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로 상륙해 내륙을 훑고 동해안으로 사라진 태풍 루사는 전국 학교에 참담한 시련을 남겨놓았다. 4일 현재 교육부의 집계에 의하면 태풍은 학생 사망·실종 1명씩의 인명 피해와 519개 교육기관에 128억 여 원의 재산 손실을 입힌 것으로 드러났으나, 교통과 통신 두절, 휴업으로 정확한 피해 집계가 되지 않은 상태라 피해액은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교직원들의 인명과 재산 피해도 점차 드러나고 있다. 가옥과 도로, 운동장과 교실 파손, 식수 문제 등으로 임시 휴업을 한 학교는 전국 초·중·고 78개 교에 이른다. 휴업한 학교들은 9일쯤이면 등교할 계획이나 토사로 가득찬 운동장, 유실된 교과서와 부서진 교육기자재 등으로 정상적인 수업운영에는 적어도 한달은 소요될 전망이다. 26개 학교는 972명의 이재민도 안고 있다. 학생은 휴업이지만 교사는 복구에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정부는 국고 및 학교재해복구공제회 지원, 교육청 예비비 등으로 2학기 수업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태풍으로 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은 드물지만, 강원도와 경남, 전남, 경북의 피해가 심하다. 강원도는 3일 현재 68개 교가 휴업을 했다. 학생 사망과 실종 사고도 한 건씩 발생
2002-09-05 15:50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김영찬)은 3일 국가학술연구 DB 구축 1차 사업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개통한다. 이번 서비스 개통으로 국내 학술지 1500여종을 한 자리에서 통합 검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원문까지 받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모두 909종의 원문이 디지털화 됐고, 민간업체 등에서 분산적으로 디지털화한 우수 학술지 648종에 대한 연계활용이 이뤄져, 총 학술지 1500종의 학술논문 46만 편에 대한 통합검색 및 원문 획득이 가능하게 됐다. 김영찬 원장은 "본 사업을 통하여 양질의 학술정보가 확충·서비스됨으로써 학술분야에 대한 명실상부한 범국가적 학술정보 유통기반이 조성되게 되었다"고 이번 사업의 의의를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의 학술, 연구 부문 정보화 현실은 여러 가지 면에서 미흡했던 게 사실. 일례로 국내 대학 도서관 전체에서 구독하는 해외 학술지가 총 1만5000 종인데 반해 미국 하버드대학 도서관 한 곳에서만 구독하는 학술지 수가 총 11만종이다. 또한 대학도서관의 평균 소장 학술지 종수도 미국은 평균 2만8400종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평균 760종에 그친다. 이번에 구축된 학술논문 목록 및 원문 정보는 한국교육학술
2002-09-05 15:48인천 개흥초(교장 박부병)에서는 지난 7월, 학생들과 아버지가 함께 참여하는 '부자캠프'를 열어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개흥초의 100여 가족이 1박2일 동안 참여한 이 캠프에서는 캠프파이어와 레크레이션 등을 통해 아버지와 아이들이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아버지들이 가정에서 각자의 역할을 되새기고 자녀에게 바른 인성과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 학교 민선재 교무부장은 "이번 캠프가 아버지는 자녀를, 자녀는 아버지를 더욱 이해하고 사랑하는 계기가 된 것은 물론 아버지들이 학교활동과 자녀교육에 관심을 갖는 기회가 됐을 것"이라며 "앞으로 이런 캠프를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02-09-05 15:47제주도내 72%의 교실이 난방이 되지 않는 등 전국적으로 난방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교실이 41.