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 특기·적성교육 등 현행 교육과정 혁신안들이 대부분 교사로부터 '부담만 주고 효과는 없다' '향후 사라질 것이다'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한국교총은 최근 발간한 '학교현장의 교육과정 혁신안 적용 실태 및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전국 180개 초중고교 교원 10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었다. 이에 따르면 수행평가의 경우 '필요하지만 현장 여건상 도입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한 교사가 57.9%로 나타나 '점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38.9%)는 의견보다 20% 많았다. '교육행정기관의 요구·격려가 없다면 수행평가는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일부 시행될 것'이라는 응답이 57.8%, '사라질 것'이라는 응답이 33.1%에 달해 비관적인 전망이 압도적이었다. 특기·적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56.4%로 반수를 넘었지만 '필요없다'는 응답도 43.6%에 달해 학교안 특기·적성교육이 환영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교사들은 특기·적성교육이 '효과 있다'(34.2%)는 답변보다 '그저그렇다'(50.7%), '효과가 없거나 역효과가 난다'(15.2%)는 의견이 많았다. 열린교육의 미래에 대해서도 8.9
1999-10-11 00:00한국교총과 한국통신하이텔은 연초부터 공동으로 벌여온 교육정보화 사업의 기반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기위해 전국의 초·중등·대학교원과 교육전문직에게 하이텔ID를 무료로 제공하는 '스승 무료ID 보급사업'에 나선다. 7일 한국교총과 하이텔은 '무료ID 발급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전국의 40만 교원에게 정년퇴임까지 재직기간 동안 무료로 하이텔을 이용할 수 있는 '스승 무료ID'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교총과 하이텔은 8일부터 전국 초·중·고교로 공문을 발송하고, 각 학교별 ID개설 신청서를 받아 11월중 40여만개의 ID를 발급한다. 하이텔은 이용자 급증에 대비 이달중 6500개 포트를 증설하고 연말까지 총 1만회선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번 '스승 무료ID 보급 사업'은 지난 2월부터 한국교총과 공동으로 추진해 온 교육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교총소속 교사를 위한 사이버교실(go TEACHQ) 무료개설 △초중고생 이용료 할인 △멀티미디어 원격프로그램 무상 제공 △전국 교사 무료 인터넷교육에 이어 마련된 것이다. 무료ID 보급사업을 기획한 박인근 하이텔마케팅팀장은 "가속화되는 정보화의 물결속에서 교육정보화의 기본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약 40만개
1999-10-11 00:00국회교육위원회(위원장 함종한의원)는 4일 대구시·경북도교육청을 시작으로 5일간 지방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를 실시했다. 이번 지방교육청 국감에서도 의원들은 교원수급 문제, 교원의 사기 저하 등 현정부의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부산·경남·울산교육청 이수인의원(한나라당)은 "수행평가로 인해 일선교사들이 과중한 추가업무에 부담을 느끼고 있고 평가의 공정성과 타당성도 문제가 되고 있다"며 교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감 확보, 성적 부풀리기 경쟁 방지 등 대책을 물었다. 김허남의원(자민련)은 "도로, 철도, 항공소음으로 수업이 어려운 38개교가 있으나 아직 소음방지를 위한 특별한 계획이 없다"고 지적하고 시와의 적극적인 협의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영일의원(국민회의)은 "실업계 고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형 고교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데 통합형 고교가 되면 기존 교사 가운데 상당수가 전공이 아닌 과목을 가르치거나 교단을 떠나야 하기 때문에 자칫 교원 정년감축과 같이 혼란만 부추길 우려가 크다는 지적도 있다"고 주장했다. 안상수의원(한나라당)은 최근 퇴직때 받은 훈장을 반납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교원들이 있다는 언론 보도내용을 인용하며 정년단축에
