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30년 새 어린이 근시 3배 가량 증가"

지난 30년간 어린이 근시 유병률이 3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안과학회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상반기까지 학회에 보고된 임상연구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1970년대에 8~15%에 그쳤던 어린이(초등학생) 근시 유병률이 2000년대 상반기에는 46.2%로 30여년 새 3배 가량 증가했다고 31일 밝혔다.

각 연대별 근시 유병률을 보면 1970년대 8~15%, 1980년대 23%, 1990년대 38%, 2000년대 46.2%로 꾸준히 증가했다.

대한안과학회 백혜정교수는 "어린이의 근시 유병률이 높아지는 원인은 취학 이전부터 학습량이 증가하는데다 컴퓨터 활용 등으로 과도하게 눈 조절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며 "또한 어린이 시력에 대한 진단과 교정이 증가하는 것도 유병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학회는 어린이가 만약 사물이 흐릿해 보인다고 호소할 때 부모가 어떤 검진과 교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어린이의 시력 상태가 좌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즉 '가성근시' 여부까지 명확히 파악해야만 바른 시력 교정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가성근시는 어린이에게 많은 일시적인 근시 증상으로 앞서 학습시간 증가, 컴퓨터 게임, 비디오 시청 등으로 피로해진 눈의 조절 근육이 수축돼 오는 '가짜' 근시 증상을 말한다. 가성근시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근시 증상이 있는 상태에 맞춰 시력 교정을 해주게 되면, 과 교정으로 인한 어지럼증, 두통 등의 부작용과 근시의 급속한 진행을 부르게 된다고 학회는 경고했다.

이에 따라 학회는 어린이 시력 검사 때 반드시 '조절마비제 점안 굴절 검사'를 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첫 시력검진이라면 필수사항이라는 게 학회의 공식 입장이다. 조절마비제는 눈의 조절 근육을 풀어주는 점안액을 넣어 가성근시 여부와 굴절조절 내사시 등을 보는 검사 방식이다.

이 같은 검사 결과 근시를 비롯한 난시, 원시 등의 굴절 이상으로 인한 시력 저하가 진행되고 있다면 반드시 안경 교정을 해줘야 한다. 방치하게 되면 약시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고 학회는 덧붙였다.

학회 오세열 교수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자동굴절검사는 가성근시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면서 " 예를 들어 시력감소를 호소하는 가성근시 어린이에게 근시 교정 렌즈를 착용시키면 그 상태로 시력이 굳게 돼 정상시력으로 회복시킬 수 없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