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국회에서 실시하는 시민 의정연수를 받았다. 국회 본회의장 견학을 위해 이동하다 우연히 잔디밭에서 무궁화를 보았다. 대한민국 입법부의 상징인 국회의사당에 무궁화가 핀 모습이 자랑스럽고 기분이 좋았다. 연수기간 내내 오고 가며 어릴 적 동네 어귀에서 봤던 무궁화를 보면 왠지 푸근해 고향에 와있는 느낌이 들곤 했다.
하지만 요즘 들어 나라꽃 무궁화가 우리 마음속에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벚꽃이나 장미꽃은 축제까지 열리지만 매해 무궁화는 누구 하나 자랑스럽게 봐주는 이가 없는 것 같다.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면 누가 우리 꽃을 보며 아끼고 사랑할까?
초등학교 1급 정교사 연수에서 어느 교수님이 나라 꽃 사랑을 통하여 애국심을 길러야 한다며 열정적으로 강의했던 모습이 생각난다. 요즘처럼 학생들의 역사․안보의식 부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때에 무궁화에 대한 사랑 실천은 올바른 역사관이나 국가관을 심어주기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이란 꽃말을 지닌 무궁화는 여러 고난에도 굴하지 않고 극복해온 우리 민족의 강하고 질긴 민족혼을 잘 나타내주는 소중한 꽃이다. 무궁화를 우리가 어떻게 자랑스러운 존재로 만들 것인 가는 우리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딱딱한 교육보다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 먼저 학교 교정, 공원, 집 주변 등에 무궁화를 심어 쉽게 학생들이 볼 수 있게 한다. 또 독립기념관의 무궁화 분재 전시회, 나라꽃 퀴즈 한마당 등 무궁화를 주제로 한 다채로운 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종 국제경기장 등에 무궁화를 심어 자국민뿐 아니라 외국인에게 무궁화를 홍보한다면 학생들에게 나라꽃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라꽃을 통해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길러주고 온 국민이 무궁화를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