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평소에 “우리 정치가 미래로 가려면 약속은 반드시 지켜진다는 신뢰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또 지난 1월 인수위 전체회의에서는 “선진국으로 들어가기 위해 넘어야 할 마지막 관문은 사회적 자본을 쌓는 것이고 사회적 자본은 결국 신뢰”라고 강조했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관계망으로 무형의 가치인 신뢰, 참여, 협력 등을 포함한다. 우리의 전통에서는 ‘두레’가 지역관계망 형성과 협동노동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북돋은 대표적인 사회적 자본의 예다. 또 ‘향약’은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의 자치규약 및 협동체로 당대의 험난한 시대를 지탱할 수 있었던 힘이었다.
2007년 세계은행의 보고서에서는 OECD 회원국은 국부의 81%를 사회적 자본에서 창출하고 사회적 신뢰도가 10% 상승할 때 경제는 0.8% 성장한다고 밝혔다. 신뢰, 청렴, 윤리와 같은 사회적 자본이 경제에 미치는 힘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얼마 전 흥사단에서 실시한 설문에서, 우리나라 고교생 10명 가운데 4명은 “10억이 생긴다면 범죄를 저지르고 1년 정도 감옥에 갈 수 있다.”고 응답했다. 2008년 한국투명성기구가 실시한 '반부패 인식' 조사에서는 “감옥에서 10년을 살아도 10억을 벌 수 있다면 부패를 저지를 수 있다”고 답한 초·중·고생의 비율이 17.7%인 것과 비교할 때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고 있다.
우리 아이들의 학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나 윤리의식, 행복감, 자기만족감은 성장할수록 떨어진다. 더불어 사는 능력도 낮아 왕따와 학교폭력으로 소중한 생명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고 있다. 황폐돼 가는 아이들의 인성을 방치한다면 치르게 될 사회적 비용이 엄청날 것이다.
아이들이 미래라는 것을 기억한다면 올바른 인성을 키우는 것이 진정한 실력과 최고의 사회적 자본을 쌓는 길일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한 ‘신뢰’ 사회를 이룩하려면 인성교육이 그 바탕이 돼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새 정부가 할 일은 자명하다. 정, 학교, 사회가 협력해 청소년들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건강하고 안전한 신뢰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인성교육에 방점을 두는 일이다. ‘인성교육’이 중심이 되는 교육정책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