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교육청은 초등학교 이하 학교의 입학기준일이 현행 3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 시행되는 시점이 2010년 입학 예정 아동부터라고 밝히고 학부모들이 혼선을 빚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도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 최종 확정될 경우 당초 입법예고대로 2008년 3월 1일자로 시행되어 2009년 3월 입학대상 아동은 초등학교가 2002년 3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생까지, 유치원이 2003년 3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생까지라고 밝혔다. 또 2010년 입학대상 아동은 초등학교가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생까지, 유치원이 2004년 1월 1일생부터 2006년 12월 31일생까지라고 덧붙였다. 도교육청은 2007학년도와 2008학년도 초등학교 취학시 1, 2월 출생자가 취학유예를 희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취학유예 결정시 학부모들에게 진단서 제출 등을 무리하게 요구, 민원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도록 유의하도록 했다.
2006-11-01 08:392008학년도부터 논술비중을 30%까지 확대하겠다는 서울대의 입시 방침에 대해 학부모들은 찬성보다는 반대의견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교육위 소속 김교흥(金敎興.열린우리당) 의원이 지난 28일 여론조사기관인 한국인텔리서치에 의뢰해 학부모 1천5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신뢰수준 95%±2.5%P)에 따르면 서울대의 논술고사 비율확대에 대해 47.1%가 '반대한다'고 응답했고, '찬성한다'는 응답은 23.9%에 그쳤다. '찬성하지만 유보해야 한다'는 대답은 20.8%, '잘 모르겠다'는 8.3%였다. 논술고사 확대에 찬성한 응답자들을 소득수준별로 보면 500만원 이상 30%, 400만~500만원 26.6%, 300만~400만원 26.2%, 100만원 이하 22.7%로, 소득이 높을수록 논술고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74.8%가 '논술 공교육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논술고사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혀 '우수한 학생을 뽑기 위한 바람직한 조치'란 응답(21.3%)을 압도했다. 논술 사교육 시장 전망과 관련해선 82.3%가 '논술 사교육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고, 특목고와 일반고를 비교한 설문에서는 74.1%
2006-10-31 16:492007학년도 중등교원 정원 증원 규모는 명백한 위법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31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부 종합감사에서 열린우리당 최재성(경기 남양주) 의원은 2005년 통과된 국립사범대학 졸업자 중 교원미임용자 임용 등에 관한 특별법(이하 미발추 특별법) 규정을 들며 “이 법에 따르면 미발추 채용분을 제외하고 올 중등교원 증원분이 최소 2473명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발추 특별법에 제5조에 따르면 미임용자를 대상으로 2006, 2007학년도에 각각 500명씩을 정원 외 특별정원으로 채용하고, 이와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 일반 중등교원 정원은 2004, 2005학년도의 평균 정원 증원분을 최저기준으로 반영하도록 돼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국회 교육위는 미발추 채용인원이 자칫 일반 중등교원 정원을 잠식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최소한 2004, 2005학년도 평균 증원분을 반영해야 한다는 법 규정을 추가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두 개 학년도 평균 증원분은 2473명이다. 최 의원은 “이 같은 특별법 규정에도 현재 행자부와 협의 중인 교육부의 증원요구 규모는 1800명에 불과해 최소한 600명 이상을 더 증원해야 한다”며 “국회가 제정한 특별법을 지
