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교폭력으로 보는 교사, 학생의 관계

중국은 ‘단 하루라도 스승이었다면 평생 어버이로 삼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교사에 대한 존경이 극진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학교에서는 이러한 전통을 비웃기라도 하듯 교사가 학생들을 때리거나 반대로 학생들이 교사를 구타하는 사건들이 빈발하고 있어 교육계에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의 언론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지난 5월 <양청완바오[羊城晩報]>의 한 기자가 인터넷에서 ‘학생의 교사 폭행’이라는 주제어로 검색한 결과 약 803만 건의 관련 뉴스 기사가 검색됐고 ‘교사의 학생 폭행’ 역시 407만 건이 검색됐다.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 악화가 심각함을 방증하는 이러한 결과는 교사를 존경하는 전통을 가진 중국인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최근 들어 중국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불미스러운 일들이 발생하는 원인은 도대체 무엇일까? 중국 교육계에서는 교육에 대한 시장논리의 적용, 도덕교육의 부족, 입시위주의 교육 등을 그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첫째, 교육의 시장화로 인해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가 점차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교육전문가들은 관계 악화의 가장 큰 원인이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개혁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21세기 들어 중국 정부는 교육개혁을 야심차게 진행하고 있는데, 그 결과 교육이 급격히 시장화의 논리를 따르게 되면서 전통의 사제관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전통적으로 사제 간에는 윤리적인 관계가 강조됐으나 시장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에도 경제의 논리가 적용되게 되었다. 일부 학생들은 자신들이 학비를 내고 수업을 듣는다는 생각에 교사들에 대한 존경심이 일체 없는 상태이고, 일부 교사들은 교사직을 돈을 벌기 위한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탓에 교직에 대한 사명의식이 점차 희박해져 가고 있다.

둘째, 학교에서의 도덕교육 부재 때문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학교는 지식을 전수하고, 시험을 준비하는 곳으로서의 기능만 부각되고 있다. 때문에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의 도덕교육이 형식적이고, 암기식으로 흐르게 되는 등 소홀히 다루어지게 됐다. 이러한 도덕교육의 결핍 상태에서 학교 및 교사들은 더 이상 학생들에게 존중과 존경을 받는 대상이 아닌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특히 교사와 학생 간의 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 농촌과 도시의 경계지역에 설립된 사립학교라는 통계에서 나타나듯이 교사의 지위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대우가 낮은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단지 학생들에게 지식을 가르쳐 상급학교로의 진학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는 인식을 가진 일부 지역의 교사들에 의해 도덕교육을 소홀히 함으로써 학생들의 교사 무시가 점점 더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과 관련해 중국의 교사들은 이제 더 이상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없는 약자가 되었다고 하소연한다. 교사들에게 중요한 것이 교사로서의 권위인데, 사회적인 분위기로 인해 이제는 더 이상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교사의 권위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걱정한다. 특히 교육개혁 과정에서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법률적인 조치들이 늘어나는 데 비해 교사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조치들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져 교사들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중국 교사들의 주장이다.

중국 교육전문가들은 교사와 학생 간의 갈등이 확산되는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사회규범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생들을 위해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함부로 대하거나 교사의 권한을 남용하지 못하도록 견제하는 장치를 만들고, 교사들에 대해서는 교육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에 대해 징벌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교사들도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현재 학생들의 능력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들을 장악할 수 있으려면 학생들을 설복시킬 수 있는 교사들의 실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야만 비로소 학생들의 마음에 교사의 권위를 세울 수 있고 결국에는 학생들의 존경심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