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릴레이기고> 미래 향한 확고한 교육철학 보여 달라

내가 바라는 교육대통령 ⑤
내가 바라는 서울교육감

그동안의 실패를 발판으로 삼아 나로호 발사로 하늘 문이 열리면 우리나라는 자국 발사체로 위성을 쏴 올려 성공 땐 10번째 우주클럽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아쉽게도 발사가 또다시 연기됐다. 그러나 아직 끝은 아니다. 개인이나 국가도 실패 없이 처음부터 잘 나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1960년대, 그러니까 약 50여 년 전에 세계 3대 빈곤국가 중 하나였다. 한마디로 실패의 나라였다. 우리보다 뒤진 나라는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밖에 없었다. 필자가 초등학교 다닌 시절 대한민국의 위상이었다. 그랬던 한국이 GDP 규모로 보면 전 세계에서 12번째 정도가 됐다. 정말 훌륭하게 50여년 이라는 짧은 기간에 발전한 것은 열심히 노력한 선배들의 노력 때문이다.

지금까지도 잘해 왔지만 필자가 소원하는 바는 우리가 드디어 선진국에 진입하고, 남북통일을 이루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마지막으로 조금만 더 스퍼트를 하면 선진국의 대열 안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시점에 와 있다.

중요한 것은 학교 다닐 때 공부를 열심히 해봤다면 알겠지만 전교생 300명 중에서 30등 안에 들어가는 건 비교적 쉽지만 그 30등 안에서 또 25,등 20등, 10등, 5등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선두주자들도 놀기만 하면서 가만히 기다리고 있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 나로호로 돌아와보자. 원래 과학의 역사는 실패의 역사이며, 끊임없이 도전하는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 아닌가. 실패를 두려워하면 과학의 발전은 끝이다. 선진국도 이런 실패의 과정을 거쳤다. 나로호 발사에서 느꼈듯이 미래의 경쟁에 대처하려면 기초과학에서부터 경쟁력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일 외에는 답이 없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김용 총재 취임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재임 성공, 가수 싸이의 흥행 등 국제무대에서 한국인이 거두는 성공에 국민들이 고무돼 있다.

이 같은 시점에서 대선주자들은 선거를 앞두고 인기를 얻기 위해 반값등록금 등 돈을 투자한 복지 중심의 공약만 쏟아내고 있다. 그런 반면에 미래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교육을 어떻게 하겠다는 확고한 철학이 아직 보이지 않는 것이 아쉽다.

우리 나라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통일정책, 외교 안보 문제 못지않게 교육과 기술 등도 국가시스템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인식했으면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