1999-10-11 00:00△97년 대비 98∼99년 교육재정 결손 현황=97년(18조2709억) 대비 98년교육예산(17조4861억)은 6849억원 감소했으며, 99년교육예산(17조7799억)은 3910억원 감소했음. △지방자치단체 99 교육부문 재정지원 현황=서울 6145억, 부산 1494억, 대구 665억, 인천 703억, 광주 309억, 대전 367억, 울산 286억, 경기 449억, 강원 49억, 충북 41억, 충남 75억, 전북 46억, 전남 64억, 경북 77억, 경남 77억, 제주 25억. △97∼99년 소규모학교 폐교 현황=97년 150개교, 98년 222개교 폐지. 99년 추진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교 278개교·분교장 321개 폐지, 분교장 개편 225개, 통합운영 103개교 등 927개교 통폐합. 99년 5월 수립된 당초 계획에 따르면 99년 1136개교, 2000년 340개교, 2001년 310개교, 2002년 269개교 등 총2055개교를 통폐합할 계획이었으나 10월중 일부 수정해 변경계획 수립. 99년 계획 중 일부를 시기적으로 유보하되 2000년이후 추진 계획은 시기를 단축할 예정임. △99∼2003 학교 신설소요 수=초385, 중199, 고101,…
1999-10-11 00:00무리한 정년단축과 교원 사기침체로 인해 촉발된 초등교원 부족현상의 후유증이 심화되고 있다. 초등교원 부족을 메우기 위해 중등교원 자격증소지자를 단기 보수교육시켜 초등학교 정식 담임교사로 발령하려는 교육부 방침에 대해 초등 교육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서울교대 등 전국의 11개 교대 학생들은 7일 서울교대에서 연합집회를 갖고 일제히 수업거부에 들어가는 한편, 8일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었다. 교대 교수들도 정부의 중등교원 초등 임용방침에 우려와 분노를 느낀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교대 교수들은 정부는 무원칙한 교원 수급정책에 책임을 진 뒤 합리적 정책 입안을 촉구했다. 교대 교수들은 정부가 검토중인 중등교원 초등임용 기간제 교사들에게는 임시교사 자격증을 부여하고, 교대 재학생들에게는 조기졸업 기회를 제공해 수급문제를 해결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국교총도 7일 성명을 내고 중등교사자격자의 초등임용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교총은 초등교원 수급을 통한 교단안정을 실현하기 위해 65세 기준 명퇴기금 지급기간을 2천년 8월말에서 최소 2년 가량 연장해 명퇴 희망교원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총은 또 교원정년을 단계적으로 65세로 환
1999-10-11 00:00학급 및 교과담임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학년중임제와 담임연임제 실시학교가 크게 늘고 있다. 또 중등의 경우 한 학급에 두명 이상의 담임을 배정하는 복수담임제와 학급을 완전 분리해 별도의 담임을 배치하는 전교사 담임제를 실시하는 학교도 상당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반해 학생이나 학부모가 담임을 선택하는 담임선택제를 실시하는 곳은 전국적으로 전체 초등교의 2.4%에 불과한 135개교와 중등 7개교 등 142개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에 따르면 초등학교에서 학년 중임제를 실시하는 학교는 전체학교의 42%에 해당하는 2335개교에 달하며 담임 연임제를 실시하는 학교는 전체학교의 17%선인 940개교다. 중등 복수담임제와 전교사담임제 실시학급은 중학 6238학급, 고교 8423학급으로 전체 학급수 대비 19.3%에 해당한다. 이는 학교수 대비 전체 중학의 14.5%, 일반계고의 20.1%, 실업계고의 23.4% 선이다. 그러나 담임선택제는 열린교육, 인성교육, 창의성교육, 특기교육 등 학급별로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미리 공시해 학생 및 학부모가 학급 담임을 선택하도록 운영하고 있으나 일선 초등학교는 도입을 꺼리고 있어 전체 초등
