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부이사관 승진 ▲감사담당관 兪汪濬 ▲마포평생학습관장 金同柱 ▲중계평생학습관장 具熙碩 ▲ 양천도서관장 韓圭鍾 ▲총무과 朴贊葉 ◇ 지방서기관 승진 ▲감사담당관실 金東善 ▲총무과 河民鎬 ▲기획예산담당관실 申文澈 ▲행정과 鄭桐植 ▲교육연수원 교육행정연수부장 朴春培 ▲과학전시관 총무부장 金東壽 ▲총무과(파견) 李德熙 ▲총무과(파견) 劉永祐 ▲총무과(파견) 鄭任均 ◇ 지방교육행정사무관 승진 ▲경인고 蘚于順愛 ▲광양고 權浩錫 ▲노원고 李東培 ▲누원고 元容河 ▲삼성고 尹汝新 ▲석관고 李東燮 ▲잠실고 張錫允 ▲태릉고 朴연(玉+需)仙 ▲경기상업고 白子榮 ◇ 지방사서서기관 승진 ▲종로도서관장 李淑子 ◇ 지방사서사무관 승진 ▲어린이도서관 자료봉사과장 漁永敬 ◇ 지방시설서기관 승진 ▲서울특별시교육시설관리사업소장 金鍾天 ◇ 지방부이사관 전보 ▲ 송파도서관장 金炅喆 ◇ 지방서기관 전보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의사국 의정담당관 李鍾夏 ▲기획예산담당관 趙香勳 ▲행정관리담당관 劉善祜 ▲재무과장 李廷雨 ▲교육연구원 총무부장 金成洙 ▲교육연수원 총무부장 鄭在郁 ▲교육연수원 서무과장 鄭三燮 ▲서울특별시학교보건원 총무부장 具孝重 ▲학생교육원 총무부장金秀東 ▲학생체육관장 朴仁采 ▲고덕평생학습관
고교생의 학력수준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반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2004년 10월20∼21일 전국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고교 1학년생 등 910개교 3만731명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고교 1학년생의 주요 4개 과목 평균점수는 359.26점으로 전년의 360.00점에 비해 떨어졌다고 29일 밝혔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어와 사회, 수학, 과학, 영어 등 5개 과목에 걸쳐 실시됐지만 국어의 경우 2003년과 2004년의 문항수와 배점 등이 달라 비교대상에서 제외됐다. 각급 학교의 과목당 최대점수와 최소점수는 고교가 390점과 330점이고 중학교는 290점과 230점, 초등학교는 190점과 130점이다. 초등 6학년의 평균점수는 160.1점에서 161.5점으로 높아졌고 중학 3학년도 259.97점에서 261.1점으로 상승했다. 교과별로 교육과정에서 규정하는 내용 가운데 반드시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필수 학습요소를 뽑아 평가한 뒤 우수학력(대부분 이해), 보통학력(상당부분 이해), 기초학력(부분적 이해), 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범주화한
한국교원대 2006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이 평균 3.38대 1을 기록했다. 이날 낮 12시 원서 접수를 마감한 교원대는 560명 모집에 1천891명이 지원해 3.3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19명 모집에 104명이 지원한 가정교육과가 5.47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지구과학교육과(5.15대 1), 불어교육과(4.6대 1), 유아교육과(4.21대 1) 등에도 지원자들이 몰렸다. 영어교육과는 2.04대 1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국어교육과(2.15대 1), 윤리교육과와 물리교육과(각각 2.72대 1) 등도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았다.
