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코로나19 시대 ‘작은 학교’ ‘작은 학급’이 아름답다

경북 자유학구제 시행 결과
소규모 초·중교 390명 유입

방과후학교 지원 등 맞춤교육
승마, 갯벌체험 등 특색체험

교육 전문가도 한 목소리
“학급당 학생 수가 적어야
‘거리두기+집중지도’ 가능”

하윤수 한국교총 회장
소규모학교 살리기 솔선
“학교 방역 근본대책은
학급당 학생 수 감축”

[한국교육신문 한병규 기자] 경북에서 도시 학생이 시골의 소규모학교로 이동하는 현상이 올해 3배 가까이 늘었다. 경북도교육청이 2018년 시범사업 때부터 3년간 진행하고 있는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의 효과와 더불어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합한 곳으로 옮기기를 희망하는 수요가 서로 맞물려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를 통한 소규모학교로의 이동은 390명(8월 19일 기준)이었다. 초·중 각각 311명과 79명이었다. 전체 108교(초교 97곳) 중 69교(초교 63곳)에서 유입 효과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거의 3배의 증가세다. 지난해 정식시행 첫해 때는 초교에서만 진행됐고 올해는 중학교까지 확대된 것이기에 단순비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나, 초교만 놓고 봐도 2.5배가 늘었다.
 

‘작은 학교 자유학구제’는 소규모학교 살리기 정책 중 하나로 소규모학교 학구를 대규모학교 학구까지 확대·지정하는 제도다. 자연친화적 환경에서 가능한 다양한 특색사업, 방과후학교 지원 등 다양한 유입 책 제공을 전제로 큰 학교 학생들이 주소이전 없이 소규모학교로의 전입이 가능하도록 선택권을 주고 있다. 
 

지난해 초교 29곳을 대상으로 처음 시행한 결과 20곳의 소규모학교에서 총 134명의 학생이 늘었다. 일부 학교는 복식학급이 해소됐다.
 

올해부터 중학교로 확대한 결과 경북도청 신도시 풍천중에서 50여명의 학생이 10㎞ 정도 떨어진 소규모학교 풍산중으로 옮겨 2학급이 늘었다. 신도시 학교 과밀학급 해소는 물론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위기 해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관내 교직원들의 노력이 컸지만, 코로나19 시대에 자연스럽게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능하며 소수정예로 교사에게 집중지도 받을 수 있는 곳으로의 학교선택을 원하는 수요자가 늘어난 것도 그 이유다.
 

소규모학교들은 승마, 갯벌체험 등 다양한 자연친화적 체험 프로그램에 방과후학교 지원, 수준별 맞춤 수업이 가능해 사교육비 경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특색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정책적 지원, 교직원의 노력, 지역공동체의 관심 등이 함께 어우러진 결과”라며 “물론 최근 코로나19 시대에 과밀학급으로 등교가 어려운 학교보다 학급당 학생 수가 적은 곳에서 선생님에게 집중적인 지도를 받는 것을 선호하는 수요자가 늘어난 것도 한 몫 했다”고 설명했다.
 

 

사실 이 같은 ‘작은 학교’와 ‘작은 학급’은 미래교육에서 필수나 다름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렇기에 소규모학교는 살려야 하고, 대규모학교는 소규모학급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팬데믹(pandemic, 감염병 대유행)은 언제라도 재발될 수 있다. 감염병이 아니더라도 블렌디드 러닝과 개인 맞춤형 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대다수 교육 전문가의 목소리다.
 

광주교대 박남기 교수는 “대도시 학교에서 원격수업이 장기화되면서 학생 방치가 심각하다. 학력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지역별로 학교와 지자체가 논의해 소규모 인원이 안전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파트나 마을 단위의 ‘온라인 학습방’을 설치하고 지역아동센터의 온라인 학습방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지자체, 은행 등 기관이 보유한 휴게시설 등이 어떨까 한다. 주민, 민간기업 등이 힘을 합쳐 학생 교육에 동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도시에서 현재 학급 규모에서 지역별 ‘소규모 재구조화’가 필요하다는 설명으로, 학급당 학생 수 감축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한국교총 하윤수 회장 역시 지난달 말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에 대해 “근본적인 방역대책은 ‘학급당 학생 수 감축’에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을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하 회장은 소규모학교 살리기에도 힘쓰고 있다. 경남에서 소멸될 위기에 처했던 고현초 45회 졸업생 출신이라 남 이야기 같지 않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현재 그는 지역의 소규모학교 살리기 캠페인에 나서고,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이끌어내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 회장은 “앞으로는 마을교육 공동체가 아니면 학교도 마을도 살아남을 수 없다”며 “모두가 고현면을 살리는 주체라는 생각으로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