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07 (목)

  • 맑음동두천 1.9℃
  • 맑음강릉 6.5℃
  • 맑음서울 4.7℃
  • 맑음대전 3.4℃
  • 맑음대구 4.4℃
  • 맑음울산 6.8℃
  • 맑음광주 6.8℃
  • 맑음부산 9.7℃
  • 맑음고창 5.2℃
  • 맑음제주 12.2℃
  • 맑음강화 6.0℃
  • 맑음보은 1.0℃
  • 맑음금산 1.2℃
  • 맑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2.4℃
  • 맑음거제 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교경영

[특별기고] 지능혁명 시대, 우리는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下)

알파고 이후 줄곧 21세기에는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를 고민해 온 필자는, 먼저 핵심역량을 익히는 핵심 프로젝트를 제안한 바 있다. 이어서 AI(GPT)가 등장하자 필자는 AI가 ‘나는 잘 못해요’라고 답하는 것들을 엄선해 제안해 보았다.

 

즉 지능혁명 시대에 인간은 다음 8가지 영역(8 learning pillars: 영성수련, 메타획득, 핵심탐구, 글로컬시야 장착, 직접경험 강화, 집단지 창출, 건강체 단련, 선의 연단)의 능력을 수련함으로써 그 고유의 역량을 발휘하여 AI(GPT)로봇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로 그려낼 수 있다. 다이아몬드의 안쪽이 더 중요하고, 특히 영성수련·메타학습(hyper-order thinking)·핵심탐구(inquiring cores)를 통해, 즉 고차원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급속하게 성장·성숙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인간은 AI를 개발·활용·관리·수리·개선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길러져야 한다. AI를 능가하는 사람, 그를 다스리는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 21세기 학습의 타당성 있는 기준이 된다. 아래에서 그림과 간단한 설명을 덧붙인다.


 

 

첫째, 영성수련(Cultivating spirituality)이다. 
인간의 ‘존엄성’은 어디에서 유래하는가? 인간이 다른 피조물과 달리 ‘신성(神性)’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늘 아래 누구나 평등하다는 만민평등의 천부인권설(天賦人權說)은 근현대사회의 기반이었다. 
영성수련은 매슬로우(A.Maslow)가 말하는 인간의 욕구 위계 중 최고단계인 제8단계 ‘자기초월’과도 상통한다. 이는 인류 최고의 선생들이 추구해 온 바이다. 장차 교육은 누구나 성인(saints)이 될 수 있다는 높은 이상을 지향해야 AI로봇을 다스릴 수 있다. 분주한 인간이 인생의 방향을 잡으려면 한 발짝 떨어져 명상·성찰·기도해야 할 것이다.


영성은 두 가지 방향으로 길러진다. 한 길은 부처와 공자처럼 수양을 통해 신인(神人)합일의 경지에 이르겠다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이고, 다른 한 길은 인간은 선한 존재가 아니기에 절대자의 은혜와 섭리로 구원을 얻어야 한다고 보는 탑다운(Top-down) 방식이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선악을 분별할 수 없다. 분별하려고 ‘오만’을 부려서도 안 된다. 인간사에서 실명의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t)에서는 관용·배려·용서가 이루어지지만, 익명의 게마인샤프트에서는 계약·법령이 적용되어 배신을 방지하려고 애쓴다. 그러므로 인간사의 영성수련은 탑다운 방식이 더 맞다. 

 

둘째, 메타학습(Learning meta)이다. 
메타는 인간의 사고와 인지에서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한다.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중심으로, 메타감성과 메타기능을 체득하는 것이다. 이는 사고와 인식, 감정 일체, 기능과 기술 자체에 대한 더 높은 수준에서 종합성찰하고 방향을 교정하는 능력이다. 가치관·세계관·인생관(자아관·생사관)·역사관(국가관)·자연관·이재(理財)관 등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메타활동은 인생사 전체를 가장 높은 수준에서 아우르는(조망하는) 능력(hyper-order thinking/trans-disciplinary)이다. 메타는 영성수련한 인간의 세상사 행위원칙이다. 수련된 영성 위에 메타를 획득하는 것은 세상을 실제적으로 다스리는 최고 ‘헌법’을 갖는 것이다. 아마도 AI는 상당 기간 이를 체득하기 어려울 것이다. 


