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만물의 영장인 이유는 언어가 있고 이성(理性)이 있고 인격이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소통의 기능이 있기에 얼마든지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글이나 말을 함부로 쓸 일이 아니다. 말 속에 격려가 있는가 하면 비방, 욕설 등 저질의 말이 온 세상에 퍼져 나가 대결 구도를 심화시키기도 한다. 말은 주고받기에 따라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정치권에서는 ‘그년’, ‘귀태(鬼胎)’, ‘박씨 집안’, ‘당신’ 등 적대감에 찬 비방과 저주와 막말을 서슴지 않고 쏟아내 국민들은 실망을 금치 못하고 있다. ‘귀태(鬼胎)’란 직역하면 사람이 귀신을 잉태 한다는 말이다. 그 깊은 의미는 ‘태어나지 않았어야 할 사람’으로 박 대통령을 빗대 그 후손이라 한 것이다. 얼마나 분했으면 국민을 대표하는 지도자급 인사가 이런 저주스런 말을 했을까 생각도 해 보지만 이것은 뜻 있는 인간의 도리가 아니다.
정치를 하자면 상대편에 대한 견제와 논쟁도 따르게 돼 있으나 심한 상처를 내는 말은 서로 득이 못 된다. 남을 비방하고 상처를 주는 말로 대응하는 것은 아마 그 마음속에 적대감과 시기질투가 도사리고 있었기에 쉽게 튀어 나오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쁜 마음가짐을 품은 사람은 증오와 저주의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우리 모두가 어린 시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배운 ‘고운 말 바른 말’이 정치인이 되면서 막말로 변질됐나 보다. 그러나 남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비열한 말은 삼가는 것이 지도자의 덕목이다. 자식은 부모가 하는 대로 배운다. 그런 욕설을 한 그 당사자 집안 식구들에게도 본이 안 되는 부도덕한 행위를 한 것이다.
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외국에서는 국가 원수에 대한 무차별적 욕설을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어느 대학교수는 “귀태를 말한 분이야말로 박사라지만 입에 귀신을 달고 다니는 분 같다”고 했다.
영국의 오스틴(J .L. Austin)은 “말은 단순한 언어가 아니라 일종의 행동”이라며 “거친 말은 다른 사람에게 주먹을 날리는 행위”라고 규정했다. 언어폭력의 위험성을 일깨워준 것이다. 그래서 잘못 쓴 혀는 칼보다 날카롭고 잘못 된 혀는 목을 베는 칼과 같다고 하는 것일까.
근래 통계에 의하면 학생들의 욕설도 위험 수위를 넘고 있는 심각한 상태라 한다. 욕설이 언쟁으로, 언쟁이 물리적 폭력으로 연쇄 작용을 하는 것이다. 대통령도 이런 상황을 위태롭게 보고 인성교육을 학교에서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힘써주기를 당부했다. 물론 학교도 내실 있는 언어교육을 서둘러 실시하고 교원들에게는 언어교육론을 각종 연수의 필수과목으로 추가하면 좋겠다.
바른 언어교육은 학우 간의 정을 돈독하게 해 왕따와 학교폭력을 줄이고 면학분위기가 조성된 즐거운 학교문화를 만들 수 있다. 인성교육은 바른 언어생활에서 싹튼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학생들이 장차 국가의 일을 맡을 때는 ‘바른 말 고운 말’을 실천할 것이다. 그 때즘이면 우리 미래세대의 언어생활이 정치권의 막말을 근절시키는 본이 될 것이다.
선거운동은 선거기간에만 하는 게 아니다. 평소에 바른 말을 하고 국익을 우선하는 건설적 논쟁을 해야지, 폭언을 일삼아서는 국민의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다. 말과 글은 그 사람의 인격과 덕망의 표출임을 망각하는 어리석음을 자초하지는 말고 살아야 한다. 정녕 인격자라면 말조심이 먼저다. 인간은 완벽할 수는 없으나 배움과 자기수양으로 거듭나야 한다. 지혜로운 국민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정치인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언어순화에 앞장서고 학생들에게는 지속적인 바른 언어교육을 실시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