2006-10-31 16:12강원도교육청은 저출산에 따른 학생 감소와 교원 증원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내년 중등교원을 106명 감축할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강원도교육청에 따르면 전국 중등교원 법정대비 평균 확보율이 86.69%인 도 내 중등 교원은 전국 평균 확보율인 82.44%보다 높아 교사 75명, 교감 31명 등 106명을 감축할 예정이다. 이는 교육부가 최근 중등교원 법정대비 평균 정원 확보율보다 적은 시.도의 교원은 증원하고 높은 시도의 교원은 감축한다는 2007년 교원정원 가배정 기준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중등교사의 신규 채용인원이 줄어드는 한편 농어촌 소규모 중.고교를 중심으로 한 교사가 전공 외에 비전공 과목까지 2과목 이상을 가르치는 '상치(相馳) 교사'는 현재 281명보다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도교육청 관계자는 전했다. 또 교육부의 6학급 미만 학교에 교감을 배치하지 않는다는 정책에 따라 교감도 31명을 감축할 예정이어서 교감 승진에 어려움이 전망된다. 강원도교육청 관계자는 "상치교사 해소를 위해 순회 겸임교사 임용을 확대하는 한편 6학급 미만 중.고 병설학교에 배치된 2명의 교감을 한 명으로 줄일 계획"이라며 "타 시.도의 전출을 확대해 교사의…
2006-10-31 14:38지난 30년간 어린이 근시 유병률이 3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안과학회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상반기까지 학회에 보고된 임상연구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1970년대에 8~15%에 그쳤던 어린이(초등학생) 근시 유병률이 2000년대 상반기에는 46.2%로 30여년 새 3배 가량 증가했다고 31일 밝혔다. 각 연대별 근시 유병률을 보면 1970년대 8~15%, 1980년대 23%, 1990년대 38%, 2000년대 46.2%로 꾸준히 증가했다. 대한안과학회 백혜정교수는 "어린이의 근시 유병률이 높아지는 원인은 취학 이전부터 학습량이 증가하는데다 컴퓨터 활용 등으로 과도하게 눈 조절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며 "또한 어린이 시력에 대한 진단과 교정이 증가하는 것도 유병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학회는 어린이가 만약 사물이 흐릿해 보인다고 호소할 때 부모가 어떤 검진과 교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어린이의 시력 상태가 좌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즉 '가성근시' 여부까지 명확히 파악해야만 바른 시력 교정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가성근시는 어린이에게 많은 일시적인 근시 증상으로 앞서 학습시간 증가, 컴퓨터 게임, 비디오 시청
2006-10-31 14:37전국 사립 중.고교 교장 가운데 교사 정년(62세)을 넘긴 교장들의 평균 연령이 70세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회 교육위원회 정봉주(열린우리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에서 사립학교 관련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사립학교 교장 가운데 교사 정년을 넘긴 교장은 87명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69.7세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 모 여고 교장의 나이는 83세로 전국 교장 가운데 최고령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교장의 정년 뒤 교장 평균 재직기간은 4.5년이고, 총 교장 근무경력은 17.4년이다. 이처럼 연령이 많은 것은 사립학교 설립자가 교장을 겸할 경우 연령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7월 1일부터 사립 학교장의 임기를 4년으로 하고 1회에 걸쳐 중임을 할 수 있도록 사립학교법이 개정됨에 따라 사립학교 교장의 재임기간에 제한을 두게 됐다. 정 의원실 관계자는 "이는 정년이 62세인 공립학교 교장들과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이라면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것은 좋지만 새로운 지식과 열정을 가진 후배들의 길을 막는다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2006-10-31 14:36초등학생은 성격ㆍ대인관계ㆍ가족문제 등을, 중고생은 진로진학ㆍ학업 등을 주로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적자원부가 31일 전국 181개 지역교육청에 배치한 전문상담순회교사를 통해 상반기 상담실적을 분석한 결과 모두 9만4천10명의 초중고생이 각종 고민을 상담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담 유형을 보면 초등학생은 대인관계(179건), 가족문제(171건), 성격ㆍ정신건강(170건), 진로진학(87건), 따돌림(80건), 학업(79건) 순이었다. 중고교생은 진로진학, 성격ㆍ정신건강, 학업, 대인관계, 폭력 순으로 상담을 많이 했다. 따돌림과 관련된 상담은 초등생 80건, 중학생 1천723건, 고교생 230건이었고 폭력 관련 상담은 초등생 40건, 중학생 7천166건, 고교생 659건 순이었다. 성폭력과 관련된 상담은 중학생 595건, 고교생 42건, 가출과 관련된 상담은 초등생 6건, 중학생 725건, 고교생 121건, 흡연 상담은 중학생 881건, 고교생 428건 등이었다. 학교폭력대책팀 박정희 교육연구관은 "지난해 9월 처음으로 전문상담순회교사 308명을 배치한 뒤 학교상담이 활성화되고 있다"며 "학생 비행 및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활동을 대폭 강화해 나