메타인지는 우리의 사고와 인식에서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분별하는 사고와 인지 상태에 대한 평가능력이기도 하다. 태어난 복된 인생을 세상사 잡다한 야망을 추구하다 마치기보다, ‘갈매기 조나단’이 되어 높고 넓은 시야로 세상을 조감하며 살 일이다. 이것은 고대부터 고매한 철학자·사상가·이론가들이 추구해 온 바이다. 이로써 인간은 AI장착로봇보다 한 수 위에 서게 된다. 메타는 다음에 나올 분야별 핵심을 종합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인간의 메타활동을 돕는 각 분야의 핵심탐구(Inquiring cores)이다. 
해당 분야의 핵심개념 이상은 핵심개념을 포함하여 그 원리·이론·법칙을 모두 망라한다. 핵심에는 가치·개념·기능·역량이 있다. 핵심가치는 학습의 방향과 목적을 가리키고, 핵심개념과 핵심기능은 교육내용과 활동이며, 핵심역량은 실제상황에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종합적인 능력이다. 이는 21세기형 인지교육이고, 가치·개념·기능·역량에서 핵심은 새로운 교양과 상식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유·초등교육에서는 핵심적인 것의 전형적인 실례를 가르치게 될 것이다. 초·중등학교 교육이 아무리 기초·기본이라고 하여도 현재 초등학교 3·4학년 지역화 학습단원에서처럼 불필요한 잡다한 것(miscellaneous facts)을 가르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이는 학습할 것이 너무 많아진 속에서 학습의 줄기를 잡아보려는 노력이다. 각 분야에서 핵심을 취득하는 것은 수련된 영성과 최고의 헌법인 메타적 관점 아래 구체적인 법령으로 AI로봇과 교류하는 것이다. 


핵심가치로 문명 변화의 방향을 잡고, 핵심개념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갖추어, AI로봇을 개발·활용·관리·수리·개선하는 핵심역량을 발휘하는 것이다. 각 분야의 핵심역량을 익히는 지름길은 핵심 프로젝트를 찾아 수행해 보는 것이다. 핵심 프로젝트 찾기는 교수자의 가장 중요한 업무일 수 있다.

 

 

넷째, 개인과 집단을 넘어 국가 이상의 세계적인 시야를 장착하기(Acquiring glocalism)이다.
SNS로 인해 사람들은 점점 확증편향에 빠지고, 선입견과 편견을 통해 ‘편하게’ 살아간다. 베이컨(F. Bacon)이 말한 종족·동굴·시장·극장의 우상을 섬기는 것이다. 더구나 외둥이들은 대가족제도에서 가졌던 기본적인 사회성을 익히는데 제약을 받는다. 이들을 더 보편적이고 넓은 세계로 끌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입력정보의 편향으로 AI로봇도 일정한 편향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스마트폰이 충전되면서 아이들의 뇌는 방전된다. 적어도 고교 이전에는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국제적으로 일어나고 그 해결은 국지적으로 해야 하는 스트레스 높은 세상이다. 이는 국민국가(國民國家, nation state)1의 국민이 글로벌 관점을 가지고 그 이념과 가치와 관점을 체득하여 살아가는 것이다.

 

국제사회는 유엔에서 SDGs로 17개 목표와 169개 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국민국가의 정체성·정통성·지속발전성을 추구한다면, 헌법을 기준으로 국제외교안보·정치·경제·과학기술·산업·사회문화·윤리도덕 등에서 추구할 만한 이념과 지향점을 만들어서 모든 국민들이 그 가치와 이념 및 관점을 공유하고 애써 실천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국가와 지구촌과 같은 더 큰 공동체를 지향함으로써 알고리즘이 추천한 개인관심사와 확증편향과 상대주의에 빠진 현대인을 구출하는 것이다. 


국민은 지구촌 인류의 사해동포가 실현되기 전까지 국가라는 가장 큰 공동체의 이익과 함께할 수밖에 없다. 인류의 관점이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국제적일 때, 국제적 시야에서 국내적 이익을 조율하는 능력을 갖출 때, 인간은 AI로봇보다 애국적인 인류애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가상경험과 간접경험에 대응해 직접경험을 강화(Experiencing natures)한다. 
종교개혁과 산업혁명부터 직업에서 분업과 전문화가 가속화되었고, 획기적으로 높아진 생산력과 무역으로 복지와 풍요가 이루어졌으며, 신문·라디오·TV를 통한 간접경험이 보편화되었으며, 오늘날 정보화로 가상경험이 VR과 AR을 통해 학생들의 실재감과 집중력을 더 많이 앗아가고 있다. 이에 대응하려면 자연을 직접 접하여 오감을 만족·발달시키고, 그 이치와 원리를 탐구하여 그 신비와 경외감을 느낄 일이다. 또한 사회적·제도적 차원의 경험도 직접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시장에서 거래하고, 함께 지역사회문제를 푸는 프로젝트에도 참여하며, 기획하여 정원도 가꾸고, 기기를 수리해 보며, 요리하기·옷 짓기·집짓기 등도 직접 해볼 일이다. 


