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독립선언서 바른 표기 운동가 박동규 전 교장 “기미독립선언서 바른 표기로 독립정신 일깨우고파”

민족 정통성과 역사가 단절된 35년간의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 투쟁한 독립운동가들. 그들은 일본의 탄압과 억압에 굴하지 않고 조국의 광복을 위해 자신의 신념이 이끄는 길을 꿋꿋이 걸어나갔다. 오늘날에도 자신의 목표를 위해 외로운 길을 걷고 있는 사람이 있다. 기미독립선언서의 오자를 발견하고는 바른 교육을 위해 이를 수정하고 그 원본을 알리려 홀로 고군분투하는 박동규 전 교장,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기미독립선언서의 오자를 수정하고 원본을 배포하는 일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으신가요?
A 지금은 퇴임했지만 40년간 중등학교 한자와 국어 교사로 재직했어요. 그때 독립선언서를 지도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제겐 기미독립선언서가 친숙해요.
퇴임 후 3·1 운동이 일어났던 탑골공원을 답방해보니 그곳 독립선언서 기념비에 표기된 한자가 1500년 전에 사용하던 ‘북위체’더라고요. 지금 우리나라는 자형이 바뀐 ‘강희자전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말이에요. 그러니 한자에 대한 지식이 있어도 약 250자 정도가 지금 한자의 형태와 다른 탑골공원의 독립선언서 기념비를 읽을 수가 없는 거죠.
이를 계기로 기미독립선언서 한자 표기에 관심을 갖게 돼 비문, 문헌, 도서, 교과서, 인터넷 등 43군데를 찾아봤어요. 원문이라고 쓰여 있었지만, 막상 원본과 비교해보니 똑같이 표기한 곳이 한 군데도 없더라고요. 그래서 나라도 나서서 바로 잡아야겠다고 맘을 먹게 된 거죠.

Q 기미독립선언서의 한자표기가 잘못 됐다고 말씀하셨는데, 무엇이 문제인가요?
A 먼저, 학생을 가르치는 데 쓰이는 국어 교과서에서조차 원문과 다른 오자 4개가 있었어요. 이외 문헌과 전국도서관에 소장된 선언서, 국사백과대전 등 최소 4개에서 최대 17자까지 틀린 부분을 찾아냈죠. 물론 원문과 일치하는 선언서는 단 하나도 없었어요. 우리는 광복 이후 68년간 원본과 다르게 표기된 선언서를 배우고 사용해 왔던 거예요.
공통으로 오기한 한자는 ‘회소()’, ‘징변
()’, ‘공도동망()’, ‘주저()’ 4가지에요. 원본에는 ‘회소()’가 아닌 ‘회소
()’로 초두머리가 들어가지 않아요. 또 분별하다 변자가 들어간 ‘징변()’이 아니라 힘들이다, 판별하다 판인 ‘징판()’이 올바른 표기죠. 또 ‘공도동망()’을 ‘공도동망()’으로, ‘주저()’를 ‘주저()’로 잘못 표기했어요. 이들의 음뜻은 같지만 엄연히 원본과는 다른 한자에요. 그 외 ‘탁락()’, ‘주무()’, ‘기미()’ 등의 한자 표기와 독음이 오기됐어요.
그런데 여기서 재밌는 점은 선언서 원본에도 틀린 한자가 있다는 점이에요. 선언서 첫 줄 내용을 보면 ‘(오등)은 (자)에 (아) (선조)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는 문장이 있어요. 여기서 (선조)의 (독립국)이 아니라 (조선)의 (독립국)이 맞는 표현이죠. 이는 그 당시에 얼마나 위급한 상황에서 조판과 인쇄를 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에요. 또 원본에 보면 마지막 날짜 표기가 ‘’로만 기재돼 있어요. 언제 선서를 낭독하고 배포할 것인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이뤄졌기 때문에 며칠인지 정확한 날짜를 쓸 수 없었던 거죠. 후에 사람들이 원문에
‘一’자를 인위적으로 넣어서, 지금은 ‘三月 一日’ 로 표기된 것을 볼 수 있어요.

