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을 치르고도 50여 년 만에 UN 가입국 193개국 중 경제력 11위 정도에 오른 나라는 세계역사상 대한민국뿐이라고 한다.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대한민국의 빠른 발전에는 누가 뭐라 해도 학교 교육이 크게 공헌했다. 하지만 모든 일의 성취 이면에는 부작용이 있다.
사람의 성장을 빙산에 비유하면 윗부분인 1/10은 학력·실력이고 밑 부분인 9/10는 인성이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까지 빙산의 윗부분에만 너무 치중해 물질적·경제적 성장은 이뤘지만 9/10인 인성은 등한시했다. 즉 학력·실력만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배려와 겸양을 잃었다.
사회적으로 부정부패, 성폭력, 가정폭력 등이 낯설지 않은 뉴스가 되고 심지어 부모 학대, 이혼 등 가정파괴 현상은 계속 늘어났다. 부모는 ‘공부를 잘해 유명대학에 들어가고 좋은 직장에 들어가 잘 살면 된다’고 강조했고, 성적으로 학생을 차별해 우등생이 잘못해도 눈감아 주는 식의 문화도 팽배했다. 이런 개인주의 사고가 왜곡돼 우리 사회는 도덕적 해이가 만연하다.
학교도 학교폭력으로 병들어 가고 있다. 학생폭력이 계속 늘어 각 학교에 스쿨 폴리스 혹은 학교지킴이를 배치해 학생을 지도하지만 근본대책은 안 된다. 이런 고질적 병폐를 치료하고자 박근혜정부에서 강조하는 것이 인성교육이다. 교육에서 해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종기를 치료할 때 겉에서 약만 바른다고 치료가 되지 않는다. 수술하든지 항생제를 먹든지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확실한 치료가 된다. 가정교육이 약화되고 폭력이 만연한 문화 속에서 우리의 미래인 학생을 바르게 키우려면 근본적인 인성교육을 해야 한다.
인성교육을 정의하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개인의 품성, 소질, 끼를 계발시키는 것”이다. 이런 인성교육의 기본을 우리는 효(孝)에서 찾아야 한다.
한자인 교(敎)는 효(孝)와 칠 복(攵)의 합성어다. 즉 ‘효를 두들겨서라도 가르치는 것’이 교육의 근본이다. 과거 유교의 효(孝)는 희생, 복종이었지만 현대의 HYO(효)는 칭찬, 배려, 인정이다. 최근 효(HYO)를 Harmony of Young and Old로 재해석해 젊은이와 어르신의 조화로 발전시켰다. 현대의 HYO는 서로가 칭찬해 줌으로써 실천된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칭찬 교육’이다. 칭찬의 효과를 아이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양파 실험을 했다. 각각의 양파에 효자, 불효자라 쓰고 볼 때마다 칭찬과 꾸중을 했더니 칭찬한 쪽의 양파는 싹이 무성하게 잘 나고 꾸중을 들은 양파는 싹이 나지 않았다. 실제로 이는 우리 인간관계에도 나타난다.
85세 된 효지도사 분의 경험이다. 항상 맨손으로 오던 며느리가 어쩐 일인지 선물을 사가지고 와 풀어보니 싸구려 양말 1,000원짜리 두 켤레였다. 이를 보고 며느리를 혼낼까 고심하다 며느리를 칭찬했더니 며느리는 얼마 후 내의를 한 벌, 또 얼마 후엔 털 점퍼를 사왔단다. 만약 당시 며느리를 꾸중했다면 영영 며느리하고는 멀어졌을 텐데 칭찬 한마디에 가족이 화목하게 됐다는 말씀이 아주 좋은 본보기가 됐다.
칭찬은 귀로 먹는 공짜 보약이다. 겸양과 배려의 교육은 ‘칭찬’에서 시작될 수 있다. 남을 탓하지 않고 칭찬을 해주려면 타인에 대해 더욱 관심을 둬야 하고, 그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가능하다. 이렇듯 작은 변화가 인성교육의 시작이 될 수 있다. 앞으로 3·3·3 칭찬운동을 제창해 하루에 자신을 세 번, 가족을 세 번, 이웃을 세 번 칭찬하는 운동도 확산시킬 것이다.
칭찬 운동은 작은 실천이지만 인성교육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이제라도 우리 사회가 인성교육에 매진한다면 명실공히 균형 발전된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