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6월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시도에 따라 후보자가 본격적으로 거론되는 등 관심이 뜨겁다. 새 정부의 교육정책은 누가 교육감이 되느냐에 따라 요동칠 수밖에 없어 더 그렇다. 이와 관련해 교육계는 물론 국민에게 환영받는 교육감의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진영논리, 실험주의 경계해야
첫째, ‘공정한 경쟁’의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고 진영논리에 빠지지 않는 ‘모두를 위한 교육감’이 돼야 한다.
교육에는 보수, 진보가 따로 없다. 직선제 선거과정에서 진영논리가 개입되더라도 교육감이 된 후에는 어느 한편의 교육감이 돼서는 안 된다. 이를 간과해 갈등을 초래하고 비판의 대상이 돼 온 사실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
정책 입안과 추진과정에서 민주적인 토론과 불편부당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인사도 투명하고 공정하게 시행돼야 한다.
둘째, 실험주의 정책의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 선거를 통해 선택받은 역대 정권과 교육감은 업적, 성과에 급급해 늘 새로운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학교현장과 학부모들이 가장 우려하는 점이 바로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교육정책이다. 톱다운(Top-down) 방식의 실험주의 정책에 피로감을 느끼면서 민심 이반의 요인이 됐다.
따라서 현장중심의 상향식(Bottom-up) 정책을 마련해 단위 학교의 자율성을 더 많이 부여해야 한다. 학교 현장의 문제를 현장에서 듣고 현장에서 그 해답을 찾는 소통의 자세가 요청된다.
셋째, 교원을 존중하고 학생, 학부모 인기 영합적 정책에 매몰되지 말아야 한다.
보편적 가치인 인권과 민주를 강조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의무와 책임, 인성교육도 중요하다. 교권추락과 사기저하로 신음하는 현장교원을 단지 지시의 대상으로 여기지 말고 학생과 학부모 못지않게 존중하고 섬기는 자세가 요구된다. ‘권위적’인 것은 지양돼야 하지만 교사의 ‘권위’ 그 자체는 교육력과 직결되는 중요한 가치다. 교사가 소신을 갖고 학생을 교육할 수 있는 학교 현장이 돼야 하며 교원이 보람과 긍지를 느끼는 교직 문화가 조성돼야 한다.
넷째, 교육의 본질과 핵심 가치를 실현하는 교육정책을 펼쳐야 한다. 창의교육, 행복교육도 중요하지만 인성에 기반을 두지 않는 교육은 공염불이다. 인성교육은 행복교육과 창의교육의 바탕이 되는 교육의 본질이며 핵심가치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이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학교 지원, 자율성 높일 후보 뽑자
오늘 날 대한민국의 발전에는 교육의 힘이 가장 컸다고 말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열쇠 역시 교육에서 그 답을 찾아야 한다. 미래사회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 인적 자원, 휴먼소스(human source)가 중요한 국가 발전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가오는 교육감 선거에서는 막중한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학교현장을 지원할 교육감,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교육생태계를 복원시키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 교육감을 반드시 선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