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수행평가 정책·지침 따랐는데 교육당국이 부담 초래

학생·학부모 부담 불가피한 측면
준비·암기 근절은 취지 왜곡
교총, “소통, 실태 파악부터 해야”

교육부가 2일 발표한 ‘중·고교 수행평가 부담 해소방안’에 대해 교총은 4일 “지금과 같은 수행평가 횟수, 시기 집중이 나타난 것은 교육부, 시·도교육청의 정책과 지침에 의했던 것”이라며 “그럼에도 이에 대한 해소방안 없이 마치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도 지키지 않은 것처럼 호도한 데 대해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교육부에서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알고 개선하려 한다면 과목별 수행평가 현황과 세부 개선방안, 학사일정 상 적정한 수행 및 지필평가 방안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민과 현장 소통을 먼저 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총이 밝힌 바에 따르면 현재 각 시·도교육청은 학기 단위 성적의 40% 내외를 수행평가로 반영토록 하고, 수행평가 한 영역의 비율이 30%를 넘는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해 시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과목 당 2~3차례 수행평가를 치러야 한다. 또 과목 진도, 각종 학교행사, 지필고사 기간 등을 피하려면 수행평가가 일정 기간에 몰릴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교총은 교육부가 ‘과제형 수행평가’와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 등을 지양토록 하겠다는 것에 대해서도 “취지가 무색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탐구활동, 발표, 토론 등을 통해 학습 과정과 실천적 적용 등을 확인하는 수행평가를 단지 부담을 이유로 준비조차 못하게 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또 일정 부분 필요한 암기의 영역을 배제하는 것은 평가를 학습 도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수행평가의 취지를 왜곡하고, 외우는 것을 무조건 배척하는 형태의 평가를 구안하느라 애를 먹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고도 했다.

 

강주호 교총회장은 “수행평가를 개선하고 싶다면 평가를 직접 실시하는 현장교사의 의견과 시행 실태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순서”마려 “고교학점제의 초소성취수준보장제 등 수행평가를 조장·왜곡하는 정책까지 모두 살펴 교사·학생의 부담은 줄이고 교육적 의미는 더하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