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은 본래 한국에서 생긴 것은 아니고, 사순절의 첫날부터 넷째 주 일요일에 어버이의 영혼에 감사하기 위해 교회를 찾는 영국·그리스의 풍습과, 1910년경 미국의 한 여성이 어머니를 추모하기 위해 교회에서 흰 카네이션을 교인들에게 나누어 준 일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어버이날 유래는 1930년 6월15일 구세군에 의해서 만들어진 어머니 주일에서 시작되었는데 초대 통령인 이승만 대통령은 "어머니 날"을 1956년 5월8일 국무회의에서 제정하였다.
이후로 17차례 진행된 어머니날이 진행되었는데 어머니만 중요한 부모가 아니기 때문에 아버지날도 따로 지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었다. 그래서 1973년 3월30일'각종 기념일'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6615호"에 의거해서 정식으로 기념일로 지정되었고 이듬해인 1974년 부터는 “어버이 날”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런 뜻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제 57회 어버이날을 맞이하여 북내초등학교 주암분교장(교장 김경순)어린이들은 지난 5월 8일 주암리 마을 회관에 봉사활동을 다녀왔다.
어린이들은 미리 만든 카네이션을 동네 어르신들 가슴에 달아 드리고 4학년 어린이들의 리코더 반주에 맞추어 “어머님 은혜”를 불러 드렸다. 그리고 학생 대표 배은혜 어린이가 부모님께 올리는 글을 낭독 할 때에는 일부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은 감격하여 눈시울을 붉히기도 하였다. 이어서 주암분교장에서 준비한 절편과 막걸리를 마을 회관 동네 어르신들에게 전달하였다.



할머니와 할아버지들께서는 행사를 마치고 학교를 돌아가려는 어린이들의 손을 잡고 “너무 고맙고 그 뜻이 장하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