2006-10-31 12:46경기도내 초.중.고교생들의 해외 조기유학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도 교육청이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춘(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비로 해외유학을 다녀오거나 떠난 학생은 초등학생 3천250명, 중학생 1천917명, 고교생 1천793명 등 모두 6천960명이었다. 도내 자비 유학생은 2003년 2천674명(초등학생 1천124명, 중학생 846명, 고교생 704명), 2004년 5천185명(초등학생 2천10명, 중학생 1천583명, 고교생 1천292명) 등으로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 가운데 초.중학생의 자비 해외유학은 관련 규정상 인정받지 못하는 사실상의 불법 유학이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5조는 자비유학의 조건을 '중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이 있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 규정,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비유학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지난해 초.중학생의 자비 유학은 성남교육청 관내가 1천122명(21.7%)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다음으로 고양교육청 관내 1천30명(19.9%), 용인시 관내가 517명(10.0%)을 차지, 소득수준이 비교적 높은 지역이 자비 해외유학의 상당수
2006-10-31 11:47최근 2년간 서울대 대입 정시모집에서 논술고사의 수험생간 점수 차이는 총 250점 만점에 최대 3점으로 논술의 실질반영률은 1.2%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울대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영춘(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2년간 인문계열에서 실시한 논술의 실질반영률 1.2%는 기본점수 94.28점을 제공하는 학생부(배점 100점 )의 실질반영률 2.28%의 절반 수준이다. 면접 및 구술고사(배점 25점)는 기본점수가 23점이어서 실질반영률은 0.8%였고 수능(배점 100점)에는 기본 점수가 없어 실질반영률은 40%로 조사됐다. 자연계열은 수능과 학생부 반영률은 인문계와 같았으나 면접 및 구술고사(배점 50점)에서 2005학년도에 46점, 2006학년도에 45점의 기본점수를 줘 실질반영률은 각각 1.6%와 2%로 나타났다. 실기고사를 보는 사범대 체육교육과, 미술대, 음악대(총점 500점)의 실기고사(배점 150~200점)에는 기본점수가 없어 실질반영률이 30~40%에 이르러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는 논술의 명목 반영률이 현행 10%에서 30%로 높아지는 2008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적용될 기본점수 기준을 내년…
2006-10-31 10:18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실업계열 고교인 선린인터넷고 재학생 13명이 국제자격증으로 미국 중상위권 대학에 합격해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에 위치한 선린인터넷고는 3학년 김진수ㆍ김근모 군 등 13명이 미국 미시간ㆍ워싱턴ㆍ펜실베이니아 주립대 등에 합격했으며 이중 일부 학생은 우수한 성적으로 장학금까지 받게 됐다고 31일 밝혔다. 선린인터넷고는 지난해도 15명을 미국 주립대에 입학시킨 바 있다. 이들 학생은 공인 국제 기술자격증을 취득해 입학전형에서 가산점을 받는 방법으로 실업계고의 특성을 살린 유학을 시도, 합격의 영예를 안았다. 현재 대부분 학생은 여러 대학에 복수 합격해 학교 선택을 놓고 '행복한 고민'에 빠져 있다. 특히 김진수(18)군은 지원한 7개 대학 모두에 합격해 성가를 얻었다. 김 군은 중학교 때만 해도 반 10등 안에 한 번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내신 40%대의 성적을 갖고 있었지만 미시간(앤아버)대는 졸업을 앞두고 있는 김 군에게 장학금까지 제의한 상태다. 이 학교 하인철(42) 지도교사는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평범한 성적을 냈던 아이들이 꿈을 갖고 해외유학까지 갈수 있게 돼 대견하다"며 "아이들이 세계적인 기술 인재로 성장했으면…
2006-10-31 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