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이미 지난 일을 추억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때로는 어리석고 무모했던 일들이 후회와 함께 떠올려지기도 하고, 또 어떤 기억들은 두고 두고 행복함으로 떠올려지기도 한다.
필자는 교직경력이 30년을 넘었음에도 일학년을 담임했던 적은 두어번밖에 없다. 그래서인지 일학년 아이들과의 기억들은 늘 행복으로 떠오른다. 지난 번 근무했던 학교는 바로 집 앞이었다. 시종소리가 시작될 때 집을 나서면 그 종소리가 끝날 쯤은 어느새 학교에 도착할 정도라고 할까.
담임을 했던 1학년에 지각을 밥먹듯이 하는 아이가 있었다. 엄마 아빠가 모두 새벽같이 출근하는 바람에 할머니가 건사하여 등교시키는 아이였다. 일찍부터 깨워 준비시키는 할머니 말을 잘 듣지 않고 늦장을 부리다가 종종 지각을 하곤 했던 것이다. 마침 그 아이 집이 같은 아파트 같은 층이었던 터라 지각하는 버릇도 고쳐줄 겸 출근 시간에 그 집에 들러 같이 등교하기로 했다. 두어 번 아이 손을 잡고 등교하였더니 학급의 다른 아이 하나가 다가와 물었다.
“선생님, 왜 종환이랑 같이 와요?” “응. 집이 가까워서 같이 오는거야.” “와, 종환이는 좋겠다. 나도 선생님하고 같이 학교 오고 싶다” “그러니? 그럼 내일 아침엔 우리 둘이 만나서 같이 올까?”
다음날 우리는 함께 등교를 했다. 그랬더니 교실에서는 난리가 났다.
“나도 선생님하고 같이 학교에 오고 싶다.” “나도, 선생님은 왜 종환이, 수민이하고만 와요? 나랑도 같이 와요.”
아이들이 우르르 나와 함께 등교하자고 법석이 난 것이다.
“그러면 칠판에다 이름을 써 봐, 선생님이랑 같이 학교 오고 싶은 사람은.”
순식간에 칠판 가득 아이들 이름이 적혔다.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천진만만한 아이의 바람을 그저 들어주고자 하였던 일이 그만 커지고 만 것이다. 처음엔 큰일났다 싶었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아주 어려운 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므로 집 찾기도 수월하고 학교까지 거리도 멀지 않은지라 할만할 것 같았다.
나는 아이들 이름 옆에 선생님과 함께 등교할 날짜를 적어주었다. 혹시라도 집으로 찾아가면 부모님이 불편해하실 수 있으므로 정해진 시각, 정해진 장소-아파트 출입현관 앞-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고 그 날부터 아이들과의 동반 등교가 시작된 것이다. 나는 학교를 코앞에 두고 아이들 집을 들러오느라 헐떡이며 출근해야 했으나, 아이들은 자신에게 배당된 날을 기대하고 고대하며 손꼽아 기다렸다.
일학년 아이들은 정확했다. 늘 정해진 시각에, 만나기로 한 장소에, 평소보다 더욱 예쁜 용모로 나와서 선생님을 기다렸다. 옛 어른들이 말씀하셨듯 깎은 밤처럼 뽀얗고 탐스런 아이들 손을 내 아기처럼 꼭 잡고 출근하다가 문득 위를 올려다보면, 영락없이 아이의 집 베란다에서는 아이와 똑같이 생긴 그 엄마가 눈이 부시도록 예쁘게 웃으며 손을 흔들고 있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었으나 서너명의 아이들은 인근 주택단지에 살고 있어 그 아이들과 함께 등교하기로 약속된 날은 하루 전 쯤 미리 아이의 집을 답사해야 했다. 아침에 집을 찾느라 시간을 보내다 보면 자칫 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명부의 주소를 들고 기웃거리며 주택단지를 돌아다니다 거리에서 놀고있는 아이를 만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러면 아이들은 오랫동안 못만난 가족이라도 만난듯 반가움에 발을 동동 구르며 달려들었다. 그리고 선생님 손을 잡아 끌며 자기 집을 알려주곤 아침에 길 잃지 말고 잘 찾아오라는 당부의 말도 잊지 않았다. 마치 자기가 선생님인것처럼.
나도 집에 등교시켜야 할 아이가 있었던지라 바쁜 아침 시간을 소모하는 게 때때로 힘에 겨웁기도 하였으나 도중에 그만 둘 수는 없었다. 아이들과의 약속도 약속이거니와 무엇보다도 아침마다 내 손안에서 꼬물대는 아이들의 작은 손과 그 손에서 전해지는 체온 그리고 베란다에서 내려다 보며 손 흔드는 아이 엄마의 모습에 중독이 되어버렸던 것이다.
물론 지각생이었던 아이는 더 이상 지각하지 않는 부지런장이가 되었고, 교실은 아침마다 선생님과 등교한 경험을 나누느라 다정한 정이 넘치곤 했다.
그 아이들이 곧 고등학생이 된다. 며칠 전 그 중 한 아이가 이멜로 편지를 보내왔다. 그저 안부를 전하는 메일이었지만 나는 자신도 모르게 그 일을 생각하며 웃고 있었다. 혹시 아이들은 그 일을 잊었을까? 그렇다 할지라도 전혀 섭섭하지 않다. 그 때, 내가 그들을 사랑한 것보다 그들이 더 많이 나를 사랑해주었기 때문이다. 누가 그 이른시간에 설레는 마음으로 나를 기다려줄 것인가? 또 베란다에서 행복한 웃음으로 손을 흔들며 배웅해 줄 것인가?
돌이켜보니 아이들과의 시간 중 많은 부분들은 일이라기보다 추억을 만드는 시간이었다. 나와 함께 등교해주었던 작은 천사들, 내 인생에 찾아와 준 기적같은 그 일이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