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홀대 받는 국어교육, 지원 필요하다

2012년부터 읽기·듣기뿐만 아니라 말하기·쓰기 평가가 모두 포함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시행된다. 국제화 시대에 영어 교육이 중요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해 국가가 주도하고 구체적 실천을 한다는 것은 효율성 면에서도 기대가 된다. 문제는 영어 교육에 대해서는 국가에서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반면에 국어교육에 대한 정책은 수립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영어 교육 투자에 적극적이다. 교과부 산하의 인재정책실에는 영어 교육을 전담하는 영어교육정책과가 편제되어 있다. 지역교육청의 영어 교육에 대한 편중 예산은 여러 번 문제가 되기도 했다.

영어 교육은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다. 그러나 영어 교육 못지않게 국어교육도 인재를 만드는데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는 말로 글로 생각을 표현한다. 말과 글이 정확하지 않은 것은 관념과 생각이 부정확하다는 의미이다. 언어를 통해서 자신의 삶을 조리 있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은 삶의 모든 면이 우수하다 뜻이다.

일반적으로 국어 공부는 특별히 안 해도 학습의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한다. 한글을 깨우치고 책만 읽을 줄 알면 어릴 때부터 영어와 수학 공부에 힘을 쏟는다. 학업 성적이 떨어지면 학습 시간이 부족해서 그런 것이라고 판단하고 아이에게 학습량을 늘릴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교과 내용을 받아들이고 사고하는 방식은 모두 언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 부진은 언어 능력이 모자라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국어에 대한 왜곡된 시각은 대입 정책에도 나타난다. 대학에서 신입생을 선발할 때 자연계 진학자는 외국어(영어) 성적은 반영해도 언어 성적은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2014년에도 수험생들이 진로나 진학하고 싶은 모집단위에 따라 국어A·국어B 중 하나를 응시하게 되는데, 이공계와 예체능계는 쉬운 국어 시험을 본다는 것이다. 국어 교과를 단순히 대입의 수단으로 여기거나, 자연계에 진학하는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국어 능력이 필요 없다는 이상한 생각을 하고 있다.

학교 현장도 마찬가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집중이수제로 국어 시간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지역교육청이 편성한 2011학년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안)에 따르면, 40개 전체 중학교가 영어 시간을 늘렸으며, 수학도 57.5%가 시간을 확대했다. 하지만 대상 학교 중 22.6%가 국어 시간을 줄였다.

최근 청소년의 왜곡된 언어 실태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욕설을 배우고, 대화할 때 반 이상 욕설과 비속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맞춤법을 모르고, 짧은 문장도 못 쓴다. 학급에서 편지 한 장을 그럴듯하게 쓰는 학생이 없다. 이런 현상에 대해 인터넷 사용 때문이라고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국어교육 정책의 부재가 낳은 결과이다. 국어는 시험 보기 위한 교과로 인식되고 교실에서는 말하기·글쓰기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다.

국어교육은 학교의 교육과정이기도 하지만, 우리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는 디딤돌이다.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인재는 우리의 오천 년 역사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인재는 영어를 잘하는 인재가 아니라 우리의 문화를 세계 속에 알리는 가장 한국적인 사고를 지닌 세계적인 한국인이다.

모국어를 사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어 능력이 모자랄 경우 영어 실력이 좋아지기 어렵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국어교육도 정부의 투자와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싹 터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