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최근 국회교육위 설훈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2년 6월 현재 전국의 난방대상 교실 39만2988실 가운데 난방 자체가 되지 않는 교실이 5만7277실로 전체의 14.5%를 차지했다. 또한 개별 난로를 통한 난방이 10만1209실에 달해 난방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교실이 전체의 41.8%(16만4210실)나 됐다. 난방 개선대상 교실을 지역별로 보면 제주도가 95.4%(전체 5101실 중 4869실)로 최고를 기록했고 경남이 95%(2만9373실 중 2만7902실), 경북이 86%(2만8631실 중 2만4621실), 강원이 79.6%(1만6587실 중 1만3210실), 전북이 78.7%(2만1138실 중 1만6637실)로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보다 여건이 나은 것으로 평가되는 부산도 76.5%(2만9914실 중 2만2892실)나 됐고 울산도 74.2%(8754실 중 6498실)나 됐다. 이밖에 충남이 66.3%(1만9484실 중 1만2923실), 전남이 59.6%(2만2367실 중 1만3335실), 충북이…
2002-09-05 15:47강원교총(회장 유묘상)과 강원도교육청(교육감 한장수)의 2002년도 단체협약이 마무리됐다. 양측은 지난달 30일 '2002년도 상반기 교섭·협의 합의서' 조인식을 가지고 강원교총이 요구하는 18개조의 사항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교섭·협의 합의사항 중 주요 과제는 ▲교원과 교육전문직의 승진기회 공정성 및 형평성 확보 ▲교원 자율연수비 50% 이내 지원(2003. 3부터) ▲교원 해외연수 기회 확대 ▲초·중등 보직교사 배치에 형평성 확보 ▲공문서(전자문서 포함) 감축 ▲학교평가방법 개선 등이다. 강원교총의 이광묵 사무총장은 "모든 교섭·협의 과제는 교원의 복지 증진과 근무부담 경감에 중점을 뒀으며 교원의 전문성 향상, 회원들의 단체활동 보장에도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이 밖의 합의내용으로는 ▲교과전담교사, 상담교사 등 교원 법정정원의 연차적 확충·확보 ▲영어과목의 교원연수 강화 ▲제7차 교육과정 연수 확대·강화 실시 ▲7학급 이상 학교에 과학실험보조원 배치 확대 ▲각급 학교에 행정보조 공익근무요원 배치방안 강구 ▲화장실 개선 ▲교원연수시 교원단체관련 강좌 개설 ▲교원단체회비 등 일괄공제 협조 ▲각급 학교에 교원단체활동 홍보공간 마련 ▲강원교총회관 보수비…
2002-09-05 15:391999년도에 교직을 명예 퇴직했다가 지난 3월 9일 경기도에 재 임용된 김영옥 교사는 최근 황당한 기분에 휩싸여 있다. 임용시험에 함께 응시했던 5명 중 9월 1일자로 발령 받은 동기생 두명은 명퇴금의 40%에 해당하는 2500만원을 공제하고 반납했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임용시험 성적이 좋아 자신과 함께 먼저 발령 받은 나머지 2명도 후순위 발령 동기생들보다 수천만 원씩 손해를 봤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은 국가공무원명예퇴직수당등지급규정중개정령(대통령령 제 17672호)이 7월 13일자부터 적용되기 때문이다. 명예퇴직수당은 교육부 지침으로 환수해 왔으나, 2002년 1월 19일 국가공무원법이 개정돼 환수의 법적인 근거를 갖추었다. 대통령령은 국가공무원법에서 위임한 환수절차와 환수금액 등을 정한 것으로, 여기에는 '명예퇴직일로부터 재 임용된 기간에 따라 환수비율을 달리 산정'하게 돼 있고 7월 13일부터 적용된다. 김 교사는 교육청에 "대통령령을 7월 13일자부터 적용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며 "3월 1일자로부터 소급 적용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안된다"는 답변을 들었다. 여기에 대해 한국교총 이성재 교권옹호차장은 "교원재임용정책은 현 정부의 무리한
