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하는 교육가족과 그리고 국민여러분!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진 교육을 재건하기 위해 1953년부터 시작된 교육주간이 벌써 56회째를 맞이했습니다. 그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교육자로서의 본분을 다하고자 노력해 오신 50만 교육가족 여러분, 그리고 뜨거운 사랑으로 학교와 교원들을 성원해주신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금년 스승의 날과 교육주간을 맞는 우리의 심정은 착잡하기 그지없습니다. 최근 발생한 어린이 유괴 살해사건, 교내 성폭력 사건 및 학생들의 길거리 집회 참석 등은 우리 교육자에게 깊은 자괴감을 안겼을 뿐 아니라 온 국민의 개탄과 우려를 가져다주었습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삶에 더욱 밀착된 교육활동을 해 나가야 하며, 우리 사회와 정부는 아동과 학생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사회규범 확립운동을 적극 펼쳐나가야 하겠습니다. 한국교총은 올 해 교육주간의 주제를 ‘학교를 행복한 배움터’로 정했습니다. 학생에게 희망을 심어주고, 선생님에게는 보람을 갖게 하며, 학부모에게는 아이들을 믿고 맡길 수 있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자는 취지입니다. 국민과 사회가 한 마음으로 노력한다면 ‘가고 싶은 학교,
교육자치가 존폐의 기로에 서있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는 지난달 22일 열린 이명박 당선인과의 첫 만남에서 이례적으로 교육자치의 일반자치로의 흡수 통합을 건의했다. 이 날 시도지사들은 ‘실질적 자치권 보장’이란 제하의 건의문을 제출하면서 ‘장기적으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를 일원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육감 선출방식도 주민직선에서 ‘시도지사 러닝메이트’나 ‘교육담당 부지사제’로 전환하고 국가직 공무원인 부교육감을 지방직 공무원으로 하며, 교육위원회 의결사항 중 일부를 시도의회 본회의 의결로 갈음하는 특례제도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마디로 교육자치를 일반자치에 흡수통합 하자는 주장이다. 이 당선인은 구체적 언급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이명박 정부 교육 분야 핵심인사인 이주호 의원이 평소 교육위원회를 시도의회에 통합하고 교육감 선출은 러닝메이트제나 임명제, 직선제 중 시도 실정에 따라 조례로 결정하는 개선안을 주창해 왔던 사실로 미뤄볼 때, 그 심각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시도지사들의 주장이 헌법이 보장하는 교육의 정치중립성-자주성-독립성을 침해하는 위헌적 처사라고 규정한다. 정당의 당적을 갖고 있는 정치인인 시도지사의 러닝메이트가 되면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