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장애학생 예술교육 관심 가져야

장애학생들에게 문화예술은 매우 흥미로운 아이템이자 진로희망으로 큰 가치를 가진다. 장애학생들의 정규교과 대비 문화예술 수업에 대한 선호도는 80% 이상으로 높은 만큼 문화예술 분야 과목이 장애학생들의 팍팍한 학교생활에 돌파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견에 부딪혀 초보단계 못 벗어나

그럼에도 장애학생이 학교현장에서 직면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모습은 초보단계를 넘지 못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주당 수업 빈도가 음악, 미술의 경우 1∼2시간에 불과하고 수업내용도 악기연주와 그리기, 만들기 등 정형화된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강사의 구성을 보더라도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특수교사는 문화예술 영역에 대한 전문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고, 외부강사의 경우 전문성은 높으나 장애학생 하나하나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특수교사와 외부강사가 함께 수업을 하는 경우도 서로 갈등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아 상황이 용이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제4차 특수교육발전5개년계획에서 장애학생의 꿈과 끼를 키우기 위한 방과후학교 운영 강화에 대한 방안이 논의된 바 있지만 예술 동아리 지원이나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및 연계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여전히 요원한 상황이다.

한빛맹학교는 전국 최초로, 또 유일하게 2004년부터 음악전공과 과정을 개설해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에는 특수교사만 정교사로 임용할 수 있게 돼있어 실기능력과 교수능력을 겸비한 미국 대학 박사출신의 교수요원조차도 기간제로 임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장애학생들의 진로까지 고려한다면 교사 임용에 있어 융통성을 둬 우수한 강사들이 유입돼 정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 강사의 이직률을 낮추고 숙련된 교사진이 구성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역발상도 필요하다. 예컨대 시각장애학생들이라고 해서 회화가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건 편견이자 단견이다. 시각장애학생들도 미술의 다양한 영역을 경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창작자로서 활동할 수 있다. 미국의 시각장애화가 제프 핸슨은 그 동안 작품활동을 통해 1400점의 작품을 만들 뿐 아니라 작품을 판매해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자선활동에 나선 것으로도 잘 알려졌다. 마찬가지로 청각장애인들에게도 음악교육을 통해 장애를 극복할 뿐 아니라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을 수 있다.

교원임용, 대입 등 전반적 손질 시급

무엇보다 장애학생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열정이 학창시절 한 때에 그치지 않도록 고등교육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문화예술영역분야 진로직업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현행 대입에서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은 대학 측에서 정원 외로 할당된 학과에 한해 장애학생의 입학이 가능하다보니 문화예술 영역에는 장애학생의 입학이 너무나 힘들다. 이에 문화예술관련 학과를 비롯해 폭넓은 영역에 장애학생이 진출할 수 있도록 입학전형을 손질해야 한다.

이들이 졸업한 후에도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문화예술창작소와 함께 공연예술단체도 필요하다. 물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문화예술단체가 구성되어 운영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하겠지만 그러한 단계로 이행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장애인문화예술단체를 만들어 급여를 받는 직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