 생각을 이제야 인식한 것 같다. 미국에서 토론식 교육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학교로 알려진 필립스 엑시터의 ‘토론교육 현장’을 보면 보통 대학 상급 학년이나 대학원에서 하는 수업을 여기서는 9학년 때부터 훈련받고 11학년이 되면 능숙하게 토론을 하며 자유자재로 질문하고 답하는 분위기가 이뤄진다고 한다.교사가 다수의 학생들을 앞에 두고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우리 교육의 현실과는달리 교사와 10여 명의 학생들이 하크네스 테이블을 중심으로 둘러앉아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들 간의 대화를 통해 모든 수업이 진행된다. 45개의 하크네스 테이블이 교실에 처음 등장한 지 80여년이 흐른 현재도 하크네스 테이블은 모든 교실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인문계뿐만 아니라 수학, 과학, 음악 등 모든 과목에서 하크네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학교들이 토론식 수업을 시도하고 자랑하지만 필립스 엑시터처럼 하크네스 이념이 매일 모든 수업에서 실현되는 곳은 없다. '하크네스'란 타원형의 테이블이나
6월 2일 동시지방선거에 참여하는 유권자들은 당일 8장(제주지역 5장)의 투표용지를 받게 된다. 두 차례로 나눠 진행될 투표절차에서 교육감선거와 교육의원 투표는 광역의원, 기초의원과 함께 1차로 하게 된다. 단, 제주지역은 교육감과 교육의원만 1차 투표를 한다. 교육관련 투표를 먼저 하도록 한 것은 정당추천 지방선거와 연계된 기표를 막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설명이다. 지난달 25일 중앙선관위가 공개한 투표용지 견본에 따르면 처음 받은 4장의 투표용지 중 백색이 교육감 투표용지, 연두색이 교육의원 투표용지에 해당한다.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는 정당추천과 무관하기 때문에 투표용지에는 미리 추첨으로 정해진 순서로 이름만 기재돼 있다. 이와 관련해 선관위 관계자는 “교육은 백년대계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자녀의 장래는 물론 나라의 미래도 교육에 달려 있다”며 “중요한 교육정책을 결정하는 대표자를 선출하는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가 정당과 무관한 만큼 후보자 면면을 미리 자세히 살펴보고, 투표해 주시길 당부한다”고 밝혔다.
EBS는 고교 교사와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수능 교재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원고를 공모한다. 공모 분야는 언어, 외국어, 수리-가형, 수리-나형, 사탐, 과탐 영역으로, 공모 지원자는 최근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경향을 반영해 영역별로 1회분씩 집필해 제출(최대 3회분까지 응모가능)하면 된다. 개인이나 팀별로 참여할 수 있고, 수능이나 모의고사 기출문항은 배제해야 한다.원고료는 판매부수 등에 연동해 지급된다. 공모 지원자는 오는 4월 25일까지 이메일(ebsapply@ebs.co.kr)로 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