직접경험은 인간의 온갖 다중지능(MI) 발달에 자극을 준다. 교육에서는 유치원에서 고교까지 직접체험을 고도화하기 위한 기획을 새롭게 해야 할 것이다. 신체와 근육의 발달은 스마트폰을 만져서 얻는 즐거움과는 다른 차원을 제공해 준다. 우리는 다음 세대가 다른 세대로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직접체험(만들기, 느끼기, 방문하기, 탐사하기, 관찰하기, 관측하기, 실험하기, 체험하기, 작물재배, 가축과 어류 사육 등)을 엄선하고 계열화하여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런 오감 만족과 발달, 자연의 신비와 경외감 체험, 지역사회 문제해결 프로젝트 참여는 인간의 특권이기도 하다. 3D 산업에서 우리는 AI로봇을 우리를 돕는 ‘비서와 머슴’으로 부릴 수 있다.

 

여섯째, 문무겸비의 건강체 단련(Fitting body)이다. 
영양이 좋아지고 의술이 발달하여 과거보다 현대인의 기대 수명이 높아졌으나, 그것이 강인하고 건강한 삶을 담보하지는 못한다. 고대 올림픽이나 화랑도에서도 강인한 체력을 강조하였다. 현재는 좁아져서 문·이과 융합정도를 따지지만, 사실상 문무(文武)겸비가 최고의 덕목이다. 


강건한 체력단련은 현대인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기초공사와도 같다. AI로봇의 PT서비스를 받고 육아와 노년기의 돌봄을 받아 인류는 더욱 건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노년에는 건(健)·린(隣)·사(事)·천(天)이 우선이다. 죽음에 임박해서는 천(天, 사후세계)을 생각하고 대비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일곱째, 협력적 집단지성의 창출(Creating co-intelligence)이다. 
개인의 고립화와 상대화는 인간사회의 비극을 초래한다. 인간은 사회적 단결과 협동을 통해 문명을 발전시켜 왔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터넷에 접속한 고립된 외로운 늑대는 반사회성을 띨 수 있다. ‘We are better than me.’ 협력적 집단지성은 더 많은 선한 가치를 우리 사회에 가져올 수 있다. 


집단지성은 일부 구성원의 AI로봇을 이용한 선하지 못한 음모를 제지할 수도 있다. 인류는 단결하고 협력함으로써 고립과 상대화를 막고, AI로봇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새로운 문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주도성과 협동성은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의 기본 자질이다. 유·초·중등학교에서 함께 하면 나아지는 협력과 선의의 공정한 경쟁의 경험을 충분히 만끽하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위에서 정립한 이념과 가치를 기필코 실현하겠다는 선한 의지의 연단(Training virtues)이다. 
좋은 일 하기를 결심하고, 인내를 갖고 실천하는 것이다. 5천 년 역사상 우리는 처음으로 이웃나라들보다 더 좋은 나라를 만들었다. 과학기술공학은 중립적이다. 우리가 그들에게 제시한 방향과 입력한 정보대로 그들은 따라 할 것이고 출력할 것이다. 우리는 AI로봇에게 선하고 의로우며 아름다운 정보를 먹이고 입혀야 한다. 태안 앞바다에서 기름유출을 닦아내고, 각종 재난에서 직·간접적으로 봉사활동을 한 경험을 다음 세대도 충분히 해봐야 할 것이다. 이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체의 봉사활동이 약화된 것은 개악된 것이다.

 

결론
교육은 문명의 변화를 읽고, 그에 적응하며, 나아가 문명변화를 주도하는 사람을 키우는 일이다. 사람을 사람답게 키우고, 사회를 사회답게 가꾸며, 국가를 국가답게 세우는 일이다. 21세기 문명사적 대전환이 도래했다. 그간 우리 교육은 구한말 교육개국, 일제하 교육구국, 해방 후 교육입국, 6.25 때 교육호국, 산업발전기에 교육흥국, 민주화기에 교육보국을 성공적으로 실천하여 ‘한강의 기적’을 만드는데 기여해왔다. 이제 선진일류교육을 추진할 때이다.


선진일류교육은 최대 다수의 포용, 최고의 잠재력 발현, 최적의 내용과 활동, 최신 방법과 도구의 사용, 최선의 교육성과를 지향하는 ‘5최 만족의 교육’을 말한다. 그것은 지금까지의 교육에서처럼 사람을 써먹을 인력으로 키우지 않는다. 이 교육은 처음부터 지향할(aim) 목적이 원대하고 그 이상이 높다.

 

개념학습이 가능해지는 초등 고학년부터 시작부터 높은 이상을 향해, 고매한 인품의 성자를 길러내는 데로 향해야 선진일류교육이 된다. 미래 선진일류교육은 교학상장과 청출어람으로 공자를 키우고, 석가를 기르며, 소크라테스를 배출하여, 그들이 인류와 지구촌의 장래를 논하게 될 것이다. 교육자들이 이 방향으로 함께 노력할 때 우리의 참되고 선하며 의롭고 아름다운 꿈은 이루어질 것이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