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는 초등학교 6학년인 딸아이가 아주 크고 예쁘게 생긴 호박을 가지고 집에 들어왔다. 외할머니가 시골의 텃밭에서 키운 호박보다도 훨씬 크고 먹음직스럽게 생겨 깜짝 놀랐다. "너 이것 어디에서 났니?" 묻자 딸아이는 "엄마! 이것 학교 옥상에서 기른 거야" 하였다. 나는 깜짝 놀라고 신기해서 "아니! 학교 옥상에서 얼마나 식물이 잘 자라길래 시골에 사시는 외할머니댁에서 기른 것보다 더 크고 틈실하니?" 했다. 그리고 그날 저녁에 호박을 잔뜩 넣어 된장찌게를 끓여 먹었다. 딸아이가 직접 키운 호박으로 된장찌게를 끓여 먹으니 어찌나 맛있던지 내가 이 호박 정말 맛있다고 칭찬하니 딸아이도 어깨가 으쓱 기분이 좋은가 보다.
나는 이렇게 우리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이 호박이 어찌나 고맙고 신기하던지 이 호박이 자라고 있는 봉암초 옥상위의 텃밭을 직접 보러 갔다. 마침 교장선생님과 담임선생님이 계셔서 자세히 안내해 주셨다. 이대효 교장선생님은 텃밭을 통해 학생들의 인성,정서교육은 물론 식물의 생태적 모습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체험학습의 이점이 있어서 대전 시청 텃밭 공모에 응모하셨다고 한다.
학년별로 심고 가꾸고 수확하는 과정에서 관찰일지를 쓰는 것을 통해 식물의 생태적 특징을 알 수 있어 살아 있는 교육이 되고 있다고 하셨다. 옥상의 텃밭에는 고추, 호박, 당근, 옥수수,상추, 토마토, 참외, 쑥갓, 산딸기 등 20여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었다. 학생들은 이것들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가꾼 것을 결실하는 농부의 기쁨과 보람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교장선생님께서는 내년에는 학생들이 심고 싶은 것을 심도록 하겠다고 하시며 환한 미소를 지으셨다.
학교 업무와 학생들 가르치기도 바쁘실텐데 텃밭까지 가꾸시려면 힘드시지 않느냐고 담임 선생님께 질문했더니, 김수아 담임선생님께서는 " 집에서도 못 해 보는 것을 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해보니까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말씀 하시면서 특히, 열매를 수확할 때는 그렇게 기쁘고 부듯할 수 가 없다고 말씀하셨다. 6학년의 이혜민 학생은 식물이 잘 자랄 것을 생각하며 물을 주었는데 실제로 금방 금방 커 열매를 수확하게 될 때는 아무 일 없이 잘 자라 준 식물이 얼마나 고맙던지 농부의 마음, 자녀를 키우는 부모님의 마음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고 했다.
평소 집에서 자녀와 함께 텃밭을 가꾸어 보고 싶었는데 직장생활로 바쁘다 보니 마음뿐 잘 되지 않았는데 이렇게 학교에서 옥상에 텃밭을 만들어 주셔서 우리 아이들이 행복하게 자라게 하는 학교가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우리 딸 아이가 좋은 학교에 다니고 있는 것 같아 마음이 부듯하고 행복하다. 우리 딸 아이를 비롯한 봉암초 모든 학생들이 학교 옥상 위의 텃밭의 식물처럼 예쁘고 틈실하게 잘 자라 주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