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년을 맞아 각급 학교에서는 반장선거가 한창이다. 특히 고교에서는 많은 학생이 반장 후보로 출마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고 한다. 한 때는 반장이 되면 학교에 재정적인 협조를 하거나 담임과 학년 담당 선생님께 인사하는 것이 부담스러워 서로 맡지 않으려고 했었다.
그런데 요즘은 각 대학에서 신입생 선발 시 간부경력이 있으면 약간의 특혜와 가산점을 준다. 그래서 과거에는 주로 공부 잘 하는 학생이 반장에 나섰으나 요즘은 가정환경이 좋은 학생이 나서는 경향이다. 결국 대학진학시 약간의 이점 때문에 너도나도 반장을 하겠다고 야단법석이다.
심지어 선거 전에 선물을 돌리거나 음식을 제공하는가 하면 전년도의 같은 반 학생에게는 사전에 전화를 걸어 찍어 달라고 당부하기도 한다. 하지만 반장은 학급에 대한 봉사자요 심부름꾼이 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선 초·중등학교에 대한 반장제도가 없다. 어릴 때부터 특권의식을 가져다주고 불평등 교육을 유발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도 이제 반장에 대한 인식변화가 절실하다. 학부모와 반장선거에 출마하려는 학생들은 대학진학이 용이하거나 가산점을 받기 위해 반장을 하려 해서는 안 된다. 학교에서도 반장의 취지를 잘 이해시켜 급우 위에 군림하려 하거나 대학 진학 시 유리한 점을 이용하려는 학생들의 출마를 자제시켜야할 것이다. 학생의 자치제도를 입시에 악용하려는 것은 온당한 처사가 아니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