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12회 전주국제영화제 포스터가 일반에 공개되었다. 4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9일 동안 열리는 제12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자유·독립·소통’을 슬로건으로 180여 편의 영화가 상영될 예정이다. 지난 해의 209편(장편 131,단편 78편)에 비해 약간 줄어든 수치다.
우선 전주국제영화제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독립영화(비상업영화)들을 만날 수 있는 장(場)이다. 특히 오리지널 필름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은 전주국제영화제의 또 다른 가치이기도 하다. 전주시민 등 도민 말고 서울 등지에서 많은 이들이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아오는 것도 그 때문으로 짐작된다.
실제로 필자는 일반 극장에서 ‘함부로’ 볼 수 없는 여러 영화들을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볼 수 있었다. 예컨대 ‘로망스’(2000) ‘이쿠’(2001) ‘개 같은 나날’(2002) ‘켄 파크’(2003) ‘야수’(2004) 등이다. 한국영화로는 박진표 감독의 데뷔작 ‘죽어도 좋아’(2002)가 오래되었지만 기억에 남아 있다.
70대 노인들의 ‘이층집’을 통한 인생의 활력찾기를 그린 ‘죽어도 좋아’는 심의에서 제한상영가 판정을 받은 영화이다. ‘죽어도 좋아’는, 그러나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첫선을 보인 후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에 초청되어 호평받은 영화이기도 하다. 그런 경험은 확실히 짜릿한 설레임을 주는 전주국제영화제만의 색다른 의미이다.
벌써 지지난 해인가. ‘숏버스’는 2006년 프랑스 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지만, 국내심의에서 제한상영가 판정을 받았다. 수입사측의 소송 끝에 2년 3개월이 지난 2009년 3월 12일 국내 개봉이 이루어졌다. 그 이전 ‘숏버스’는 부산국제영화제와 언론시사회에서 공개된데 이어 시네마테크 전용관인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매진된 가운데 상영된 바 있다.(서울아트시네마는 등급분류를 받지 않은 영화도 비영리목적으로 사전에 특별상영할 수 있다.)
어차피 전주국제영화제가 내세운 슬로건중 하나가 ‘독립’이다. 제한상영가판정을 받았거나 이런저런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변태영화’들을 ‘회고전’ 형식으로 한 상 차려보면 어떨까? 너무 오래되었거나 이미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소개된 것 말고 최근 5~6년 전 영화들만으로도 상다리가 부러질 것 같은데…. 참고로 적어본다.
우선 2005년이다. ‘도쿄 데카당스’·‘신주쿠여고생납치사건’(일본), ‘흔들리는 구름’(대만), ‘빨간 구두’(이탈리아), ‘루시아’(스페인), ‘권태’(프랑스), ‘나인송즈’(영국)가 있다. 2006년 ‘남자들이 모르는 은밀한 것들’, ‘세르쥬노박의 겨울여행’(프랑스), ‘라이 위드 미’(캐나다), ‘기묘한 서커스’(일본), ‘죽여주는 여자’(스페인), ‘여름궁전’(중국) 등이다. 2007년 ‘나는 섹스중독자’·‘걸스라이프’(미국), 2008년 ‘동거·동락’·‘경축! 우리 사랑’(한국), ‘호기심이 고양이를 죽인다’(중국), ‘미스트리스’(프랑스), 2009년 ‘숏버스’(미국), ‘블랙 아이스’(핀란드), 오감도(한국), ‘엘레지’(스페인) 등이다.
이런 상차림은 괄호 속 국적에서 보듯 세계 각국의 제한상영가 또는 ‘변태영화’ 섹션이라는 점만으로도 많은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일반 관객과의 소통이 전주국제영화제의 중요 과제이긴 하지만, 독립영화의 적극 소개 역시 지향해야 할 방향이다.
‘워낭소리’나 ‘똥파리’같이 일반 극장 개봉을 통해 제법 널리 알려진 작품도 있지만, 우리가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만날 수 있는 독립영화의 진수는 뭐니뭐니해도 ‘발칙한 상상력’으로 빚어낸 색다름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