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실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모 방송국의 PD가 학교에 동의를 구해 등교 시간 전에 관찰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교실에서 학생 1명을 빼고는 전원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것이다. 의자에 앉자마자 스마트폰부터 꺼내 든 한 아이가 아이 XX, 예스! 선생님께 들킬까 봐 책상 밑이나 교실 바닥에 숨기까지 하는 모습이다.
스마트폰과 가장 친한 듯 친구에겐 눈길 한 번 주지 않는 아이들의 모습이었다. 친구와 모여 앉은 쉬는 시간에도 시선은 역시 스마트폰에 고정되고, 수업 종이 울려도 그만두질 않는다. 한 초등학생은 너무 많이 하면 안 좋다는 것도 알고, 그만 해야 된다는 생각도 있는데 그래도 계속하고 싶어진다고 고백했다.
점심시간에도 운동장은 텅 비어 있다. 친구들과 뛰어놀기보단 4인치 남짓한 화면을 택한 아이들, 교실은 이미 스마트폰 방으로 변했다. 이래서야 수업이 되겠는가 생각하는 한 초등학교 교사는 스마트폰을 아이들로부터 오히려 해방시켜야 한다는 생각이다. 아이들을 학생답게, 아이답게 하는 것에 있어서 스마트폰이 구속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서도 아침 교실 순회를 하면서 보이는 것은 일찍 등교한 아이들이 스마트폰을 손에 잡고 삼삼오오 모여 잡담을 나눈 모습이다. 그만큼 아이들은 스마트폰에 사로잡혀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그런가 하면 가족과의 외식 자리에서도 스마트폰의 구속은 계속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같은 현상은 가정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한 손에는 젓가락, 한 손에는 스마트폰을 든 여중생의 모습을 그려보면 네 식구 가운데 2~3명이 스마트폰에 집중하다 보니, 대화가 이어질 리 만무하다. 이 중학생은 카카오톡을 하면서, 스마트 폰이 없으면 허전하다는 것이다. 그의 어머니는 오늘은 평소보다 많이 안 했다는 것이다. 아들도 그렇고 딸도 그렇고 평소에는 더 심해요. 각자 서로의 문자를 확인하고 카카오톡이 왔는지 확인하고, 그러니까 각자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이다.
고교생 2명 중 1명 "SNS 영향 공부 소홀"국내 고교생 2명 중 1명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때문에 학업을 소홀히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도 10명 중 4명 꼴로 SNS로 인해 학업에 지장을 받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29일 같은 내용을 담은 '청소년 소셜미디어 이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난 6월 고교생 2574명, 대학생 2302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간의 SNS 이용 실태를 조사했다. 이에 따르면 고교생 중 50.2%, 대학생은 39.4%가 "SNS를 하느라 공부를 소홀히 한 적이 있다" 고 답했다. 카카오톡은 전체 응답자의 75%가, 페이스북은 33.4%가 거의 매일 이용한다고 답했다.
이같은 현상을 지켜보면서 자녀를 가진 학부모와 학교, 정부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같은 새로운 변화는 아직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것들이라서 차분한 준비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