서울 청소년 10명 중 6명 이상이 자살을 생각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송파구 보건소가 9월 한달간 구내 초.중.고교생 4천15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욕구조사'를 실시해 29일 밝힌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3.8%가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자살을 생각해 본 빈도는 '한두번'이 48.6%, '한달에 한두번'이 10.5%로 나타났으며 '거의 매일'이라고 답한 학생도 4.6%나 됐다. 자살을 생각하는 이유로는 '잘하는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 때'가 19.8%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님 잔소리'(18%), '학업성적이 부진할 때'(14.3%), '장래에 희망이 없다는 생각이 들 때'(14%) 순이었다. 평소에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으로는 69.6%가 '성적 문제'를 꼽았으며, 이밖에 '외모 문제'(8.5%), '부모의 간섭'(2.7%), '이성친구'(2.5%), '동성친구'(2%) 등을 들었다. 또 학교폭력과 관련, 응답자의 15.3%가 '협박이나 폭력을 통해 누군가에게 돈이나 물건을 빼앗긴 경험이 있다', 13.5%가 '한 번 이상 신체적 폭력을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폭력을 휘두른 사람으로는 '같은 학년'이 60.4%로
올들어 경기도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서 각종 안전사고로 숨지거나 다친 학생이 지난해에 비해 16.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경기학교안전공제회에 따르면 올해 도내에서 발생한 교내 안전사고로 9명의 학생이 숨지는 등 모두 5천681명의 학생이 숨지거나 다쳤다. 이는 사망 3명, 부상 4천881명 등 모두 4천884명의 안전사고 인적피해가 발생한 지난해에 비해 16.3%(797명) 증가한 것이다. 올해 발생한 안전사고 피해학생들 가운데 숨진 학생은 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체육시간 등에 무리하게 운동을 하다 변을 당하는 경우 등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상학생은 골절이 298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관절부상 281명, 치아손상 81명 등의 순이었으며 전체 피해학생을 학교 급별로 보면 초등학생 37.7%(2천147명), 중학생 28.0%(1천590명), 고교생 27.1%(1천542명), 유치원 및 특수학교 7.1%(402명) 등이었다. 안전사고 발생시간은 체육시간이 43.9%로 가장 많고, 휴식시간 35.0%, 일반수업시간 7.9% 등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사 관리감독의 눈길이 덜한 휴식시간과 신체적 활동이 많 은 체육시간에 학생들이 다
서울 가락중학교(교장 김재환)가 11월 중순 이후 3학년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특별교육과정이 학생들로 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동안 중학교 3학년의 경우 기말고사가 끝나는 11월 중순 이후에는 수업이 파행적으로 이뤄져 왔으나 가락중학은 작년부터 11월 중순에서 다음해 2월말까지 3학년을 상대로 특별교육과정을 신설해 왔다. 오전에는 논술과 영어, 독서, 한자, 자기소개서 작성 등 졸업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이뤄지고 오후에는 명화감상과 역사스페셜, 호기심천국, 과학여행 등 학생들이 호기심을 끌 만한 소재의 수업이 실시된다. 이와 함께 교내 체험학습으로 도자기공예와 종이상자 접기 등 실기위주의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세종문화회관 견학과 난타 관람 및 덕수궁 견학도 시킨다. 또한 학생들은 제주도로 2박3일 일정의 문화학습체험도 하게 된다. 이 같은 특별교육과정이 실시되자 학생들은 진지한 태도로 중학교 생활을 마무리하고 새로 겪게 될 고등학교 생활을 준비하게 됐다는 것이 학교측 판단이다. 실제 이 학교 3학년 학생들 대다수는 "다른 학교 3학년 친구들에 비해 중학 생활을 알차고 보람차게 마무리하는 것 같아 상당히 좋다"며 특별교육과