Q 일반인은 원본과 오자본을 봐도 무엇이 틀렸는지 알지 못합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가 있으신가요?
A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한자와 국어 교사로 재직했을 당시 독립선언서를 지도한 경험이 있어요. 그리고 퇴임 후 한자 1급 자격증 시험공부를 했는데, 이 시험의 쓰기와 읽기 문제에서 독립선언서 내용이 나와요.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독립선언서를 반복학습 했기 때문에 내용을 잘 알고 있는 입장이었어요. 덕분에 남들보다 쉽게 국한문 혼용의 선언서를 독해할 수 있었고, 한자 오자를 일일이 지적하는 게 가능했죠.


Q 오자 수정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셨나요?
A 먼저 천안독립기념관을 답방해 관련 문헌을 열람하고, 독립선언서 원본 모사본을 모사해 왔어요. 이후에 선언서를 소장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등 공공도서관을 비롯한 전국 관종별 도서관마다 선언서에서 오기 한자를 지적해 원본의 모사본과 함께 보내주었어요. 또 천안독립기념관에 소장한 원본의 모사본과 제가 반절지에 선언서를 직접 필사한 필사본을 동봉해서 대통령을 비롯한 12개 부처장관에게 등기 속달로 보내 선언서를 올바르게 표기해 달라고 요청했어요.
탑골공원에는 독립선언서 북위체의 원문과 한글번역본, 영문번역본 3개 유형의 선언서 비가 서 있지만 강희자전체의 원본 비가 없어 다른 비와 같은 크기의 비를 세워달라고 요청했어요. 결국 요청이 받아들여져 천안독립기념관에 소장하고 있는 원본의 모사본 크기 그대로 알루미늄 판에 부착해서 공원 내 손병희 선생 동상 앞 좌측에 세워졌죠.


Q 지금까지 수정된 오자가 있는지, 그간의 성과가 궁금해요.
A 독립선언서 원본을 국민에게 보급하고 널리 알리고 싶었지만 혼자서는 역부족이어서 광복회를 방문해 도움을 구했어요. 그 결과 작년 3월 호에 일반인이 읽기 어려운 원본 대신 독립운동가이자 국어학자인 일석 이희승 선생이 쓴 현대어 풀이본을 싣게 됐어요. 올 3월에는 도서관협회의 협회지인 <도서관문화>에 독립선언서 원본이 실려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570개소와 해외 등으로 배포됐고 2000여 명의 개인회원에게도 보급됐죠. 이번 10월에는 문화재청에서 간행하는 월간 <문화재사랑>에 원본을 게재하기로 돼 있어요.
가장 큰 성과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정이에요. 2011년 국어 교과서에 오기된 4자의 한자와 독음을 지적해 교육부장관에게 수정을 촉구했더니 2013년도판 교과서를 수정했다고 교육부와 출판사로부터 통보를 받았어요. 시간이 좀 걸리긴 했지만 교육자로서 고교생들이 수정된 교과서를 통해 올바른 표기의 선언서를 낭독하고 배우며 독립정신을 선양할 것을 생각하니 참 기뻐요.

Q 최근 한국사 교육 강화 여론에 힘입어 2017년도부터 한국사를 수능 필수로 채택하기로 했습니다. 역사인식 문제와 관련해 정확한 독립선언서를 배워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요?
A 지금의 우리나라는 한국사 교육을 소홀히 하는 바람에 국가관이나 민족정기를 이어받을 젊은이가 없어요. 민족의식이 점차 희석돼가고 있는 게 참 안타까울 뿐이죠. 저는 이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바르게 표기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그 속에 담긴 정신을 선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봐요. 독립선언서 원문은 국한문 혼용문의 강건체 문장으로 일반인이 낭독하고 독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희승 선생이 국역한 독립선언서를 널리 보급할 필요가 있어요. 작년 3월 1일 93주년 3·1절 추념식에서 민족대표 33인 유족회장이 원문 선언서 대신 국역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것도 의미가 있죠.

Q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목표가 있다면요?
A 앞으로 제 남은 여력을 다해 정본의 독립선언서를 배포할 생각이에요. 특히 언론매체나 각 정부기관 발간지에 독립선언서 원본을 게재하고 싶어요. <새교육>을 통해서 전 교직자에게 선언서를 알리고, 독립정신을 고양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어요.
또 역사인식을 바로 잡고 한국사 교육을 강화하도록 앞으로는 국역 선언서를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했으면 해요. 독립정신을 선양하는 계기가 되도록 말이죠. 독립선언서를 바르게 표기하고 낭독할 수 있도록 바로잡는 것이 제 마지막 소명이에요.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