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다문화가정에 대한 배려와 나눔을

세계는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어느 나라 어떤 환경에서 살든 모두가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서로를 배려하고 함께 살아가는 ‘이웃사촌’이 되게 하는 것이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다문화교육’이고, 소인수를 배려한 ‘배려와 나눔의 교육과정’이다.

스마트폰과 다문화
얼마 전 스마트폰을 샀다. 나이 육십이 넘어 곧 퇴임을 할 나이에 무슨 스마트폰이냐고 하기도 했지만 두 가지의 핑계를 대며 용기를 내어 구입했다. 스마트폰이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시청각기재로 각광을 받을 것이기에 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교육을 계획하는 데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더욱이 지금도 젊은 사람과 학생들을 이해하기가 힘든데 스마트폰을 통해 전달되는 각종 정보에서도 뒤진다면 학생이나 청소년을 이해하기가 더욱 힘들 것이란 생각에서였다.

스마트폰을 받아들고 그 기능의 무궁무진함에 ‘온 세상이 내 손안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 너무도 황홀했다. 국내외의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도 있고, 국내외의 인터넷 신문도 마음껏 볼 수 있다. 내가 갑자기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를 여행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하늘의 별자리를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측할 수도 있고, 내가 찾아가고 싶은 장소를 상세하게 안내해주는 스마트폰이 그저 괴물처럼 신기하기만 하다.

현장 교사들의 동영상 수업도 볼 수도 있고, 외국어 공부도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학원에 다니지 않고도 가능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언제 어느 곳에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고, 이메일을 통해 자료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그 어떤 자료도 모두 검색이 가능하다. 내가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도와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똑똑하다는 의미의 스마트폰이란 이름보다는 ‘만능폰’이라고 이름이 더 어울릴 것 같다.

‘다문화 교육’이란 주제에 맞지 않게 웬 스마트폰 이야기냐고 할 것이다. 서두를 다문화가 아닌 스마트폰으로 끌어 들인 것은 이처럼 세계가 작은 기계로 더욱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 실감남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지난 번 칠레 산호세 탄광의 33명의 공부가 매몰되었다가 69일 만에 구조된 감격적인 일도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났지만 TV중계로 바라보며 마치 우리의 일처럼 기뻐했다. 교통 · 통신의 발달은 배달겨레, 백의민족, 한민족, 단일민족 등으로 대변되던 폐쇄적인 사회를 더 이상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사회로 가는 길목에서 우리 교육기관과 학교, 그리고 교육자가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어떻게 그들을 이해할 것이며,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