2002-09-05 15:18서울 화곡여정보산업고 정용무 교사(42·전산)는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늘 외롭다. 아내와 예쁜 두 딸 아이를 둔 가장이지만 퇴근길 그를 맞이하는 건 8년 내내 어두컴컴한 전세방뿐이다. 정 교사는 별거교사다. "능력 있고 가진 게 있었다면 벌써 같이 살았겠죠. 아침 저녁 혼자 밥상에 앉을 때면 내가 왜 이렇게 사나하는 생각도 듭니다." 경북 군위에서 미술교사로 있던 아내와 91년 결혼한 후 떨어져 산지도 벌써 11년째다. 10살, 7살이 된 두 딸아이가 아빠는 안 찾는지 늘 눈에 밟힌다. 탁자 위 사진을 쓰다듬다 전화를 걸어보지만 목소리로 녀석들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가 없다. "육아휴직을 내 함께 했던 3년이 가장 행복했어요. 아내가 울진 시골 학교로 옮기면서 지금은 2주일에 한번 만나기도 힘들어요." 오랜 별거로 돈도 많이 깨지고 심신도 지칠 대로 지쳤다. 하지만 정말 견디기 어려운 건 가끔씩 오는 아빠 곁을 서로 차지하려는 아이들이다. "아빠라고 보고싶었던 모양입니다. 화장실까지 쫓아와서 내 손을 잡고 그냥 서 있어요. 자책감에 아이에게 할 말이 없습니다." 하지만 정 교사 부부는 이 지긋지긋한 별거생활을 언제까지 계속해야 할지 기약도 없다. 아내가 서울
2002-09-05 15:10전국 16개 시·도교육위원회는 2일과 3일, 6일에 각각 임시회의를 열고 제4기 교육위원 전반기 의장단을 선출했다. 이번에 선출된 4기 교육위원의 전반기 의장단 임기는 2004년 8월 31일까지이다. 지난 7월 선출된 서울시교육위원들은 2일 오전 임시회의를 열어 이순세 위원을 의장으로, 김홍렬 위원을 부의장으로 선출했다. 이순세 의장은 "교육청이 교육지원센터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견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의장단 선출과정에서 전교조 출신 위원 7명이 불참했다. 이들은 불참 직후 "비전교조 출신 8명의 위원들이 전교조 출신 위원들을 배제한 채 전날 밤 평창동의 모 호텔에서 의장단 구성을 위한 야합을 했다"고 비판하는 성명서를 돌렸다. 교육청 직원들은 "제4기 교육위원회가 출범부터 삐걱거리는 것이 아니냐?"면서 우려했다. 부산시 교육위원회도 2일 임시회를 갖고 류찬영 교육위원과 이금순 교육위원을 의장과 부의장으로 선출했다. 11명의 교육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의장선거 1차 투표에서 두 위원은 똑 같이 4표를 획득, 2차 투표를 벌여 류 위원이 5표, 이 위원이 4표를 얻어 순서대로 의장과 부의장이 됐다. 경기도는 2일 개원식을 갖고 설영태 위원과 조
2002-09-05 14:59"직문 아래서 글 읽던 우리가 늙어 가듯 / 가을 들어 연잎도 한철이 지나누나!(早學雕龍稷下林 霜荷皺似舊靑襟)" - 유득공 '부용산 중에서 옛 생각에 잠겨(芙蓉山中話舊述懷)'중에서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 이 네 분이 펴낸 "사가시선(四家詩選)"(여강출판사)이라는 시집이 있습니다. 이 시집에는 그들이 서로 어울려 지내며 지은 시들이 많은데, '부용산 중에서 옛 생각에 잠겨'도 그런 시중의 하나입니다. 세월은 흐르고 흘러 서리 내린 연잎은 그 푸르렀던 빛을 따라 주름져 갑니다. 연잎이 주름지고 또 시든다고 하더라도 한때 그 푸르렀던 말들은 잊혀지지 않습니다. 당신에게 그처럼 푸르렀던 말은 무엇입니까. 내 안에 많은 빛이 숨어 있음을 일깨워 주던 말. 그런 말들이 있기에 삶은 계속되는 것이 아닐까요.
2002-09-05 11:35이지러진 보름달이 흰 구름과 숨바꼭질을 한다. 푸른 달빛이 구름 사이로 봉평 들판 메밀밭에 부드럽게 쏟아지고 물레방앗간 옆 막 피기 시작한 하얀 메밀은 달빛을 받아 소금을 뿌린 듯 아름답다. 메밀밭 중간쯤에 허 생원과 비슷한 연배의 아버지가 동이 또래의 아들 어깨를 감싸고 정담을 나눈다. 산꼭대기에서 뜬 달이 중천에 솟을 때까지 아버지와 아들은 흐뭇한 달빛을 받으며 그렇게 하염없이 서 있다. 달빛이 스며들어 더 하얀 물줄기는 쉼 없이 물레방아를 돌리고…. ‘메밀꽃 필 무렵’의 실제 무대인 강원도 봉평은 지금 소설 속 장면처럼 메밀꽃이 한창입니다. 물레방앗간과 이효석 생가 주변 7 만여 평에 펼쳐진 메밀꽃은 정말 소금을 뿌린 듯 달빛을 받아 숨막히게 아름답더군요. 양사언이 평창 군수 재직 시 수려한 경치에 반해 시상을 떠올리던 흥정천의 팔석정 기암괴석은 예전에도 저 모습 그대로였을까요. 허 생원은 아마 달빛이 쏟아지는 밤 이곳에서 성서방네 처녀를 그리워하며 가슴을 숯처럼 시커멓게 태웠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효석 생가 터 가는 길목 야산에 '효석 문학관'이 7일 개관했습니다. 우리말을 가장 아름답게 썼다는 작가 이효석. 봉평중학교 앞 '가산 문학비'는 그를 이렇
2002-09-05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