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홈페이지를 가보면 우측 상단 프레임 배경에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 문구가 보인다. 중간 프레임에도 '2014 따뜻한 교육 행복한 변화', '꿈 쑥쑥 끼 충만 행복교육 캠페인' 등 형형색색의 구호가 채워져 있다.
교육부의 2014 비전은 '모두가 행복한 교육 미래를 여는 창의 인재'며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한 학교'에 대한 구체적인 중점과제로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 국토사랑 교육강화, 예·체·인문교육강화, 인성교육강화, 안전한 학교, 사이버언어폭력 해소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과제의 면면을 보면 실질적인 학생의 행복과는 거리가 멀고 진정한 행복 교육의 구체적 실천 방안은 어디서도 찾기 힘들다.
성적위주 서열 경쟁, 행복없는 삶
'행복은 관계에서 온다'는 말이 있다.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이란 곧 관계가 풍성한 삶'이라는 미시간 대학 페터슨의 주장 역시 같은 맥락이다.
'우리의 아이들이 왜 행복해하지 않을까?'에 대해 생각해보자. 줄세우기식 서열경쟁을 강조하는 입시제도로 인한 학업 부담이 가장 큰 이유임은 부인하기 어렵다. 단순한 지식습득 정도와 추론식 시험 성적으로 줄을 세워 일등부터 꼴찌까지 나누고 입학하는 교육 시스템 속에서 아이들은 16년이라는 고난의 학창시절을 보낸다. 성적으로 비교하고 편 가르는 와중에 관계에서 오는 행복감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2010년 기준 한국건강증진재단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이 자살 충동을 느끼는 원인 1위가 '성적과 진학'(57.3%)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제도로 인한 조기 등교와 늦은 하교, 그리고 심야 학원 수업으로 가족의 얼굴을 볼 시간조차 없다. 아침은 거르게 되고 가족 간 관계에서 오는 정서적 안정감은 점차 잃어가고 있다. 교우관계에서 오는 즐거움 역시 누릴 시간이 없다. 고등학생의 경우 아침 8시 경에 등교해 하루 13시간에서 15시간까지 학교 공간에서 일과가 이루어진다.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학교는 부모와 형제 자매 간의 관계, 교우 간, 사제 간의 관계에서 누릴 수 있는 행복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감옥’이 아닐까.
때문에 입시 제도 개선이 아이들에게 행복을 돌려주기 위한 급선무임을 부인하기 어렵다. 당장 해결하기도 어려운 것을 안다. 하지만 언제까지 입시 지옥이라는 가혹한 시련을 후세에게 물려주려 하는가. 정권적 차원을 넘어 여·야당과 시민단체 등이 합의체를 구성해 ‘백년대계’를 세워야 하지 않을까. 단순지식과 추론적 평가인 수능에 올인하는 대입전형이 아니라 미래적 가치에 부합하고 창조적 지식으로 승화하도록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살리는 입시제도로 개혁적 고안을 해야 하지 않을까.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 입시 전형까지 줄 세우는 시험을 그대로 두고 '행복교육'을 노래할 수 있는가.
진정한 행복 위한 입시제도 개선 필요
일류대학 입시관문이 된 특성화고의 개혁과 다양한 특성화고의 육성을 통한 고교에서부터 특기를 살려주는 교육에 방점을 찍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핀란드의 교육개혁과 프랑스의 대학입시제도, 그리고 독일의 교육제도를 참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진정한 교육은 '스스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건강한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다. 지식 교육은 수능 이후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참고서처럼 인터넷에서 갖다 쓰면 되는 '죽은 지식'이다. 죽은 지식을 외우고 반복학습을 하는 것만으로 어떻게 21세기를 어떻게 구가할 수 있겠는가?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교육정책을 주관하는 교육부장관 이하 교육관료와 여·야 정치인들에게 묻고 싶은 질문이다. 20점 만점에 10점 이상이면 점수에 상관없이 국공립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그들, 프랑스 고등학생들의 대학관문 시험인 '바칼로레아' 시험 문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