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도서 벽지에서는 복식 학급을 상당수 운영하고 있다. 복식도 모자라 3복식 까지도 하고 있다. 즉 한 교실에서 두 개 학년 이상이 한 분의 선생님으로 부터 공부를 하고 있는 2년째 복식학급을 운영하다 보니 기가막힌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장면을 그려보면, 책꽂이에는 3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각 10권, 4학년도 각 각 10권,그 외의 각종 자료는 셀 수 없고, 수업 중 교탁에는 매 시간마다 책장사들 좌판처럼 가득 펼쳐진 책으로 푸짐하다. 특히 사회시간은 그 넓은 교탁이 모자란다. 3,4학년 기본 교재 4권에 사회과 부도,참고자료까지 합치면 어수선하기는 이루 말 할 수 없다. 40분 동안 수업 해야하는데 뭘 어떻게 가르치란 말인가? 어린이의 입장에서 어린이는 그 만큼 학습권을 빼앗기고 있는 것이다. 복식학급 설치 조항을 자세히 살펴보면 숫자로 따졌지 아이들 생각은 조금도 하지 않았다. 전교과 진도 다 나간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다. 그러니 수업이 제대 로 되겠는가? 법을 모르고 힘이 없고, 시간이 없어서 그렇지 조건만 충족하면 헌법 소원이라도 내고 싶다. 어려운 형편의 도서벽지 교육,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농촌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교육적인 혜택 마저도 균등하게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 너무 안타 깝다. 40분 수업을 쪼개서 20분으로, 그나마도 선생님이 잡무에 바쁘거나 출장 갈 때면 두 학급은 그냥 놀아야 하는 형편이다. 나이 많다고 정년 줄이고, 학생 수 많다고 소규모 학교 폐교 시키고, 사람 많다고 줄이고 있으니, 늘리는 것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리고 구조조정을 많은 곳에서 조정 해야지 적은 곳에서 빼가지 말았으면 좋겠다. 지금 우리학교는 다 빼가고 6개 학년 에 4학급으로 편성되어 선생님들이 공문서 수발에 각종 사무를 다 맡아서 한다. 복식학급, 모든 선생님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라 "공감대" 형성이 어렵다고 본다. 그러나 깊이 생각 해 보고 아파 해야 할 우리의 문제임에는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