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들의 여름 방학을 일주일여 앞두고 방학캠프와 체험학습을 노크하는 엄마들의 마음이 바빠졌다.
청소년들을 위한 여름 캠프는 리더십 캠프부터 도전정신의 해병대 캠프 극기훈련, 국토대장정, 해외탐험, 영어캠프, CEO캠프, 공부습관 학습캠프 등 실험 정신을 가르치는 과학캠프, 예의를 가르치는 청학동 예절캠프, 돈의 개념을 깨우쳐주는 경제캠프, 역사의 흐름을 배우는 역사캠프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10년 이상 청소년 캠프 현장을 함께한 캠프전문가들의 캠프 선택 노하우를 들어봤다.

◇ 캠프의 주제를 정해 자녀와 대화한다.
자녀의 적성과 관심, 그리고 강점과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고려하여 3~5개 캠프를 정한 후 자녀와 상의하고 캠프를 결정한다.
◇ 캠프 업체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한다.
캠프 업체가 어떤 주제와 일정으로 진행되는지,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잘하는 것을 더 잘하도록 독려해주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주고, 이색적인 체험을 통해 눈과 귀를 열 수 있는 경험의 폭을 넓혀 주는 것이 핵심이다.
◇ 캠프 주관단체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살펴본다.
직접 방문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회사연혁, 교육내용, 프로그램, 교육경력 등을 확인하고 수료한 학생과 학부모님들의 평가를 꼼꼼하게 살펴본다. 특히, 게시판의 최초 게시 일을 확인한다.
◇ 숙박시설 및 학생 관리의 안전성을 살펴본다.
자녀가 참가하는 캠프 유형(숙박형)에 따른 보험가입 여부, 숙박 형태 및 숙박시설의 안전, 응급조치 방법, 관리교사 편성, 식단 구성 등과 특히 적법한 청소년수련원 허가 시설인지 확인한다. 국토순례나 행동훈련 등의 이동형 캠프는 예외다.
◇ 포털사이트를 꼼꼼하게 검색하면 객관적 정보를 알 수 있다.
지난 캠프 참가자들의 체험 후기를 인터넷을 통해 확인한다. 더불어 포털사이트의 블로그, 카페 등에서 캠프회사 상호를 검색해보면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참가비가 합리적인지 검토한다.
캠프 참가 시 비싼 참가비 만큼 교육적 효과는 있을지 파악한다. 캠프 참가비가 너무 저렴한 경우는 박리다매(薄利多賣)로 학생들을 모객해 숙박시설 및 식단, 강사의 자질, 보험 등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캠프 실행 단체가 직접 운영하는지 따져본다.
여행사, 기획사 등 단체에서 모집해 실행 단체에 아이들을 넘겨 줘 수수료만 챙기는 업체들도 있다. 이럴 경우 영업대행료가 빠지기 때문에 피해는 고스란히 캠프에 참가하는 학생들이 피해를 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도움말>해병대 전략캠프(www.camptank.com) 정지웅 교육팀장
아이캠퍼(www.icamper.co.kr ) 김수노 원장
한국탐험연맹(www.tamhum.or.kr) 강서구 총대장
한국역사문화학교(www.koreaschool.co.kr) 정준영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