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진로·직업교육, 초·중·고 연계를

학교교육의 목적은 내용적(content)과 과정적(process) 목적으로 대별할 수 있다. 또 내용적 목적은 다시 학업적인(academic) 목적과 직업적인(vocational) 목적으로, 과정적인 목적은 사회․공민적인(social․civic) 목적과 개인적인(personal)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네 가지 목적들이 균형 있게 성취되었을 때 전인교육이 이뤄진다고 할 수 있다.

학벌 중심 사회 속 우리 학교 교육은 학업적인 목적과 사회․공민적인 목적을 중요시했지만 직업적인 목적과 개인적인 목적은 소홀히 취급해왔다. 그 결과 고등학교뿐만 아니라 대학을 졸업하고도 자기 진로를 찾지 못하는 젊은이들이 허다하다. 통계청 조사를 보면 올해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인구 가운데 이직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절반(49.3%)에 육박하고 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 각계각층에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진로를 찾지 못하는 젊은 세대

이 가운데 박근혜 정부가 들고 나온 대선 공약 중의 하나가 ‘자유학기제’이다. 자유 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동안 학생들이 중간 및 기말고사 등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수업 운영을 토론, 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개선하고, 진로 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 뜨거웠던 찬반양론을 뒤로하고 최근 박 대통령은 자유학기제를 시범 운영 중인 학교를 방문해 창의교육 수업을 참관한 뒤, 학생과 학부모, 교사 및 지역사회 체험 기관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는 자리에서 자유학기제를 교육 전반을 변화시키는 교육개혁의 출발점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자유학기제는 학업적인 목적과 직업적인 목적 성취에 있어 심각한 불균형 상태인 우리 교육을 바로 잡는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시도이다. 우리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이며, 이를 반영한 각 초․중․고등학교 목표들의 첫 번째에 직업적인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아직까지 직업적인 목적 성취가 큰 관심을 얻지 못하지만, 자유학기제 시행에 대한 현 정부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실천에 옮겨진다면 그 의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자유학기제 시범학교 프로그램을 분석해 보면, 진로와 관련된 동아리와 각종 스포츠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교과연계 진로 프로그램들로 이뤄지고 있다. 즉 자유학기 동안 학생들은 스포츠 및 학생 선택 동아리 등 각자가 선택한 다양한 활동을 하며 교과와 관련된 직업 현장 체험을 함으로써 진로 탐색활동을 하고 있다.

초·중·고 연계를 통한 진로 교육

그런데 일선에서는 전후 연계 프로그램이 미흡하며,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도 어떤 원리와 원칙들이 없다는 데에서 자유학기제의 실효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 학기 깜짝 활동을 하다가 중 3이 되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한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와 함께 직업적인 교육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중학교(자유학기제)-고등학교 프로그램들이 같은 맥락에서 연계돼 실시돼야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적어도 학생의 강점을 찾아주는 프로그램이 운영돼야 한다. 예를 들어 전남 해남동초에서는 6학년을 학생의 강점 지능을 중심으로 학급을 편성하고, 방과후 프로그램이나 창의적 체험학습의 진로탐구활동은 강점 지능과 관련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초등학교에서 자신에게 가능한 직업군을 찾아내고, 중학교에 들어와 구체적인 직업을 탐색하게 한다면 자유학기제의 목적을 더 높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중학교에서 탐색한 진로에 따라 고등학교를 선택한다면 고등학교 적응은 물론 고등학교 졸업 후에 자신이 만족하는 직업 혹은 대학 선택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도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해 학생 선발돼야 한다.

이렇듯 초․중․고가 유기적으로 연계된다면 이를 통해 학교교육의 목적들이 균형 있게 성취돼 보다 좋은 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