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초등여교장협의회와 충청북도초등여교장협의회는 충청북도교육청의 후원으로 8월 13일부터 14일까지 청주예술의전당 일원에서 제52회 한국초등여교장협의회 연수를 가졌다. 전국 초등 여교장과 여성장학(연구)관 등 1,200여명이 충북의 선진학교를 둘러보고 우수사례를 배우기 위해 청주로 모였다고 한다. 이번 연수는 ‘다 행복한 교육실현, 여성 교육 리더의 열정으로’를 주제로 충북의 선진학교 탐방과 전문 강사 초청연수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솔밭초 등 우수학교 10개교를 둘러보았다. 탐방학교로는 솔밭초, 대성초, 산남초, 샛별초, 내덕초, 개신초, 서경초, 용성초, 성화초, 문의초등학교의 경영과 교육과정 등의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우수학교 탐방을 했다. 전문 강사 초청연수로는 이금룡 코글로 닷컴 회장의 ‘스마트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한 특강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이기용 충청북도교육감, 박상필 충청북도의회 교육위원장, 한범덕 청주시장, 심은석 교육부 교육정책실장, 안양옥 한국교총 회장 등이 참석해 여성 교육리더들의 열정을 응원하는 소중한 자리가 됐다. 한국초등여교장협의회 부회장인 김수연 청원교육지원청교육장은 “이번 행사가 전국의
올해로 광복절 68주년을 맞이했다. 광복이라는 어휘를 두고 해방(解放), 독립(獨立), 광복(光復)이라는 비슷한 명칭을 놓고 서로 다른 주장이 있었다고 한다. 해방(解放)이라는 것은 '해방하다'라는 타동사로 주인이 묶어 두었다가 풀어줄 때 사용하는 말이다. 마치 주인이 새장을 열어서 풀어줄 때 그 새는 해방되는 것으로 해방의 주체는 일본과 UN이 한국을 해방시키는 것이 되기 때문에 적절치 못하다. 구속이나 억압, 부담 따위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속박(束縛) 또는 예속(隸屬)상태(狀態)에서 일본이 풀어 주어 자유를 찾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남의 힘을 입지 않고 홀로 서는 것을 독립(獨立)이라고 한다. 개인(個人)이 한 집안을 이루어 생계(生計)를 세우고 완전(完全)히 사권(私權)을 행사(行使)하는 능력(能力)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 나라나 단체(團體)도 대내(對內)ㆍ대외적(對外的)으로 완전(完全)한 주권(主權)을 행사(行使)하는 능력(能力)을 가지는 것이 독립이다. 우리나라는 개국 이래 이미 독립 국가였기 때문에 독립이라는 것도 어휘개념이 맞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광복이라는 말은 '빛을 되찾다'라는 말로 일시적으로 일본에게 침탈당한 주권을 항거에
충남 서산시 석남동에 있는 천년된 은행나무의 위용.서산시 ‘남원’이란 마을에 천년이나 된 은행나무가 있다. 이곳 남원은 행정구역상 서산시 석남동에 속하는 마을이며 예전 사람들은 ‘남안’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남원이란 옛날 원(院)제도에서 연유된 명칭으로 고려왕조시대에 역과 역 사이에 두었던 관원(官員)들을 위한 국영여관이 있던 곳을 말한다. 실제로 남원마을은 이 지방의 교통의 요충지였다고 한다. 남원마을로 들어가는 초입에 어마어마하게 큰 은행나무가 한 그루 서 있는데 이 은행나무는 수령이 천년쯤 된 것으로 나무 높이는 30미터를 훨씬 넘으며 그 둘레만도 약 8미터나 되는 거목이다. 전설에 의하면 이 나무는 서산 정씨(瑞山 鄭氏)의 시조인 원외랑 정신보가 송나라가 망하자 고려에 귀화하여 이곳에 살 때 심은 것이라 하며 서산의 위인으로 알려진 양렬공 정인경 장군은 그의 아들인데 이곳에서 각종 무술을 익혀 고종 말엽에 침입한 몽고군을 크게 물리치는 전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나라에서는 그의 공로를 높이 사서 일시에 폐군시켰던 부성군(富城郡)을 서산군으로 개칭하여 복군시켜주기도 했다. 지금도 은행나무 밑에 있는 너럭바위에는 말발굽자국이 있는데 그때 정인경 장군이 말
