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학교에서는 엄한 선생님의 지도를 받았다. 학습 지도는 물론 기본생활 습관 지키기에서도 잘못하면 따끔한 충고와 함께 벌을 받았다. 그뿐인가 학교는 엄한 징계가 있어 교칙을 어기면 정학 및 퇴학 등의 순서를 밟아야 했다.
그러나 지금 학교는 교칙을 엄하게 적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담배를 피우고 징계를 하려면 기호 식품이라고 대드는 학부모가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징계보다는 반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하라고 논점을 벗어난 제안을 한다. 왕따와 약한 학생에게 가한 폭력으로 인해 전학이나 퇴학 처분을 내리면 교육청부터 청와대까지 진정을 내며 문제화시키고 결국은 학교에 힘(?)을 과시한다.
이것이 극단적인 예이기도 하지만 학교 문화의 단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더 이상 학교의 아이들은 벌을 무서워하지 않는다. 90년대 이후 ‘교실 붕괴’란 말이 돌고 2000년대 와서 학교는 무질서의 온상이 되었다. 수업 시간에 엎드려 자는 것은 기본이고, 교내 폭력, 집단 따돌림 등 문제가 심각하다.
이러한 현상이 누적되면서 교사들은 학생들을 나무라지 않는다. 나무라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무라지 못하고 있다. 나무라면 대들고 심지어 폭행으로 되돌아온다. 학교에서 학생들은 비행이 당당해졌고 대담해졌다.
이에 대한 원인은 여럿이 있지만, 언론 및 정치권에서 학교와 교사에 대해 폄하하기 시작한 것이 그 첫째이다. IMF 당시 정치권은 엉뚱한 논리로 교직 정년을 단축했다. 그에 대한 명분을 찾아 고심하다가 교사의 비리를 과대 보도하고, 교직을 철밥통이라는 이상한 표현으로 왜곡하기 시작했다. 부도덕한 집단이라는 기사가 매일 나왔다. 교사에 대한 존경과 신뢰가 땅에 떨어지고 학생들은 지도에 불응할 수밖에 없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의 자율성 강조도 영향이 있다. 자율성은 좋은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우수한 학습자를 양성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자율성은 교육 활동을 위축시켰다. 수요자 중심 교육이라는 명분 아래 학습 기회까지 스스로 선택하는데, 여타 교육 형태는 설 자리를 잃었다.
여기에 최근에는 일부 교육청 중심으로 체벌금지,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이 추진되면서 학교의 훈육 기능은 이제 큰 저항에 직면하고 있다. 사회는 교사 지도권을 매우 제한시켜 놓았다. 이러다 보니 아이들은 교사의 정당한 지시에도 순응하지 않는다. 교사는 생활지도 과정에서 욕설을 듣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 교사는 지도가 불가능하고, 계속 지도를 하다 보면 봉변을 당한다.
자연히 문제 학생에 대한 회피와 함께 무시하는 경향이 팽배해졌다. 나무라는 교육은 쇠퇴하고 칭찬 교육이 넘쳐나고 있다. 칭찬의 동기는 내부적인 동기 유발이다. 하지만 잦은 칭찬과 과도한 칭찬은 아동의 정서적 안정을 줄 뿐 내면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하지 않는다. 한때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책이 인기를 끌면서 학교는 더욱 칭찬의 풍년을 맞았다. 하지만 실제로 칭찬을 하는 교육으로 아이들은 더 나아지지 않았다. 칭찬 교육은 인간의 심리학적 착각을 이용하는 측면이 많다. 그런데 칭찬의 과잉으로 교육 효과가 미미해졌다.
우리가 바라는 학교의 모습은 행복한 학교다. 나무라는 교육은 행복한 학교로 가는데 걸림돌일 수 있다. 그러나 행복한 학교는 비행기 안에서 받는 친절한 스튜어디스의 서비스와 다르다. 지금 학교는 규칙이 무너지고 질서가 없다. 개인의 인권이 집중 부각되면서 상대적으로 타인의 인권이 존중되지 않고 있다. 그야말로 불행한 학교로 가고 있다.
청소년은 미성숙한 인격체다. 규칙의 준수를 가르치고 체계적인 학습의 길을 안내해야 한다. 미래 행복한 생활을 하기 위해 깐깐한 규칙을 적용하고 엄하게 일상생활을 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나무라는 것은 비난이 아니다. 인격을 비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미래 의젓한 성인이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또 하나의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