2006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원서 마감일인 28일 원서 접수 대행사이트들의 서버 마비로 접수기한이 대부분 연장된 가운데 고려대 안암캠퍼스는 2.87대 1, 연세대 서울캠퍼스는 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고대 안암캠퍼스는 이날 낮 12시 30분까지 접수한 결과 2천501명 모집에 7천187명이 지원, 2.8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조소과가 10.75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고 보건과학부 6.52대 1, 환경생태공학부 5.3대 1, 식품자원경제학과 4.36대 1, 임상병리학과 4.3대 1을 기록했다. 반면 법대는 2.67대 1, 경영대는 1.72대 1, 의과대학은 2.85대 1로 지난해 경쟁률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연세대 서울캠퍼스는 이날 오전 10시까지 접수결과 2천673명 모집에 6천405명이 지원, 2.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성악과가 8.57대 1로 가장 높고 기악과 5.76대 1, 작곡과 5.35대 1, 체육교육학과 4.58대 1, 의예과 3.28대 1, 치의예과 3.27대 1을 기록했다. 경영계열과 상경계열은 각각 1.31대 1, 법학계열은 1.24대 1로 상당수의 학과가 3대 1의 경쟁률을 넘기지 못했다. 경희대는 오후 5시
2006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일인 28일 접수대행사이트 서버가 연쇄적으로 마비되는 바람에 마감이 하루 더 연장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모든 대학에 긴급지시를 내려 접수마감시간을 오후 5시까지 연장했으나 마비사태가 계속되자 사상 처음으로 접수기간을 하루 연장토록 권고했다. 건국대ㆍ고려대ㆍ덕성여대ㆍ명지대ㆍ서강대ㆍ성균관대ㆍ성신여대ㆍ숭실대ㆍ연세대ㆍ이화여대ㆍ중앙대ㆍ한국외대ㆍ한양대 등은 29일 정오까지, 홍익대는 오후 2시, 서울여대ㆍ숙명여대는 오후 3시까지 연장한다. ◇ '눈치작전'에 서버 연쇄 다운 = 이날 오전 9시 40분께 각 대학 홈페이지에 연결된 원서접수 대행사이트에 수험생이 갑가지 몰리면서 인터넷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오전 11시께 사이트 3곳의 서버가 연쇄적으로 다운됐다. 이는 연세대ㆍ서강대ㆍ한양대 등 상당수 대학이 정오에 접수를 마감하는데 마지막까지 눈치작전을 벌이던 수험생이 오전 10시부터 원서작성을 시작했고 서울시립대 등 몇몇 대학을 제외한 모든 대학이 현장접수 없이 인터넷을 통한 접수만 받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전국 350여개(4년제 190여개 포함)대학의 원서접수를 '유웨이(www.uway.com)'와 '어
▲기획관리실장 申哲彬 ▲도립중앙도서관장 權英一 ▲감사담당관 柳承澈 ▲총무과장 李雲善 ▲학교지원과장 韓鎭澤 ▲학교설립과장 金益昭 ▲제2청 감사담당관 宋在根 ▲제2청 기획예산과장 辛東鉉 ▲제2청 학교관리과장 劉和烈 ▲도립중앙도서관 총무부장 李榮卨 ▲성남교육청 관리국장 李豊煥 ▲안산교육청 관리국장 朴命源 ▲용인교육청 관리국장 李元基 ▲저출산대책팀장 白成鉉 ▲국가전문행정연수원 파견 李用翼.金昞萬.許振旭
2006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마감일인 28일 원서 접수를 받는 인터넷 서버가 다운돼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학교 선택 뿐 아니라 원서 접수에서도 마음 고생을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마감일 접속량 폭주는 쉽게 예상된 일이며 서버 다운도 역시 매년 대입시즌마다 되풀이되던 '사태'. 이 때문에 관계기관들의 준비소홀에 대한 질타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연세대ㆍ서강대ㆍ한양대ㆍ한국외대ㆍ성균관대ㆍ명지대ㆍ이화여대 등은 원서 접수 시간 연장을 반복하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는 결국 대입 원서접수를 29일까지 연장하기로 결정을 하기는 했지만 상당수의 수험생들은 28일 컴퓨터 앞에서 마음을 졸이며 하루를 보내야 했다. ◇대형 서버 부재가 문제 = 사태의 원인은 서울시립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이 현장접수를 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한 접수만 받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각 대학들로부터 접수를 위탁받은 대행업체가 '유웨이(www.uway.com)'와 '어플라이뱅크(www.applybank.com)', '어플라이114(www.apply114.com)' 등 네 업체 뿐인 것도 결정적인 원인이다. 막판 극심한 눈치작전을 펼치던 지원자들이 마감시간에
28일 대입정시모집 원서접수 대행사이트 서버 마비사태로 대학원서접수 현장마다 큰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가운데 부산지역 주요 대학들은 교육부 권고에 따라 마감을 하루 연장키로 했다. 동아대학교와 동의대학교는 인터넷 원서접수 및 창구접수 마감을 29일 낮 12시까지 연장키로 결정했다. 당초 인터넷으로만 원서를 접수했다가 28일 오후 긴급히 창구접수에 나섰던 경성대학교와 부산외국어대학교도 인터넷 접수에 한해 29일 낮 12시까지 연장키로 했다. 동서대학교와 신라대학교는 인터넷 및 방문접수 마감을 29일 오후 5시까지 연장한다. 그러나 동명대학교는 인터넷 접수는 28일 자정까지, 교내접수는 28일 오후 8시까지 접수를 마감키로 했다. 