우리 학교 도서부원(지락)들은 16일 방학중 보충수업을 마치고 서울로 현장 체험학습을 다녀왔다.(지락회원 15명, 인솔교사 이근갑, 이남철 선생님) 전태일 기념재단과 교보문고, 숭례문 등을 돌아보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전태일 기념재단 방문에서는 노동 운동을 위해 분신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전태일 열사의 안타까운 사연이 전시되어 있었다. 어렵고 힘든 사람들을 향해 손을 잡아주고, 불의한 일이 닥쳤을 때 서로 모른 척 하지 않는 전태일 열사의 정신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이어서 다시 복원된 숭례문을 자세히 관찰하고 돌아왔다. 돌아오는 길, 가슴 뿌듯함을 느꼈으며 많은 것을 배우고 돌아왔다. 앞으로 더욱 많은경험을 통해 안목을 넓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64개 대학 195개 사업단과 280개 사업팀이 ‘두뇌한국(BK21) 플러스’ 사업에 선정됐다.교육부는 15일 BK21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 양성형 사업대상을 발표하고 했다. BK21플러스는 1999년 시작된 BK21의 다음 단계 프로젝트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간 BK21과 함께 WCU(세계수준 연구중심대학) 정책을 연계해 대학원 교육·연구의 질 제고로 연구중심대학 기반 강화를 목표 해마다 2500억원을 투입해 석․박사 인재 1만8500명을 지원한다. 이번 선정에서는 올해 전체 BK21플러스 지원액 2526억원 중 미래기반창의 인재 육성에 관한 것으로 총액 규모는 2277억원이다. 이 가운데 과학기술분야는 144개 사업단에 1490억원이 지원되며, 인문사회분야는 250억원, 소규모 팀단위 지원사업에 550억원이 배정됐다. 지원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385억 3400만원으로 가장 많으며 그 뒤를 고려대 (223억원), 연세대(211억 1100만원), 부산대(169억 9000만원), 성균관대(152억 7100만원), 경북대(136억 9000만원) 순이었다. 하지만 상위 3개 대학이 전체 지원액의 36%나 차지하는데다 서울소재 대학의 지원이
현대사회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정보가 쏟아지는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는 올바른 ‘읽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 이유는 종이책이든 전자책이든 독서가 가진 힘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서는 우리가 생각한 것 이상으로 강력한 힘이 있다. 21세기 디지털 시대에도 독서의 가치를 강조하는 이유는 독서가 모든 교육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혁명이 가져온 것은 꼭 긍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대부분의 ‘읽기’는 흥미 위주의 정보 검색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아 깊이 있는 사고를 고양하고 상상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디지털 매체의 특성상 짧은 글 위주로 읽다보니 긴 분량의 텍스트를 보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도 많이 나타난다. 독서는 뇌 발달을 돕는 것은 물론 인지와 정서 능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나아가 학습 기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책을 통해 충분한 배경 지식을 갖춘 아이는 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고, 책 읽는 습관이 몸에 밴 아이는 집중력이 높다. 책 읽기를 통해 교육을 보다 쉽고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는 기초공사가 진행되며, 꾸준한 독서 자체가 종합적인 교육활동이 된다. 책
광복 68주년 기념일인 어제 내가 한 일은 무엇인가? 자식들이 집을 떠나 있어 교사인 아내가 태극기를 꺼내 아파트에 내다 건다. 누가 교육자 아니랄까 보아 행동이 늘 교육적이다. 사실 자식들이 있을 때에도 국경일에는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먼저 태극기를 걸었다. 아파트 동대표 회장이라 행동이 늘 조심스럽다. 외출 시 복장도 그렇고 재활용품 내다 놓을 때에도 복장에 신경이 쓰인다. 아내는 출근길 복장에 대해 잔소리 한다. 당신은 항상 교장이라는 것을 유념하라고. 그래서 품위 잃은 복장을 하고 출근해서는 아니 된다고. 그러니까 다른 집은 몰라도 동대표 회장집에는 태극기가 휘날려야 하는 것이다. 오늘 아침 어느 지방지 사회면 제목을 보니 ‘이건 아니다’ 싶다. 큰 제목이 ‘국회의원 집조차 게양 외면...광복절 태극기 사라졌다’이다. 소제목으로는 ‘아파트 단지·주택가 확인 결과 10가구 중 달랑 1가구만 달아 동탄·광교 신도시는 아예 실종’ ‘시민들 日 망언 잇따르는데 후순으로서 부끄러운 일 개탄’이다. 우리집 오늘의 광복절이 다른 때와 다른 것은 광복절 기념식을 시청했다는 것. 광복회장의 기념사, 대통령의 경축사를 귀담아 들었다. 이어 열린 뮤지컬도 보았다. 박 대통
