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얏!”
아직 쌀쌀한 날씨지만 서울 영본초 강당에는 양말을 모두 벗은 채 2시간 동안 땀 흘리며 검도 훈련을 받는 30여 명의 어린이와 학부모들의 기합소리가 가득하다.
영본초에는 다양한 방과 후 활동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검도부가 인기다. 2년 전 아버지회에서 검도 자격증을 가진 분들이 교육봉사에 나서면서 시작됐다. 지난해에는 30여 명이 활동했는데 올해는 60명이 신청해 인기가 날로 늘고 있다.
검도는 정중한 인사, 욕심과 나쁜 마음을 버리는 묵상과 함께 시작된다. 밀어내기, 머리치기, 손목치기, 허리치기, 빠른 머리치기, 좌우 머리치기 등 16개의 기본동작을 6개월 정도 하고 난 아이들은 “검도의 힘을 알게 됐다”고 했다. 우선 마음자세가 진지해지고 인사예의를 갖추게 된 점이 눈에 띄었다. 집중력도 향상됐다. 뉴질랜드 국가대표선수를 지낸 박현진 사범(5단)은 “2시간 동안 타격을 하며 두뇌를 자극한 힘이 습관이 돼 일상 집중력도 함께 신장됐고 학습능력이 향상되는 어린이들을 많이 봤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 학교에서도 지난해 거친 언어와 행동을 보이던 학생이 2개월 간 검도 훈련을 받고 차츰 안정을 찾은 경우가 있었다. 아이는 교사와의 약속을 지키면서 정서가 순화돼 친구들도 많아지고 욕설도 줄었다. 단기간 인성지도로는 아이들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검도는 아이들의 마음과 생각을 근본적으로 달라지게 해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 운동이라고 확신한다.
학습에 관심이 없고 욕설과 괴롭힘, 거친 행동과 괴음 등 반항하는 아이 때문에 힘들어했던 한 담임교사는 이 아이에게 검도를 시작할 것을 적극 설득해 결국 입단했다. 얼마 전 우연히 이 어린이와 마주쳤는데 표정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인사를 건네며 의욕에 찬 목소리로 “검도부에서 열심히 해보려고 한다”며 의지를 보여준 학생이 고맙게 느껴졌다. 이 아이가 검도를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 집중력을 길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하기를 바란다.
이제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검도 보호구인 갑과 갑상, 호면을 착용하고 수업에 임한다. 여자 어린이들도 꾸준히 훈련받고 있으며 학부모 4명도 매주 토요일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박현진 사범은 “검도 훈련은 정신교육과 함께 이뤄지기 때문에 바른 자세는 물론 집중력, 학습실력까지 향상되는 등 인성교육에 안성맞춤인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우리학교 검도부가 성공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선례로 남는 날까지 더 많은 강사들의 재능기부를 받는 등 앞으로도 검도부를 지원하고 응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