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대 교사의 비율, 학급당 학생 수 등은 교육개혁이나 학교교육 환경 개선에 대한 논의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지표이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학급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학생 대 교사의 비율이 낮을수록 개별 학생이 받는 교육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래서 그간 ‘학급규모 감소’는 미국 교육정책 논의의 단골 주제였고 엄청난 규모의 교육재정이 관련 정책에 투입되어 왔다. 사립재단의 교육지원 또한 학급 규모 감소와 관련된 경우가 많은데, 엄청난 재정 규모를 자랑하는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학교 및 학급 규모 축소 프로그램 ‘작은 학교 개혁 운동(Small-School Reform)’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작은 학교 운동’의 전반기 5년(2000∼2005)을 시행방법에 따라 비교 평가한 학술 논문(2008년)에 따르면, 신생학교 설립 시 작은 학교로 출발한 경우와 규모가 큰 학교를 축소해 작은 학교로 변형한 경우에 그 성과에 여러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규모가 작은 신생학교의 경우, 초기 발생하는 다양한 업무의 폭주에도 불구하고 학교 구성원들이 이를 슬기롭게 대처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원래 규모가 컸던 학교를 쪼개어 작은 학교로 새로 출발한 경우는 기존의 인적자원 활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학교 운영 방식을 보였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의 측면에서도 신생 소규모 학교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나 후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종합적으로 학교 규모가 학생들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기에는 증거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급규모와 학업 성취도 간 영향에 관한 전문가인 스탠퍼드 대학의 Hanushek 교수가 꾸준히 주장해 온 바와도 일맥상통하는데, 그의 책 <학급 규모에 관한 논쟁(The Class Size Debate, 2002)>에 의하면 투입되는 재정액에 비해 학급규모의 축소가 학생들의 성취향상에 기여하는 바는 그리 크지 않다고 한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자인 Ronald F. Ferguson이 펴낸 보고서 ‘본보기 고등학교의 비법(How High Schools Become Exemplary)’이 시사하는 바가 큰 것 같다. Ferguson 교수는 4100명의 학생이 재학해 미국 전역에서도 손꼽히는 규모를 자랑하는 매사추세츠 주 Brockton 고등학교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대규모 학교의 교육개혁 성공사례를 보여준다. Brockton 고교는 원래 문제학교의 대명사였다.그러나 메사추세츠가 졸업 기준을 강화해 고교 졸업예정자들이 주가 정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고 명시함에 따라, 학생들의 졸업률과 장래를 걱정하기 시작한 교사와 교장의 자발적 움직임으로 학교 교육의 질 개선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사(교장)의 노력은 향후 ‘학교개혁위원회’로 발전되어 학교개혁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의 견인차 역할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Brockton 고등학교의 성과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그동안 미국 교육개혁에서 줄곧 주창되어 온 ‘작은 학교가 낫다’라는 모토에 상당한 충격을 준 사례로 미국 교육계에 큰 반향이 예상된다고 논평했다. 실제로 앞서 언급한 것처럼 규모가 큰 학교를 소규모 학교로 재구조하는 데 막대한 규모의 교육재정을 투자하는 것이 그동안 미국 교육개혁의 주요 트렌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록 교사 대 학생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거나 학급규모가 너무 커서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형성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높은 수준의 교수 · 학습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서는 안 되겠으나, 분명한 것은 단순히 교사 대 학생 비율을 낮추거나 학교 및 학급의 규모를 축소하는 것만으로 성공적인 학교운영을 기대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