미래창조과학부와 동아일보사가 주최하고 국립중앙과학관이 주관한 제35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본선에서 서산 서령고(교장 김동민) 장연수 군이 고등학생 부문 동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 8월 14일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에서 있었다. 전국 17개 시·도의 예선에서 10만여 점의 작품이 출품됐으며 이중에서 치열한 경쟁을 거쳐 301점의 본선 작품이 탄생한 이번 대회에서 서령고 2학년 4반 장연수 군(지도교사 서영현)이 과학완구 부문에서 '항공기 원리를 구동한 로봇팔'이라는 주제로 영예의 동상을 수상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는 '무한상상 창의적인 아이디어 경연'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생활과학 I, 생활과학 II, 학습용품, 과학완구, 자원재활용의 5개 분야별로 매년 실시되는 수준 높은 대회이다. 이번 대회에 입상한 작품 300여 점은 9월 13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 로비에 상설 전시된다.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한일간의 민간교류가 확대되면서 상호 신뢰감을 축적해 관계가 긍정적으로 개선된 측면이 있다. 필자도 박대통령이 제68회 광복절 경축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대다수 일본 국민들은 한·일 양국이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만들어가기를 염원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미 양국 국민들 사이에는 신뢰의 저변이 매우 넓고 한국과 일본의 젊은이들과 많은 사람들은 한류와 서로의 문화를 공유하고 마음을 나누며 가까워지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8월이 되면 한일간에 긴장관계가 되풀이 된다. 최근에는 그 정도가 더 심해지고 있는 느낌이다. 영토분쟁에서 역사분쟁으로 긴장이 고착화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되는 시점이다. 그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그 이유는 아베 정권이 들어서면서 과거 식민 지배를 부정하고 평화헌법 개헌을 밀어 붙이려는 일본 극우 정치인들이 일본 국가 권력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나치헌법처럼 슬그머니 평화 헌법을 고치자’는 아소 다로 부총리, 아베 신조 총리의 침략에 대한 부적절한 정의,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 도지사,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 등의 언어 속에 담긴 행동은 한국과 중국 나아가 국제사회에서 비난을 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다. 인간이나
최근 우리나라의 초ㆍ중ㆍ고교 학생들의 학교 이탈이 아주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 의하면 2013년 현재 초ㆍ중ㆍ고교 취학 학생 연령 청소년 713만 중 어디서 무엇을 하는 지 국가가 파악하지 못한 ‘학교 밖 아이들’이 무려 28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대안학교, 유학, 직업훈련기관, 병원 등에 당해 연령대에 있어야 할 아이들 중 28만 명이 오리무중인 현실인 것이다. 2012년말 현재 우리나라 학령기인 초1부터 고3까지 어린이와 청소년은 총 713만명이다. 이중에서 행방이 정확하게 파악되는 아이는 총 685만명에 그쳤다. 국내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아이가 672만여명, 특수학교·방송통신고·직업훈련기관·대안학교 같은 곳에 다니는 아이와 장기 입원 중인 아이가 8만여명, 조기 유학생이 3만여명, 소년원·소년교도소에 수감됐거나 보호관찰 중인 아이가 2만여명이다. 나머지 28만명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국가 통계에도 잡히지 않았다. 학령기 인구의 4%가 학교 밖을 맴돌고 있지만, 그들이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국가는 전혀 파악도 관리도 하고 있지 않단 얘기다. 교육부·통계청·여성가족부·고용부·법무부 통계를 교차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