1999-10-11 00:00교육부는 내년에 재외국민교육기관에 파견할 교원 22명을 11월중 선발한다. 선발 교원은 한국교육원의 경우 종합 교육원장 1명, 단일 교육원장 8명, 교사 1명 등 10명이며 한국학교의 경우 중등 교장 2명, 중등 교사 2명, 초등 교사 8명 등 12명이다. 선발 자격은 파견 교원이 3명 이상인 교육원의 경우 55세 이하인 자로서 ▲장학관(연구관) 경력자 ▲교장 자격소유자 ▲3년 이상의 장학사(연구사) 경력자이며, 파견 교원이 3명 미만인 교육원의 원장은 53세 이하이며 장학사(연구사) 경력자나 교감자격증 소지자이다. 또 교장의 경우 교장 자격증을 소지한 56세 이하인 교원이며, 교감은 교감자격증을 소지한 56세 이하인 자, 그리고 교사는 초등, 중등,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교육경력 10년 이상이며 46세 이하인 교사다. 파견 국가별 선발인원은 일본 6, 파라과이3, 홍콩·인도네시아·러시아 各 2, 싱가포르·대만·브라질·아르헨티나·독일·카자흐스탄·베트남 各 1명 등 22명이다. 선발방법은 10월 30일까지 시·도별로 추천을 받아 11월 13일 외국어, 국사과목 필기시험을 치른 뒤 11월 26일 2차 면접시험을 거쳐 선발한다. (문의)교육부 국제교육협력관실 0
1999-10-11 00:00오늘의 우리 학교는 남녀학생들에게 평등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공하고 있는가. 설사 제도적, 법률적으로는 평등하다고 할 지 모르지만 인습과 고정관념, 특히 교과서나 교육과정상의 남녀 성역할은 현격하게 불평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전통적인 성역할에 맞는 행동을 하도록 지도받고 있고, 교실에서도 남녀학생에 대한 서로 다른 교육적 기대를 가르치고 있다는 것. 실례로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의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면, 가정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의 역할을 주부와 바깥일하는 사람으로 뚜렷이 구분하고 있으며 직업활동은 남자가, 소비자는 여자몫 으로 분리하고 있다. 교육목표 역시 남학생은 사회생활 능력이나 지도력 개발을, 여학생은 가정주부의 역할에 두고 있다. 교육부는 최근 일선학교에서의 성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연수자료집 '양성평등 학교문화 선생님이 만듭시다'를 제작, 일선학교에 배포했다. 이 책자에는 그동안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성차별적 교육과 양성 평등교육의 구체적 내용을 담고 있다. 교과서의 성차별 내용, 교육과정상의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의 성역할 고정관념, 교원의 성차별 교육기대, 진로지도 사례 등이 예시돼 있다. 또 학교내 성희롱과 관련, 남
1999-10-11 00:00지난달 29일 교육부 본부를 필두로 '99 국정감사'가 시작됐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BK 21, 정년단축으로 인한 교사부족 사태 등 현안에 대한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사진은 의원들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는 김덕중 교육부장관.
1999-10-04 00:00△교원 부족 현황=올 초중등교원 배정정원은 25만6826명이나 현 인원은 24만3260명으로 1만3566명 부족. 초등학교의 경우 99년 배정정원은 13만6945명인데 현 인원은 12만6294명으로 1만651명 부족. 중학교는 배정정원이 7만195명이나 현 인원은 6만8388명으로 1807명 부족. 고교는 배정정원이 4만9686명이나 현 인원은 4만8578으로 1108명이 부족. △99∼2000년 정년단축으로 퇴직하는 교원 수=서울(1100명, 460명) 부산(525, 235) 대구(403, 94) 인천(179, 64) 광주(435, 138) 대전(73, 63) 울산(123, 59) 경기(580, 207) 강원(368, 151) 충북(453, 89) 충남(470, 146) 전북(791, 264) 전남(1197, 256) 경북(949, 217) 경남(637, 252) 제주(131, 40) △정년퇴직후 재계약된 교원의 수=서울은 440명 퇴직자중 4%인 17명이 재계약을 신청했고 17명 모두 재계약. 대구는 퇴직자 대비 23%인 초등 38명, 중등 78명을 재계약. 인천은 22.2%인 22명을 재계약. 광주는 17.7%인 77명을 재계약. 특히 광주 교육청은 신
1999-10-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