한편 교육부는 28일 오후 전송을 통해 연장여부는 대학 자율적으로 정하되 창구접수를 포함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 수험생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일부 대학이 2006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를 인터넷 접수 마비로 29일 오후로 연기함에 따라 최종집계는 안됐지만 지금까지의 지원 경향을 보면 '눈치작전'이 작년보다 극심해졌고 최상위권이나 상위권 학생의 경우에는 하향 안정지원을 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졸업후 취업전망이 밝은 한의예과와 의예과, 치의예과, 사범대 등에도 예년처럼 지원자가 크게 몰렸다. ◇ 인터넷 접수 마비…원서접수 하루 연장 = 눈치작전이 극심해지면서 당초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일인 28일 접수대행 사이트 서버가 연쇄적으로 마비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날 오전 9시 40분께 각 대학 홈페이지에 연결된 원서접수 대행사이트 세곳에 수험생이 대거 몰리면서 인터넷 사용 속도가 느려지다가 급기야는 서버가 잇따라 다운됐다. 이에 따라 이날 원서를 마감키로 했던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명지대, 한양대, 서강대, 건국대 등 서울지역 주요 대학들은 29일 정오까지 원서접수 기한을 연장하기로 했으며 대부분의 대학도 마감 연장을 논의하고 있다. 이에 앞서 교육인적자원부는 모든 대학에 접수마감시간을 1차로 이날 오후 5시까지 연장한 뒤 불편이 계속되면 29일 오후 5시까지 연장해 수험생
대전지역 주요 대학들이 대학 인터넷 원서접수 대행사이트들의 마비로 인터넷 원서접수 마감시간을 연기했다. 28일 대전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한남대, 목원대, 배재대, 대전대 등 주요 사립대학들은 당초 이날 오후 5시까지 인터넷 원서접수를 마감할 계획었으나 오후 9시까지로 마감시간을 늦췄다. 한밭대도 낮 12시까지이던 마감시간을 오후 5시까지로 늦췄으며 우송대는 오후 5시에서 오후 7시로 늦추며 팩스로도 접수하기로 했다. 이밖에 중부대는 밤 11시까지, 건양대는 밤 12시까지 인터넷 원서 접수시간을 연장키로 했으며 충남대는 당초 계획대로 이날 오전 10시에 원서접수를 마감했다. 지역대학 한 관계자는 "인터넷 원서접수 대행사이트로 수험생들이 몰리면서 과부하에 따른 원서접수에 어려움을 겪고있다"며 "각 대학 인터넷 접수창구로 접속하면 원활하게 원서를 접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06학년도 대학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일인 28일 막판 눈치작전으로 원서접수가 폭주하면서 광주지역 일부 대학의 인터넷 원서접수 서버가 다운됐다. 광주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이날 전남대 등 광주 일부 대학의 원서접수를 대행하는 인터넷 용역업체의 서버가 다운되면서 원서접수의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전남대의 경우 낮 12시까지 인터넷 원서접수를 받기로 했으나 오전 10시 30분께부터 접속이 안돼 마감시간을 오후 5시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조선대도 역시 접속폭주로 서버가 다운되면서 낮 12시까지인 접수마감 시간을 오후 4시까지 연장했다. 이 같은 서버다운은 접수마감 당일 수험생들이 수도권 대학과 마찬가지로 치열한 눈치작전을 전개하면서 일시에 접속이 밀려들었기 때문으로 대학측은 보고 있다. 특히 창구접수의 폐단을 막기 위해 도입된 인터넷 원서접수가 눈치작전이 되풀이 되면서 이 같은 혼란으로 연결돼 제도 도입 취지를 살리지 못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사전에 접속폭주에 대비한 충분한 대책을 세우지 못한 대학과 교육부에 대한 원성도 쏟아지고 있다. 전남대 관계자는 "서버다운 전 접수한 학생들과 연장 결정 이후 접수한 학생들 사이의 형평성 논란이 일 수도 있겠지만 마
2006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마감일인 28일 각 대학 인터넷 홈페이지에 연결된 원서접수 대행 사이트에 접속자가 몰리면서 서버 마비 사태가 잇따랐다. 강원대는 이날 오전 11시께부터 2시간여 가량 인터넷 대행업체의 원서접수 사이트 서버가 다운되면서 지원자들이 원서 접수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학교측은 당초 정오로 예정됐던 접수시간을 오후 3시반까지로 연장했다. 강원대 관계자는 "인터넷 원서접수 대행업체 두 곳과 학교 자체 서버를 함께 운영했는데 학교 서버에는 문제가 없었던 반면 대행업체 사이트 두 곳에는 접속자가 몰려 문제가 생긴것 같다"고 말했다. 한림대도 대행업체의 서버가 오전 한때 마비돼 지원자들이 불편을 겪어야 했다. 접수 대행업체 두 곳의 서버가 다운돼 당초 오후 4시까지였던 인터넷 원서 접수시간을 오후 5시까지 1시간 연장했다. 고성 경동대도 인터넷 원서접수가 폭주해 자정까지 접수를 연장하고 28일 접수를 다 못할 경우 다음날 오후 5시까지로 접수시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협의중이다. 상지대 역시 이날 오전 10시부터 원서접수 대행사이트에 수험생이 몰리면서 서버가 다운돼 애를 먹고 있으며 정오에 원서를 마감하기로 했으나 오후 5시로 시간을 연장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